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재 전우의 미발론과 정좌관 = Inquiry on the Meaning of wei-fa and Quiet-sitting in Gan Jae’s Theory of Self-Cul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2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조선의 마지막 성리학자로 알려진 艮齋 田愚의 미발론과 정좌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靜功이라는 단어는 靜坐功夫 또는 靜中用功의 약어로 惺寂功夫라는 단어와 함께 간재가 즐...

      이 글에서는 조선의 마지막 성리학자로 알려진 艮齋 田愚의 미발론과 정좌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靜功이라는 단어는 靜坐功夫 또는 靜中用功의 약어로 惺寂功夫라는 단어와 함께 간재가 즐겨 사용했던 개념이다. 그는 미발 공부에 착수하기 위한 요령으로 정좌를 들고, 스스로 틈이 날 때마다 정좌에 몰입하는 한편 기회가 될 때마다 문인들에게도 정좌를 권고하는 훈유를 내리곤 했다. 과연 간재의 공부론에서 고요함(靜)에 대한 강조는 기존에 이천과 주자가 우려했던 靜寂主義로 흐를 위험에서 자유로운 것일까? 과연 간재가 수양공부의 第一義諦로 강조하는 정좌의 요령과 지향점은 무엇이며 불교의 좌선과는 어떻게 구별되는 것일까? 그리고 성리학의 未發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기 위해 불교로부터 도입한 寂寂惺惺이라는 개념은 얼마나 성공적이며, 유교의 공부론이 불교에 의해 잠식되거나 손상당할 위험은 없는 것일까? 더욱 중요하게, 정좌 공부는 性師心弟 또는 性尊心卑라는 간재의 심성론적 입장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 것일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간재의 해명을 하나씩 살펴봄으로써 그의 심성론과 공부론에서 정좌가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investigate on Gan Jae Cheon Wu’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his emphasis of quiet-sitting. Gan Jae frequently used the term “practice of quietness” and “twinkle and annihilation at the same ti...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investigate on Gan Jae Cheon Wu’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his emphasis of quiet-sitting. Gan Jae frequently used the term “practice of quietness” and “twinkle and annihilation at the same time” to instruct his disciples how to carry out the NeoConfucian notion of self-cultivation. With regard to Gan Jae’s excessive emphasis on quietness, several serious questions may arise. First of all, excessive emphasis on quietness may easily lead practitioners to fall into the trouble of quietism that Zhu Xi and other NeoConfucian scholars sternly warned. Moreover, how can this kind of quietness-oriented meditation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Zen Buddhism?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ietnessoriented meditation practice and his distinctive theory of Nature/Mind, i.e., “Nature is noble, while mind is humb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reasonable and comprehensible explanation to these ques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II. 靜功에 대한 강조 III. 미발 공부의 핵심 요령: 寂寂惺惺 IV. 미발 공부의 궁극 경지: 見性體 V. 유교의 惺惺寂寂과 불교의 惺惺寂寂 VI. 나가면서 참고문헌
      • I. 들어가는 말 II. 靜功에 대한 강조 III. 미발 공부의 핵심 요령: 寂寂惺惺 IV. 미발 공부의 궁극 경지: 見性體 V. 유교의 惺惺寂寂과 불교의 惺惺寂寂 VI. 나가면서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剛經 冶父頌"

      2 이승환,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 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한국동양철학회 (32) : 317-352, 2009

      3 이승환,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8) : 1-54, 2009

      4 김세정, "간재 전우의 이단 비판의 기준과 근거" 유학연구소 29 : 139-163, 2013

      5 유지웅, "간재 전우의 시대인식과 이론적 배경" 한국유교학회 (82) : 91-117, 2020

      6 유지웅,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퇴계학연구원 (142) : 261-298, 2017

      7 이승환, "간재 미발설의 현대적 의의" 19 : 2015

      8 이승환, "退溪 未發說 釐淸" 퇴계학연구원 (116) : 67-106, 2004

      9 "艮齋先生文集"

      10 이천승, "艮齋 田愚의 道德心 啓發과 儒敎文化 傳承" 한국유교학회 (36) : 111-140, 2009

      1 "金剛經 冶父頌"

      2 이승환,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 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한국동양철학회 (32) : 317-352, 2009

      3 이승환,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8) : 1-54, 2009

      4 김세정, "간재 전우의 이단 비판의 기준과 근거" 유학연구소 29 : 139-163, 2013

      5 유지웅, "간재 전우의 시대인식과 이론적 배경" 한국유교학회 (82) : 91-117, 2020

      6 유지웅,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퇴계학연구원 (142) : 261-298, 2017

      7 이승환, "간재 미발설의 현대적 의의" 19 : 2015

      8 이승환, "退溪 未發說 釐淸" 퇴계학연구원 (116) : 67-106, 2004

      9 "艮齋先生文集"

      10 이천승, "艮齋 田愚의 道德心 啓發과 儒敎文化 傳承" 한국유교학회 (36) : 111-140, 2009

      11 이형성, "艮齋 田愚의 實踐儒學 志向性 攷察 -心性論에서 性 重視的 側面을 中心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43) : 267-290, 2008

      12 "禪宗詠歌集"

      13 "毅菴集"

      14 "栗谷全書"

      15 "朱子語類"

      16 "孟子"

      17 "大學"

      18 "周易"

      19 "二程遺書"

      20 "中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KCI등재
      2007-0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9 1.2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