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해항 대기오염 물질 확산 패턴 및 저감 방안 = Air Pollutant Diffusion Pattern Analysis and Mitigation Measures in DongHea 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4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hae Port functions as a logistics hub for bulk cargo, such as cement and coal, within the Gangwon region and has the potential to expand its logistics connections with Northeast Asia based on this industrial foundation. However, the port’s operations have led to significant air pollution issues, impacting local residents' health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dispersion patterns of major air pollutants generated at Donghae Port and to propose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Analysis reveals that fine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ozone (O3), and nitrogen dioxide (NO2) are primary pollutants, with distinct dispersion patterns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and geographic fea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mitigation strategies such as regular water spraying, installation of dust towers,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providing insights into sustainable growth for Donghae Port and a policy framework to protect public health.
      번역하기

      Donghae Port functions as a logistics hub for bulk cargo, such as cement and coal, within the Gangwon region and has the potential to expand its logistics connections with Northeast Asia based on this industrial foundation. However, the port’s opera...

      Donghae Port functions as a logistics hub for bulk cargo, such as cement and coal, within the Gangwon region and has the potential to expand its logistics connections with Northeast Asia based on this industrial foundation. However, the port’s operations have led to significant air pollution issues, impacting local residents' health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dispersion patterns of major air pollutants generated at Donghae Port and to propose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Analysis reveals that fine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ozone (O3), and nitrogen dioxide (NO2) are primary pollutants, with distinct dispersion patterns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and geographic fea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mitigation strategies such as regular water spraying, installation of dust towers,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providing insights into sustainable growth for Donghae Port and a policy framework to protect public heal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해항은 강원 지역 내 시멘트, 석탄과 같은 벌크 화물의 물류 거점으로써의 역할을 하고있으며, 이러한 산업적 기반을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과의 물류 연계를 확대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항만 운영에 따른 대기오염 문제로 인해 지역 주민의 건강과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항에서 발생하는 주요 대기오염 물질의 확산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저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PM10, PM2.5), 오존(O3), 이산화질소(NO2) 등이 주요 오염원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상 조건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적인 물 분사, 분진 타워 설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의 저감방안을 제안하며, 동해항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지역 주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선순환적 정책 메커니즘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동해항은 강원 지역 내 시멘트, 석탄과 같은 벌크 화물의 물류 거점으로써의 역할을 하고있으며, 이러한 산업적 기반을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과의 물류 연계를 확대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동해항은 강원 지역 내 시멘트, 석탄과 같은 벌크 화물의 물류 거점으로써의 역할을 하고있으며, 이러한 산업적 기반을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과의 물류 연계를 확대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항만 운영에 따른 대기오염 문제로 인해 지역 주민의 건강과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항에서 발생하는 주요 대기오염 물질의 확산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저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PM10, PM2.5), 오존(O3), 이산화질소(NO2) 등이 주요 오염원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상 조건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적인 물 분사, 분진 타워 설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의 저감방안을 제안하며, 동해항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지역 주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선순환적 정책 메커니즘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