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87414
2007
Korean
학술저널
399-41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
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경과 실질적인 젠더 정책에 다양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계선형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주별 임금불평등의 결정요인을 통제한 가운데, 양성고용평등 정책을 지지하는 제도적 환경은 여성 임노동자가 노동시장 내 보상의 측면에서 남성 임금노동자의 수준에 가깝도록 하는 반면, 복지의 제공자와 고용주로서의 주정부의 역할은 젠더 임금 불평등을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젠더 정책이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micro samples from Census 2000 and secondary data, this paper examines distinct dimensions of state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bor markets across U.S. sta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gender inequality in earn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r...
Using micro samples from Census 2000 and secondary data, this paper examines distinct dimensions of state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bor markets across U.S. sta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gender inequality in earn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in substantive gender policies across U.S. states. Results from multilevel models show that liberal state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pportive of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help female employees catch up with their male counterpart in regard to rewards, while the roles of states as welfare provider and employer exacerbate the gender gap in earnings, net of state level predictors of gender inequalit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로이 바스카(Roy Bhaskar)의 비판적 실재론과 새로운 해방적 사회과학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