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시범 적용 및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1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해 시범 적용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 교사 242명이며, 프로그램의 시범적용은 20...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해 시범 적용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 교사 242명이며, 프로그램의 시범적용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25일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피기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교사의 지식, 태도, 실천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문헌을 바탕으로 연구진이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교사의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모두 향상시켰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사의 개인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교사의 학력, 경력에 상관없이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향상시켰다. 셋째, 교사의 기관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기관유형과 교사의 담당학급에 상관없이 지식, 태도, 실천의 수준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된 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교사의 개인변인 및 기관변인과 상관없이 유아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태도, 실천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역량 증진을 위해 유아 흡연예방 교사 교육의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s. For the study,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examines teachers’ knowledge, a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s. For the study,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examin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 Secondly,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regardles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hirdly, in terms of institutional variabl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the institutions and the class levels in 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eacher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금지, "한국인 성인 남녀의 흡연관련 사망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8 (38): 36-48, 2013

      2 박우연, "초등학생의 흡연 실태와 흡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7 (7): 33-49, 2006

      3 백경신,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273-282, 2006

      4 윤근영, "초등교사의 발달단계와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14 (14): 59-76, 2007

      5 최미영, "중학교 교사의 흡연예방교육 실천의도와영향요인: 계획된 행위이론의 활용"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07-122, 2005

      6 교육부,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6

      7 교육부,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5

      8 강민지,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2017

      9 이미형, "일 지역 학생들의 약물남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지식, 태도 및 학교정책" 정신간호학회 16 (16): 250-257, 2007

      10 임진형, "유아의 질병 및 건강 개념에 대한 인식" 11 (11): 7-20, 2010

      1 정금지, "한국인 성인 남녀의 흡연관련 사망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8 (38): 36-48, 2013

      2 박우연, "초등학생의 흡연 실태와 흡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7 (7): 33-49, 2006

      3 백경신,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273-282, 2006

      4 윤근영, "초등교사의 발달단계와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14 (14): 59-76, 2007

      5 최미영, "중학교 교사의 흡연예방교육 실천의도와영향요인: 계획된 행위이론의 활용"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07-122, 2005

      6 교육부,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6

      7 교육부,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5

      8 강민지,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2017

      9 이미형, "일 지역 학생들의 약물남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지식, 태도 및 학교정책" 정신간호학회 16 (16): 250-257, 2007

      10 임진형, "유아의 질병 및 건강 개념에 대한 인식" 11 (11): 7-20, 2010

      11 권기남, "유아의 건강 권리 증진을 위한 유아 간접흡연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5 (15): 187-196, 2006

      12 오선영, "유아기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인식 개선 교육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 6 (6): 1-15, 2014

      13 김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16 (16): 161-181, 1999

      14 김일순, "심각한 청소년 흡연문제: 전망과 대책" 금연운동협의회 1998

      15 김현진,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239-259, 2008

      16 이민진, "담배규제 정책 쟁점별 국내 연구 현황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65-191, 2014

      17 보건복지부,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2015

      18 유승희, "금연정책포럼: 유아흡연예방교육 필요성과 현황. 제7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 2015

      19 김호정, "교사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신념, 태도 및 실천의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Carver, V., "Tobacco prevention with Mississippi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105 (105): 34-41, 2004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Tobacco free initiative: 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child health consultation re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

      22 Eriksen, M., "The tobacco atlas" American Cancer Society 2015

      2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2015

      24 Carver, V., "Teacher perception of a curriculum-Infused tobacco prevention program for grades 4 through 6" 3 (3): 298-305, 2000

      25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5 (75): 559-582, 1984

      26 Demjén, T., "Smoking or health complementar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a Manual for kindergarten teachers"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2004

      27 OECD, "Health at a glance: OECD indicators"

      28 Carver, V., "Early elementary teachers' receptivity to tobacco prevention in rural U. S. State" 20 (20): 157-169, 2000

      29 CDC, "CDC's Best practices for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rograms-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