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가 장기요양 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영향요인 = Factors to Influenc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Comparison among Sub-dimen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6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완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가정에서 재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며 수급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초점을 두고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부양 부담 완화정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권중돈(1994)의 부양부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사회적 활동제한,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건강상의 부담 등 여섯 가지 하위차원별로 부양부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기준으로 전국의 재가급여 이용자의 가족부양자 1,827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8개 항목 점수의 합을 전체 부양부담으로 정의하고, 전체 부양부담과 하위차원별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부양부담 점수는 140.0점 만점에 평균 90.5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전체 부양부담의 영향요인과 6개 하위차원별로 각각의 영향요인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수급자와의 관계’라는 요인은 전체 부양부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와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부양부담의 하위차원별로 각기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정책 입안자, 보험자,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자 및 가족부양자들이 재가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가는 데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완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완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가정에서 재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며 수급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초점을 두고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부양 부담 완화정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권중돈(1994)의 부양부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사회적 활동제한,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건강상의 부담 등 여섯 가지 하위차원별로 부양부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기준으로 전국의 재가급여 이용자의 가족부양자 1,827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8개 항목 점수의 합을 전체 부양부담으로 정의하고, 전체 부양부담과 하위차원별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부양부담 점수는 140.0점 만점에 평균 90.5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전체 부양부담의 영향요인과 6개 하위차원별로 각각의 영향요인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수급자와의 관계’라는 요인은 전체 부양부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와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부양부담의 하위차원별로 각기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정책 입안자, 보험자,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자 및 가족부양자들이 재가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가는 데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has been rising as a social issue, it needs to develop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developed by Pearlin(1990). Total 1,827 family caregivers with beneficiaries, who used the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in March 2013, completed questionnaires.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measured by caregiver burden scale, developed by Kwon(1994). Tha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milies’ caregiving burden multi-dimensionally.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amily caregivers got the average score 90.5 out of 140 on the total caregiving burden, which indicated a considerable burden. The influencing factors varied among the total and six dimensional burd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reliev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In conclusion, we suggest some strategies to relieve the caregiving burden for family memb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policy-makers, the insurer, the long-term care providers and family caregivers in understanding the caregiving burden and influencing factors.
      번역하기

      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has been rising as a social issue, it needs to develop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

      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has been rising as a social issue, it needs to develop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developed by Pearlin(1990). Total 1,827 family caregivers with beneficiaries, who used the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in March 2013, completed questionnaires.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measured by caregiver burden scale, developed by Kwon(1994). Tha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milies’ caregiving burden multi-dimensionally.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amily caregivers got the average score 90.5 out of 140 on the total caregiving burden, which indicated a considerable burden. The influencing factors varied among the total and six dimensional burd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reliev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In conclusion, we suggest some strategies to relieve the caregiving burden for family memb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policy-makers, the insurer, the long-term care providers and family caregivers in understanding the caregiving burden and influencing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중돈,권중돈,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1994

      2 조남옥, "치매환자 가족의 경험과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3 조명희, "치매노인가족의 부양부담" 응용과학연구소 학술심포지움 2000, 2000

      4 이슬아,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심리적 조호부담 경감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 (4) : 853 ~ 874, 2013

      5 유성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가족관계에 따른 문제인식, 부양부담, 시설입소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천안시 가정방문간호대상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6) : 191 ~ 214, 2004

      6 조해진,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7 이애숙,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실태 및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13 : 29 ~ 60, 2003

      8 이은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대처반응이 부양가족원의 생활만족도와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4 (2) : 148 ~ 167, 1998

      9 문혜리, "치매노인 및 가족간호인의 삶의 질과 사회복지 경로분석" 충북대학교, 1998

      10 이현주,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6 (1) : 345 ~ 367, 2015

      1 권중돈,권중돈,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1994

      2 조남옥, "치매환자 가족의 경험과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3 조명희, "치매노인가족의 부양부담" 응용과학연구소 학술심포지움 2000, 2000

      4 이슬아,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심리적 조호부담 경감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 (4) : 853 ~ 874, 2013

      5 유성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가족관계에 따른 문제인식, 부양부담, 시설입소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천안시 가정방문간호대상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6) : 191 ~ 214, 2004

      6 조해진,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7 이애숙,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실태 및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13 : 29 ~ 60, 2003

      8 이은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대처반응이 부양가족원의 생활만족도와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4 (2) : 148 ~ 167, 1998

      9 문혜리, "치매노인 및 가족간호인의 삶의 질과 사회복지 경로분석" 충북대학교, 1998

      10 이현주,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6 (1) : 345 ~ 367, 2015

      11 "치매 수발의 고통, 한류스타 가정도 무너뜨렸다" 조선일보, 2014

      12 김경숙, "재가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모형" 서울대학교, 2007

      13 이영휘, "재가복지서비스 신청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영향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15 (3) : 274 ~ 283, 2008

      14 한은정, "재가급여 이용자의 이용지원 상담체계 개선방안" 2013

      15 조윤희, "재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및 전문적 도움 요구" 한국노년학 30 (2) : 369 ~ 383, 2010

      16 이혜자, "재가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케어복지학회지 2 (1) : 33 ~ 60, 2006

      17 김혜경, "재가 요보호노인 가족케어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 노노케어자와 일반케어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37) : 49 ~ 65, 2007

