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현대시 교육 방법 연구 :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odern Poetry Education Method for Foreign Students: Focused on Kim Su-young’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9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used to focus mainly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can provide not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is paper focuses on this point and examines how to teach contemporary poetry in literature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in undergraduate program.
      Considering universality and Korean specificity, a text that reflects history, in other words, a text with a sense of history, is appropriate for the class. Accordingly, “One Day Leaving the Old Palace” (1965), a poem by Kim Su-young, was selected. This poem is a text that reveals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1960s after the 4.19 Revolution in 1960, and has strengths in understanding the moral culture and sentiments of Koreans. Through this, cultural literacy can further be developed.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jor poetic languages (liberty, thorny, climax) allows us to see that language can includ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as well as dictionary meanings.
      Parody writing was suggested as a way to personalize the text. “One Day Leaving the Old Palace” is a text that clearly illustrates the conflict between the social self and the personal self. By applying this to learners, the results from reflection of the world and of oneself are translated into literature. By doing so, literary ability can be improved while the effect of creative writing is achieved at the same time.
      번역하기

      Litera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used to focus mainly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can provide not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is paper focuses on this ...

      Litera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used to focus mainly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can provide not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is paper focuses on this point and examines how to teach contemporary poetry in literature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in undergraduate program.
      Considering universality and Korean specificity, a text that reflects history, in other words, a text with a sense of history, is appropriate for the class. Accordingly, “One Day Leaving the Old Palace” (1965), a poem by Kim Su-young, was selected. This poem is a text that reveals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1960s after the 4.19 Revolution in 1960, and has strengths in understanding the moral culture and sentiments of Koreans. Through this, cultural literacy can further be developed.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jor poetic languages (liberty, thorny, climax) allows us to see that language can includ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as well as dictionary meanings.
      Parody writing was suggested as a way to personalize the text. “One Day Leaving the Old Palace” is a text that clearly illustrates the conflict between the social self and the personal self. By applying this to learners, the results from reflection of the world and of oneself are translated into literature. By doing so, literary ability can be improved while the effect of creative writing is achieved at the same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붕구, "해방40년의 문학" 민음사 1985

      2 고경민 ; 김세준,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텍스트 선정과 활용에 대한 고찰" 겨레어문학회 (54) : 5-34, 2015

      3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문학 교육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이인화, "한국어교육 교재의 문학작품 수록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 (166) : 237-278, 2019

      5 김은주, "한국어 교육에서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시 교육 방안 연구-김춘수의 ‘꽃’을 중심으로" 2014

      6 신주철, "한국 시 교육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09-130, 2003

      7 윤여탁, "한국 근·현대시와 문학교육" 태학사 2017

      8 문정현,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실제: P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 (13): 1749-1764, 2022

      9 린다 허치언,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5

      10 주재환,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한성어문학회 45 : 201-221, 2021

      1 김붕구, "해방40년의 문학" 민음사 1985

      2 고경민 ; 김세준,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텍스트 선정과 활용에 대한 고찰" 겨레어문학회 (54) : 5-34, 2015

      3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문학 교육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이인화, "한국어교육 교재의 문학작품 수록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 (166) : 237-278, 2019

      5 김은주, "한국어 교육에서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시 교육 방안 연구-김춘수의 ‘꽃’을 중심으로" 2014

      6 신주철, "한국 시 교육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09-130, 2003

      7 윤여탁, "한국 근·현대시와 문학교육" 태학사 2017

      8 문정현,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실제: P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 (13): 1749-1764, 2022

      9 린다 허치언,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5

      10 주재환, "패러디 시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한성어문학회 45 : 201-221, 2021

      11 교육부, "지식채널e: 그해 4월, 시인 김수영 2부"

      12 EBS, "지식채널e: 그해 4월, 시인 김수영 1부"

      13 김영만, "인터넷을 활용한 한국시 교육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 (2): 369-387, 2008

      14 교육부,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방안"

      15 박경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문학 교육 방법" 1 : 35-56, 2014

      16 최성호 ; 장경원, "외국인유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교육연구소 24 (24): 615-640, 2018

      17 신소영 ; 유승금,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인문과학연구소 (64) : 5-27, 2020

      18 김경훤 ; 신영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69-196, 2014

      19 박소연 ; 최은경,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설계 : D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381-405, 2020

      20 최은경 ; 임성묵 ; 고은선 ; 임중연, "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연구 : D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트랙’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0) : 445-470, 2020

      21 안현선 ; 김원식 ; 김은진,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35 (35): 379-398, 2023

      22 민장배 ; 송진영, "외국인 유학생 대상 상호동료튜터링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865-885, 2020

      23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7

      24 노 철, "시 연구방법과 시 교육론" 보고사 2003

      25 선주원, "시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03

      26 마이클 데이빗슨, "바흐친과 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7

      27 이가원,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Parody) 활동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8) : 325-355, 2012

      28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능력" 역락 2010

      29 김우창, "김우창 전집 3-시인의 보석" 민음사 2006

      30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2" 민음사 2016

      3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2 교육부, "2022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한국교육개발원(KED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