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 대학의 재한중국인 유학생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한중수교 이래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들 중 중국유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720305
천안 :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 2012. 2
2012
한국어
충청남도
vi, 78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각 대학의 재한중국인 유학생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한중수교 이래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들 중 중국유학...
세계 각 대학의 재한중국인 유학생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한중수교 이래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들 중 중국유학생들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대거 유입되는 중국유학생들은 한국대학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하면서 대학생활적응에 적응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대학생활 부적응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을 위한 실제적인 개입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이 우울 및 불안이라는 보고를 바탕으로, 중국인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정서적응 및 대학생활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한중국유학생들의 정서적응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
2.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한중국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
3. 추후검사 및 추후인터뷰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aker & Siryk(1989)에 의해 개발되고, 현진원(1992)에 의해 번안되어진 대학 생활 적응 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위변인 개인-정서적 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Sirgy, Efraty, Siegel와 Lee(2001)이 직장 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욕구 만족 이론을 통해 측정한 문항을 김지현(2007)이 대학 생활 만족도에 맞게 재구성한 것으로 , 총24문항으로 이루어진 대학생활욕구만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하였으며, 집단구성원은 C시에 소재한 N대학의 재한중국유학생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집단상담은 N대학의 학생생활상담센터에서 이루어졌으며, 1주일에 1회 2시간씩 총 8주 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세션과 및 사후세션을 가졌으며, 통제집단에는 사전세션과 사후세션만 갖고 아무런 처지를 하지 않았다. 또한 프로그램효과에 대한 지속성을 추적하기 위한 추후검사 및 인터뷰를 통해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A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순위 합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후설계를 위한 추후검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에서 실시한 면접내용은 영역별로 개념과 범주를 유목화 하여 자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의미한 주제를 발견하는 주제분석방법(Pattoon, 1990)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재한중국유학생들의 정서적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하지만 추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재한유학생들의 정서적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인터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정서적응의 증진에 긍정적인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재한중국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사후검사에 대한 Wilcoxson Rank sum test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Z=2.04, p < .05).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학생들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활에서의 욕구만족이 증진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추후검증을 위하여 프로그램실시 후 시기 간 차이를 두어 재한유학생들의 정서적응 및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추후검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후검사 결과, 개인정서적응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S=-13, p < .05), 대학생활욕구만족에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는데(S=14, p < .05), 집단구성원 간 평균값의 상승 폭이 편차가 크게 나타나 양의 부호 값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9개의 하위 영역에서 모든 평균값이 상승하고 표준편차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결과로 사료된다. 이는 실험집단의 재한 중국유학생들이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정서적응 및 대학생활만족수준이 증진되었음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추후검사와 함께 이루어진 인터뷰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힘들었던 경험이나 어려움을 나눔으로써 심리적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동질집단으로부터 격려를 받음으로서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s of Chinese students in colleges in all parts of the world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is also rapidly growing, and Chinese students hav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foreign students since ...
The numbers of Chinese students in colleges in all parts of the world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is also rapidly growing, and Chinese students hav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foreign studen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China. Chinese students flowing into Korea in large numbers a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as beginning studying in colleges in Korea, and such difficulties lead to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Regarding this, in Korea, studies of foreign students' college liv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hile those of practical interventions for them have been lacking.
Accordingly, based on reports that the main symptoms that foreign students experience are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determine their effectiveness.
Toward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ill a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 emotional adapta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2. Will a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3. Do follow-up tests and interviews presen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ACQ(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Baker & Siryk(1989) and adapted by Hyun Jin-Won(1992), was employed to measure the object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scale, a sub-variable, was us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employed a college life satisfaction scale consisting of 24 questions, which is a restructured version by Kim Ji-Hyun(2007) of the Quality of Working Life questionnaire designed by Sirgy, Efraty, Siegel, and Lee(2001) based on need satisfaction theory.
In this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o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N University in C City― the experimental group of ten and the control group of ten. Group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at the student life counseling center of N University on a weekly basis, two hours per session, for eight week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sessions and post-sessions were conducted, and no other interventions except for pre-sessions and post-sessions were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follow-up tests and follow-up interviews for following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rogram, SA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s α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the Wilcoxon rank-sum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Moreov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follow-up tests for a further design,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was conducte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ubject analysis method(Pattoon, 1990), which allows identifying significant subjects that repeatedly appear in data by classifying concepts and categories in each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emotional adapta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Nevertheless, the results of follow-up tests revealed that the Chines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d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 objec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adaptation.
Seco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the Wilcoxon rank-sum test for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Z=2.04, p < .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bjects' college life satisfaction improved through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ird, for further ver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follow-up tests and interviews of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at an interval of certain time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both in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S=-13, p < .05)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S=14, p < .05). It is interpreted that the latter showed the positive value because of the great deviation in increases in the average values among the group members. However, it is regarded as a positive result considering that all of the average values increased and the standard deviation decreased in nine sub-categories. This suggests that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and that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lasting. The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along with the follow-up tests, revealed that the program positively changed the objects' attitudes by helping them to relieve their psychological stress through sharing their tough experiences or difficulties and being encouraged by their homogeneous group.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