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에 실시하는 약대 6년제 개편에 대비하여 실무실습교육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무실습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실습현황과 외국의 실무실습현황을 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528527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2006. 8
2006
한국어
서울
vii, 93 ; 26 cm
지도교수: 오정미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에 실시하는 약대 6년제 개편에 대비하여 실무실습교육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무실습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실습현황과 외국의 실무실습현황을 비...
2009년에 실시하는 약대 6년제 개편에 대비하여 실무실습교육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무실습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실습현황과 외국의 실무실습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약학교육 평가기관인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ACPE)의 약학대학 인증기준과 9개 대학의 커리큘럼과 실습내용, 학점, 시기, 지도자의 구성인원을 비교분석하였다.
일본약학교육의 모델코어커리률럼을 통하여 실습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독일약학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국의 ACPE기준에서는 약사의 사명으로서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환자와 상담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의약품 적정 공급및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커리큘럼에 대하여는 예비실습과 본실습으로 나뉘어 약국과 병원, 제약회사등에서 실습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약학교육과정은 4년간의 수업과정을 마치고 1년 약국에서 실습하도록 정하여져 있고 실무지침서에는 조제와 제제, 검사, 처방해석, 상담과정중 마주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다.
일본의 모델코어커리큘럼에는 실습항목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2006년도부터 시작한 약대 6년제는 4년제와 병합하여 시행되며 실습기간은 6개월이다. 일본의 지도약제사 기준에서는 실무경험 5년이상으로 현재 약국에서 근무하고 있고 학생 실습 지도에 열의를 가지고 있고 평소 직능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6년제 학제개편에 따른 실무실습교육방안의 제시에서는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정하였다. 커리큘럼에서는 필수과목을 6개월 실습하고 선택과목을 6개월간 다양한 환경에서 실습하도록 하였다. 필수과목에서는 병원 3개월, 약국 2개월, 제약회사 실습 1개월로 정하였다. 시설설비기준으로는 우수약국기준에 맞고 적당한 환자의 수가 있어야 하며 여러 질환의 환자가 있는 약국이고 적당한 교육실이 있어야 한다. 지도자의 조건으로는 5년이상의 실무경력과 병원약사회와 대한 약사회로부터 인증을 받은 약사이어야 한다. 병원실습에서는 조제와 복약지도, 의약정보, 임상약동학에 관하여 실습하며 약국실습에서는 조제와 복약지도, 일반의약품의 상담과 판매에 관한 내용을 실습한다. 실무실습에 필요로 하는 실무지침서에는 실습내용과 목표, 실습일정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6년제 개편에 앞서 지도자 양성이 시급하며 일본의 인증약사제도를 도입하여 3년간의 교육을 시킬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미국의 경우에서와 같이 졸업후의 교육제도도 도입하여 선택실무실습의 내용이 다양하게 되어야 겠다.
우리나라의 교육현황과 실습현황을 연구하고 미국과 독일과 일본의 대학의 현황과 지도자 조건, 실무지침서를 비교분석하여 2009년부터 시행되는 6년제에서 실무실습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재교육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센터와 재교육을 맡을 기관이 설립되도록 준비하여야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roduc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pharmacy practice 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starting from 2009. Methods: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ACPE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Introduc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pharmacy practice 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starting from 2009.
Methods: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ACPE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 and the curricular of the pharmacy schools of several different countries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curricula of pharmacy practice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starting from 2009.
Results: A model pharmacy practice curricular was developed based on ACPE standards and the core curriculum of pharmacy practice of Japan. This study described the objective, scope and the duration of practice training as well as the requirements of the training site and the qualifications of preceptorship. This study describ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of practice training in details for the institution, community and pharmaceutical practice. The preceptors for the practice training should be certified for their qualification and knowledge by an authoriz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nd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It is critical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the preceptors be developed.
Conclusion: The pharmacy practice 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