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정책과 젠더임금불평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874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경과 실질적인 젠더 정책에 다양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계선형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주별 임금불평등의 결정요인을 통제한 가운데, 양성고용평등 정책을 지지하는 제도적 환경은 여성 임노동자가 노동시장 내 보상의 측면에서 남성 임금노동자의 수준에 가깝도록 하는 반면, 복지의 제공자와 고용주로서의 주정부의 역할은 젠더 임금 불평등을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젠더 정책이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

      이 논문은 미국 센서스 2000 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의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젠더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50개 주를 비교한 결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제도적 환경과 실질적인 젠더 정책에 다양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계선형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주별 임금불평등의 결정요인을 통제한 가운데, 양성고용평등 정책을 지지하는 제도적 환경은 여성 임노동자가 노동시장 내 보상의 측면에서 남성 임금노동자의 수준에 가깝도록 하는 반면, 복지의 제공자와 고용주로서의 주정부의 역할은 젠더 임금 불평등을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젠더 정책이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micro samples from Census 2000 and secondary data, this paper examines distinct dimensions of state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bor markets across U.S. sta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gender inequality in earn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in substantive gender policies across U.S. states. Results from multilevel models show that liberal state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pportive of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help female employees catch up with their male counterpart in regard to rewards, while the roles of states as welfare provider and employer exacerbate the gender gap in earnings, net of state level predictors of gender inequalit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번역하기

      Using micro samples from Census 2000 and secondary data, this paper examines distinct dimensions of state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bor markets across U.S. sta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gender inequality in earn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r...

      Using micro samples from Census 2000 and secondary data, this paper examines distinct dimensions of state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bor markets across U.S. sta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gender inequality in earn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in substantive gender policies across U.S. states. Results from multilevel models show that liberal state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pportive of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help female employees catch up with their male counterpart in regard to rewards, while the roles of states as welfare provider and employer exacerbate the gender gap in earnings, net of state level predictors of gender inequalit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가설
      • 4. 자료
      • 국문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가설
      • 4. 자료
      • 5. 통계모형
      • 6. 결론 및 토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