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다단어 단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5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다단어 단위 유형과 제시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단어 단위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어휘로 기능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한국어 다단어 단위 유형과 제시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단어 단위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어휘로 기능하는 것이다. 다단어 단위는 단어가 특정 단어와 결합하려는 성질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인간이 언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단어를 하나의 덩어리로 처리하면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사회,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여러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단어 단위를 담화표지, 연어, 관용표현, 상황적 발화, 공식화된 화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5가지 유형들은 문법적 수준, 고정성, 연속성, 의미변화에서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다. 담화표지는 구, 연어와 관용표현은 구, 절, 문장, 상황적 발화와 공식화된 화법은 문장으로 구성된다. 또 담화표지, 연어, 관용표현, 공식화된 화법의 다단어 결합은 고정적인 반면, 상황적 발화는 고정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다. 단어 결합의 연속성의 경우 관용표현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이외의 유형에서는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담화표지, 연어, 상황적 발화의 경우 단어결합으로 인한 의미변화가 없으나 관용표현의 경우 의미의 확장이나 재생산이 발생하며 공식화된 화법은 함축된 의미를 가진다.
      3장에서는 세종한국어 교재에 제시되는 다단어 단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고 다단어 단위를 추출한다. 이후 다단어 단위의 제시 방법, 출현 빈도, 제시 방법에 따른 빈도를 분석한다, 또한 교재에서 제시된 다단어 단위 유형, 등급별 유형, 유형별 빈도를 분석한다. 그 결과 다단어 단위를 학습하기에는 제시 빈도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드러난 한계를 인식하고 다단어 단위 학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에게 다단어 단위를 충분히 제시하기 위해 어휘 주석을 추가하고, 그림 부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학습 현장에서는 PPP(제시-연습-과제)모형을 통해 단어의 결합 형태, 의미 파악, 상황에 맞는 사용을 위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이 연구는 단어 이상의 단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했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교재를 분석하여 모국어 화자나 교재의 간섭 없이 익히기 힘든 다단어 단위의 학습 방법을 모색했다. 그러나 고급 단계의 다단어 단위는 분석대상에서 제외 되었다. 이후 5가지 유형 이외의 객관적인 변별 근거가 부족한 일부 다단어 단위와 고급단계의 다단어 단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Korean multi-word units and their presentation aspects, and therefore discuss how to use them. Multi-word units mean that more than two words are combined to function as a single vocabulary. They 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Korean multi-word units and their presentation aspects, and therefore discuss how to use them. Multi-word units mean that more than two words are combined to function as a single vocabulary. They occur because a word has a propensity to combine with a certain one or as a person handles many words as a lump in treating language. In addition, many words are combined to create a new meaning, depending on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categorizes multi-word units into five types: discourse markers,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s, situational utterances and speech act formula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rammatic levels, fixedness, continuance and semantic variations. Discourse markers consist of phrases and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s of phrases, paragraphs and sentences; and situational utterances and speech act formuale of sentences. In some cases, the multi-word combination of discourse markers, collocation, idiomatic expressions and speech act formulae are fixed, while situational utterances are not fixed. The word combination is sometimes not continuous for idiomatic expressions, while it appears to be continuous for other types.
      Chapter 3 analyses multi-word units provided by the Sejong Korean textbook.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s textbook corpus and abstracted multi-word units. Then, it analyzes how to present multi-work units,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frequency depending on presentation methods. Moreover, it also analyzes the types of multi-word units presented by the textbook, types of grades and the frequency by typ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is not high enough to learn multi-unit words.
      Chapter 4 recognized limits revealed in Chapter 3 and suggests several measures for learning multi-word units. It also provides measures for adding vocabulary comments and using illustration appendices, to fully present multi-word units to learners. Furthermore, it proposes ways in which they can learn the forms of word combination, how to understand meanings and how to use them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through PPP Model,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units beyond words. In addition, it also sought out how to learn multi-word units which cannot be easily mastered without interference by naive speakers or textbooks, by analyzing the textbook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by non-native Korean learners. High levels of multi-word units were, however, excluded by this study. A further study on some multi-word units with inadequate objective discrimination grounds and high levels of them, except for five types would be warra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3
      • 1.3 연구 방법 6
      • II. 이론적 배경 8
      • I. 서론 1
      •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3
      • 1.3 연구 방법 6
      • II. 이론적 배경 8
      • 2.1 다단어 단위의 정의와 특성 8
      • 2.2 어휘로서의 다단어 단위 11
      • 2.3 다단어 단위의 유형별 분류 13
      • III. 한국어 통합 교재 다단어 단위 분석 26
      • 3.1 한국어 통합교재 분석 26
      • 3.2 다단어 단위 분석 30
      • IV. 다단어 단위 교육 방안 41
      • 4.1 교재의 다단어 단위 제시 방안 41
      • 4.2 다단어 단위 학습 지도 방안 46
      • V. 결론 53
      • 참고문헌 56
      • 부록 60
      • 초록 81
      • ABSRACT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