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복합 배출원 주변 환경 중 다이옥신 오염특성과 발생원 해석 = Source identification and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PCDD/Fs in environmental media in multi-source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53889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全北大學校,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全北大學校 大學院 , 環境工學科 ,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9.425 판사항(4)

      • DDC

        628.445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ii, 150장: 삽화, 도표, 지도;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으로 "TEQ concentration of 2,3,7,8-chlorinated substituted PCDD/Fs in soils (pg I-TEQ/g)", "Homologue-specific concentration of PCDD/Fs in ambient air, flue gas(pg/㎥) and soils(pg/g)" 수록
        참고문헌: 장 136-142

      • 소장기관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to investigate persistent status of PCDD/Fs, at vicinity of an incinerator that is the main pollution source in multi-source area such as industrial complex region. Also i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urce of PCDD/Fs using ful...

      This study performed to investigate persistent status of PCDD/Fs, at vicinity of an incinerator that is the main pollution source in multi-source area such as industrial complex region. Also i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urce of PCDD/Fs using full congeners analysis of PCDD/F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chemical mass balance(CMB) on the flue gas of incinerators, soil, and ambient ai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범위 및 구성 = 4
      • 제 2 장 문헌조사 = 6
      • 2.1 다이옥신의 구조와 성상 = 6
      • 제 1 장 서론 =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범위 및 구성 = 4
      • 제 2 장 문헌조사 = 6
      • 2.1 다이옥신의 구조와 성상 = 6
      • 2.2 환경 중 다이옥신의 거동 = 8
      • 2.2.1 다이옥신의 배출원 = 8
      • 2.2.2 대기 중 다이옥신의 거동 = 9
      • 2.2.3 토양 중 다이옥신의 거동 = 13
      • 2.2.4 물리화학적 Parameter = 17
      • 2.3 다이옥신에 의한 환경오염 실태에 관한 연구 = 22
      • 2.3.1 일반 환경 중 다이옥신 거동 = 22
      • 2.3.2 대기 중 다이옥신 = 23
      • 2.3.3 토양 중 다이옥신 = 27
      • 2.3.4 수계 내 다이옥신 = 30
      • 제 3 장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 33
      • 3.1 연구 대상지역의 선정 = 33
      • 3.1.1 대상지역 선정 및 개황 = 33
      • 3.1.2 대상지역 오염원 현황 = 34
      • 3.2 시료 채취지점의 선정 = 36
      • 3.2.1 ISCLT(Industrial Source Complex Long Term) 모델 = 36
      • 3.2.2 시료 채취지점 선정 = 38
      • 3.2.3 대조군 토양 시료의 채취 = 38
      • 3.3 시료 채취방법 = 41
      • 3.3.1 소각시설 배출가스 = 41
      • 3.3.2 환경 대기 = 41
      • 3.3.3 토양 = 41
      • 3.4 분석 방법 = 44
      • 3.4.1 추출 = 44
      • 3.4.2 정제 = 45
      • 3.4.3 기기 분석 = 50
      • 3.4.4 정도 관리 = 52
      • 3.5 발생원 해석을 위한 통계적 평가기법 = 53
      • 3.5.1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 54
      • 3.5.2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 58
      • 3.5.3 Chemical Mass Balance(CMB) 모델 = 60
      • 3.5.4 중회귀 분석 = 62
      • 3.5.5 오염원 해석방법의 선행연구 = 64
      • 제 4 장 소각시설 주변 환경 중 다이옥신 오염특성 = 70
      • 4.1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 오염특성 = 70
      • 4.1.1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 농도 = 70
      • 4.1.2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 이성질체 분포 = 73
      • 4.2 환경 대기 중 다이옥신 오염특성 = 75
      • 4.2.1 환경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 = 75
      • 4.2.2 환경 대기 중 다이옥신 이성질체 분포 = 76
      • 4.3 토양 중 다이옥신 오염특성 = 79
      • 4.3.1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 = 79
      • 4.3.2 토양 중 다이옥신 이성질체 분포 = 85
      • 4.3.3 거리 및 방향별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 = 87
      • 제 5 장 다이옥신의 발생원 해석 = 91
      • 5.1 이성질체 유형비교에 의한 영향 분석 = 91
      • 5.1.1 예상 발생원의 이성질체 유형 특성 = 91
      • 5.1.2 발생원과 토양 중 이성질체 유형 특성 비교 = 95
      • 5.2 통계적 처리기법에 의한 영향 분석 = 102
      • 5.3 전이성질체 분석을 통한 다이옥신 발생원 해석 = 106
      • 5.3.1 2,3,7,8-치환 이성질체 정보에 의한 발생원 해석의 문제점 = 106
      • 5.3.2 전이성질체 유형을 이용한 발생원 해석 = 107
      • 5.3.3 전이성질체 정보에 의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발생원 해석 = 120
      • 5.3.4 화학물질 평형방법(CMB, Chemical MAss Balance)에 의한 발생원의 기여율 추정 = 126
      • 제 6 장 결론 = 132
      • 참고 문헌 = 136
      • 부록 =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