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인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6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인민속학회는 5년의 역사를 지닌 신설학회로서 서울 경기ㆍ인천 지역의 민속을 조사연구하는 지역민속학회이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도시민속학을 연구하는 학회의 성격을 아울러 지닌...

      경인민속학회는 5년의 역사를 지닌 신설학회로서 서울 경기ㆍ인천 지역의 민속을 조사연구하는 지역민속학회이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도시민속학을 연구하는 학회의 성격을 아울러 지닌다.
      26회의 월례발표회, 3회의 규모 있는 학술발표회, 3번의 현지조시를 실시했으며, 46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1권의 총서를 발간했다. 발표 내용을 보면, 주로 민속신앙이 가장 많고, 총체적 접근으로 도시민속 연구사, 민속방법론, 공동체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기타 비교민속, 생업, 세시풍속 등도 몇 편씩 다루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이 가장 많고 이어 경기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분야별, 지역별로 다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점차 지역을 넓히고 분야별 분화하고 도시와 현대민속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서울을 중심축으로 공간의 확대와 개항지로서의 인천과 연관성율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기도는 서울 확대와 관련지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역민속학회로서 지역 공간의 변화와 거주자의 생업 및 변화 과정을 면밀히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민속학회로서 인접 도시사회학, 도시문화학, 도시역사학, 현대민속학과 밀집한 관련을 지닌다. 그리고 도시는 역사적사건이나 외세 침략, 정치적 영향 등의 외무적 충격에 민감하고, 개인에 따라 민속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민속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일상생활사, 개인생애사까지 범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접근 방법은 대략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 민속의 확대된 갈래 및 주제로 접근하는 방법, 개인의 생업적 특성에 의한 접근 방법, 역사적 사건에 따른 접근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런 접근 방법은 모두 개인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추출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학회의 당면 과제는 지역과 도시민속의 접점을 어떻게 오색하고, 연구 분야와 지역의 편중 현상을 극복하며, 개인생애사를 어떻게 적절히 활용하느냐, 그리고 전문연구자의 육성 등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yungin Folklore society is the newborn institute which has been for 5 years and investigates folklore around Seoul, Incheon, Kyungki area. In addition, it has a character as the society which studies urban folklore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Kyungin Folklore society is the newborn institute which has been for 5 years and investigates folklore around Seoul, Incheon, Kyungki area. In addition, it has a character as the society which studies urban folklore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Nowadays, monthly meeting has been conducted 26 times, systematic lectures presentation has been conducted 3 times, field survey had been done 3 times. 46 articles were published and one collection book came out.
      If we see the issues in presentation, folk religion had the highest number and then city folklore methodology, city community issue were dealt with. In addition to these issues, a comparative folklore, an occupation and seasonal customs were presented a little. Research area had the highest number of Seoul and then Kyungki province. Research area was biased according to local places. Therefore,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area and detail by the issue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e approach might be divided into specific-place, folklore theme, private occupational character, historical event. This kind of approach has the mutual organic relatedness with the center of personal oral life history.
      The present issues of the society are to grope contact points between country and urban folklore, to overcome the concentrated phenomenon of research area and range and to foster lots of exclusive resear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경인민속학회의 걸어온 길
      • Ⅱ. 경인민속학회의 학술활동
      • Ⅲ. 경인민속학회의 성격
      • Ⅳ. 학회 정체성을 위한 연구방향의 모색
      • [국문초록]
      • Ⅰ. 경인민속학회의 걸어온 길
      • Ⅱ. 경인민속학회의 학술활동
      • Ⅲ. 경인민속학회의 성격
      • Ⅳ. 학회 정체성을 위한 연구방향의 모색
      • Ⅴ. 경인민속학회의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두, "한국의 공간과 환경" 한길사 1991

      2 김정하, "한국도시민속학의 연구방법론 정립에 대한 연구" 시학과 언어학회 (1) : 2001

      3 박환영, "한국 도시민속학의 연구동향" 국립민속박물관 (23) : 209-224, 2008

      4 김정하, "지역민속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지역민속학회 (1) : 2009

      5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줄당기기와 길쌈이 유명한 청운마을의 보고서" 한국학술정보 2004

      6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7 김현경, "아현동 사람들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8 오문선, "보광동 사람들, 보광동" 서울역사박물관 2008

      9 나승만, "민중 생애담 조사법" 역사민속학회 (9) : 1999

      10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민속과 민속이 함께 가는 현리마을" 한국학술정보 2003

      1 최병두, "한국의 공간과 환경" 한길사 1991

      2 김정하, "한국도시민속학의 연구방법론 정립에 대한 연구" 시학과 언어학회 (1) : 2001

      3 박환영, "한국 도시민속학의 연구동향" 국립민속박물관 (23) : 209-224, 2008

      4 김정하, "지역민속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지역민속학회 (1) : 2009

      5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줄당기기와 길쌈이 유명한 청운마을의 보고서" 한국학술정보 2004

      6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7 김현경, "아현동 사람들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8 오문선, "보광동 사람들, 보광동" 서울역사박물관 2008

      9 나승만, "민중 생애담 조사법" 역사민속학회 (9) : 1999

      10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민속과 민속이 함께 가는 현리마을" 한국학술정보 2003

      11 임재해, "민속 조사보고, 무엇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 민속원 2003

      12 임재해, "마을 민속 조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민속원 2002

      13 강정원, "동제 전승주체의 변화" 한국민속학회 (36) : 2002

      14 이정재, "독일의 도시민속학 연구 경향" 한국민속학회 41 : 145-183, 2005

      15 김명자, "도시생활과 세시풍속" 한국민속학회 41 : 17-50, 2005

      16 남근우, "도시민속학에서 포클로리즘 연구로 -임재해의 ‘비판적 성찰’에 부쳐-" 한국민속학회 47 : 29-69, 2008

      17 이건욱, "도시민속조사에 대한 경험의 공유" 국립민속박물관 (23) : 253-273, 2008

      18 정형호, "도시민속 연구의 문제점과 방향성」, 도시민속 연구의 현재와 미래" 2009

      19 임재해, "도시 속의 민속문화 전승양상과 도시민속학의 새 지평" 실천민속학회 9 : 5-50, 2007

      20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 없는 목현마을" 한국학술정보 2002

      21 김현경, "김종호, 김복순 부부의 물건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22 함한희, "구술사와 문화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33 (33): 2000

      23 정형호, "개인생애사를 통한 도시민속학의 접근 방법의 모색-용산 지역 6인의 생애사를 통한 접근-" 실천민속학회 9 : 51-84, 2007

      24 오문선, "강남, 사진으로 읽다 , 강남, 사진으로 보다" 서울역사박물관 2009

      25 함한희, "20세기를 산 민중들의 구술생애사, 그 의미와 특징" 소화 2005

      26 이은숙, "20세기 서울의 교통 발달과 지리적 변화"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0) : 2000

      27 정형호, "20c 용산 지역의 도시화 과정 속에서 동제당의 전승과 변모 양상" 한국민속학회 41 : 419-45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