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1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학습조직을 분석한 Watkins & Marsick의 학습이론을 수용하여 7가지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바탕으로 조직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서울시 소재 지역사회복...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학습조직을 분석한 Watkins & Marsick의 학습이론을 수용하여 7가지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바탕으로 조직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서울시 소재 지역사회복지관의 학습현황과 학습조직구축 정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중심으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분석함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구축과 조직효과성의 제고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학습조직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및 조직효과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9월 15일부터 10월 25일까지 하였으며, 총 40개의 사회복지기관 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 전반적인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은 전략적 리더쉽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균 5점 만점에 3.7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을 살펴보면, 학교법인, 여자, 대학원 재학이상, 과장급 이상이 학습조직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학교법인, 대학원재학이상, 과장급 이상, 6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사회복지사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간에는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효과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 하위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직무만족,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직무성과 간에 유의한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조직에서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략적 리더쉽과 팀학습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팀학습과 지식공유 시스템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학습조직 이론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이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복지사들은 전략적 리더쉽을 통해 팀학습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 전문가로서의 실력을 갖추기 위한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Watkins & Marsick의 학습이론을 수용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특히 학습조직 구축요인 7가지 중 전략적 리더쉽과 팀학습, 지식의 공유가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조직과 사회복지 모두 학습조직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며 학습조직을 실천하는 조직문화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에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사회복지기관으로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회복지조직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는 학습을 보다 체계화시키고, 사회복지조직의 향후 학습조직 활동은 활성화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효과를 높혀 조직의 효과성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un-Jung Nam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upervisied b...

      Abstract

      A Study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un-Jung Nam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upervisied by Prof. Jung-Ho Park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status of learning and extent of study organization building of gener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t Seoul city to find ou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based on 7 learning building factors by taking the Watkins & Marsick's learning theory to analyz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aspect of integration. Putt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implication on the building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rganization's building factor that effec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cused i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suggested through literature consideration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survey was implemented concerning 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Data collection term for this research is from September 15, 2010 to October 25, 2010, surveying total of 27 people in 40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analyzed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fter analyzation of overall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 awareness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concerning strategic leadership proved the highest, and the awareness level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turned out to score 3.72 out of 5.
      Secondly, looking at the awareness level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the school corporate, female, acquired degree of masters or higher, position higher than managers ha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The awareness level of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 turned out the school corporate, acquired degree of masters or higher, position higher than managers, social worker with more than 6 years work experience scored the highest, however there wasn't much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genders.
      Thirdly,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performanc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job satisfaction correlated static turned out in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lower rank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urthly, studying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zat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building fact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learning building fact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t could be seen that strategic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positively e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and team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system gives positive effect also.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ays that learning organization significantly a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specially, the analysis shows that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need to learn continuously for professional ability through the team-learning based on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knowledge-sharing.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concerning the learning organization's learning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rst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on the point of accepting the learning theory of Watkins & Marsick on the integrating aspect. It especially has a meaning in showing empirical data that strategical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from the 7 learning organization factors, a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s significantly.
      Secondly,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an have professionalism handling the change of the times and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to local community by enhanc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as well as providing opportunity to develop organization culture and practical learning organization.
      Finally, this research can systematize current learning with various types, and invigorate the future learning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ultimately to creat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rough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Key Word :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earning Organization,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Job Performance,
      Organization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1
      • 제 1 절. 문제제기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5
      • II. 이론적 배경 .................................................................................... 6
      • I. 서 론 .............................................................................................. 1
      • 제 1 절. 문제제기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5
      • II. 이론적 배경 .................................................................................... 6
      • 제 1 절. 학습조직 ............................................................................................... 6
      • 1. 학습조직의 개념 및 특성 ........................................................................ 6
      • 2. 학습조직의 제이론 ................................................................................ 13
      • 3. 학습조직 구축요인 ................................................................................ 16
      • 제 2 절. 조직효과성 ......................................................................................... 21
      • 1. 조직효과성의 개념 ................................................................................ 21
      • 2. 조직효과성의 구성요소 ........................................................................ 26
      • 3. 조직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 .............................................................. 33
      • 제 3 절. 학습조직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 ................................. 35
      • III. 연구방법 .................................................................................... 39
      • 제 1 절. 연구모형 ............................................................................................. 39
      • 제 2 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 40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 40
      • 1) 독립변수 ............................................................................................. 40 2) 종속변수 .............................................................................................. 41
      • 2. 측정도구의 구성 및 신뢰도 ................................................................ 42
      • 제 3 절. 자료분석방법 .................................................................................... 43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43
      • 2. 자료분석방법 ........................................................................................... 44
      • IV. 연구결과 .................................................................................... 45
      • 제 1 절. 분석대상의 일반적 특성 ................................................................ 45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5
      • 2. 독립변수의 전반적인 수준 분석 ...................................................... 48
      • 3. 종속변수의 전반적인 수준 분석 ...................................................... 49
      • 제 2 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조직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 수준 ..... 51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조직구축요인에 대한 인식수준 ........ 51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인식수준 ................................. 57
      • 3. 사회복지조직의 학습구축요인, 조직효과성 간 상관관계 ........... 62
      • 제 3 절. 사회복지조직의 학습구축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63
      • 1. 사회복지조직의 학습구축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63
      • 2. 사회복지조직의 학습구축요인이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 ......................................................................................................................... 66
      • V. 요약 및 결론 ............................................................................... 71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 71
      • 제 2 절. 연구의 함의 ...................................................................................... 76
      • 제 3 절. 제언 ..................................................................................................... 79
      • 참고문헌 ........................................................................................... 81
      • 부 록 ...........................................................................................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