      18 서문진희, "장기요양필요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2 (4) : 3 ~ 33, 2011

      19 임진섭, "장기요양제도 발전을 위한 비공식케어 활성화 방안" 2011

      20 이홍자, "장기요양서비스 전·후 가족의 수발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2) : 236 ~ 247, 2012

      21 한은정,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지원체계 개선방안" 2012

      22 윤현숙,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배우자와 자녀 비교-" 한국노년학 27 (1) : 195 ~ 211, 2007

      23 한은정,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행정학회지 24 (1) : 71 ~ 84, 2014

      24 김수영, "울산광역시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노인부양실태와 삶의 질"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 (25주년 기념 여름 특집), 2003

      25 윤은경, "요보호노인에 대한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 : 재가노인과 시설생활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7) : 289 ~ 307, 2010

      26 김분한, "여성가족부양자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6 (2) : 264 ~ 275, 2004

      27 모선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가족의 부양부담 변화" 비판사회정책 (40) : 7 ~ 31, 2013

      28 최인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11

      29 김영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자 가족의 가족관계만족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재가서비스 이용자가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6) : 115 ~ 136, 2012

      30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고객만족도 및 대국민 인식도조사 결과" 2014

      31 홍숙자,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2010

      32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보고서" 2011

      33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법령집"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34 조진선,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 수급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경감 영향 요인" 원광대학교, 2008

      35 이창주,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전달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재가서비스 이용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매개변수로 해서" 한국정책연구 11 (2) : 265 ~ 283, 2011

      36 권진희,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 경감방안 연구" 2014

      37 김미경,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자의 간호요구에 따른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5 (3) : 7 ~ 16, 2014

      38 선우덕, "노인장기요양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2014

      39 홍여신, "노인성 치매환자 가족간호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효과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5 (1) : 45 ~ 60, 1995

      40 이해정, "노인대상자를 돌보는 비전문 간호제공자의 대응기전과 건강반응 예측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0 (4) : 893 ~ 904, 2000

      41 박영준, "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갈등, 부양부담 및 사회적 지지간의 인과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 53 ~ 77, 2008

      42 이신숙, "기혼여성의 부양스트레스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4

      43 이현주, "고령노인을 수발하는 여성노인의 부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한국케어복지연구 4 (1) : 271 ~ 300, 2009

      44 양난주,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족은 왜 요양보호사가 되었나?" 한국사회정책 20 (2) : 97 ~ 129, 2013

      45 Dwyer, M. C., "Using GIS to assess urban tree canopy benefits and surrounding greenspace distributions" International Society of Arboriculture, 1990

      46 Schumacher K. I., "The stress process in family caregivers of persons receiving chemotherapy" Res Nurs Health 16 (6) : 395 ~ 404, 1993

      47 Ingersoll, D. B.,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recipient behaviors and spousal caregiving stress" The Gerontologist 44 (3) : 318 ~ 327, 2004

      48 Kosberg, J. I., "The cost of care index: A care management tool for screening informal care providers" The Gerontologist 26 : 273 ~ 277, 1986

      49 Thompson, E. H., "The burden of families coping with the mentally ill" Family Relations 31 : 379 ~ 388, 1982

      50 Mittelman, M., "Sustained benefit of supportive intervention for depressive symptom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 Am J Psychiatry 161 (5) : 850 ~ 856, 2004

      51 Zarit, S. H.,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givers: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26 (3) : 260 ~ 266, 1986

      52 Doctor, R. M., "Stress. In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ramachandran" Academic Press, 1994

      53 Arksey, H., "Review of respite services and short-term breaks for carers for people with dementia" NHS SDO, 2004

      54 Schulz, R., "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 caregiver health (REACH): overview, site, specific outcomes, and future directions" The Gerontologist 43 (4) : 514 ~ 520, 2003

      55 Zarit, S. H.,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 (6) : 649 ~ 655, 1980

      56 Hughes, L.,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Gerontologist 39 : 534 ~ 545, 1999

      57 Grad, J., "Mental illness and family" Lancet 9 (1) : 544 ~ 547, 1963

      58 Pruchno, R. A., "Mental health of caregiving spouses: coping as mediator, moderator, or main effect?" Psychology and Aging 4 (4) : 454 ~ 463, 1989

      59 Adler, G., "Institutional respite care: benefits and risks for dementia patients and caregiver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5 (1) : 67 ~ 77, 1993

      60 Arai, Y., "Factors related to feelings of burden among caregivers looking after impaired elderly in Japan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sychiatry Clin Neurosci 58 : 396 ~ 402, 2004

      61 Bull, M. J., "Factors influencing family caregiver burden and health"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3 : 756 ~ 776, 1990

      62 Zhan, H. J., "Chinese caregiving burden and the future burden of elder care in life-course perspective" Int’l J.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 (4) : 267 ~ 290, 2002

      63 Pearlin, L. I.,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An ob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 (5) : 583 ~ 594, 1990

      64 Montgomery, R. J. V., "Caregiving and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 (1) : 19 ~ 26, 1985

      65 George, L.K., "Caregiver well-being : Amultidimensional examinaton of famil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 26 (3) : 253 ~ 259, 1986

      66 Novak, M.,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37 (2) : 239 ~ 249, 1989

      67 "28년 간병 금실부부도 무너뜨린 복지사각" 경향신문,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