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다문화 교육: 인식의 전환을 통한 포괄적 접근 가능성 탐색 =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 of Perception through Inclusive Approach Possi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5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유아 자체에 대한 관심과 문화 생산자로서 유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그 동안 ``아주 작은 차이``로만 여겨져 왔던 유아와 성인의 ``생...

      본 연구에서는 유아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유아 자체에 대한 관심과 문화 생산자로서 유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그 동안 ``아주 작은 차이``로만 여겨져 왔던 유아와 성인의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진정한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적 접근이 가지는 인식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 및 유아기에 대한 성인들의 인식의 전환으로부터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유아기 또래문화가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는 유아다문화교육이 보다 포괄적인 범위와 의미를 담아내는 것으로, 유아기 아동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교육자들로 하여금 모든 유아들이 질높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며, 이들을 위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도록 이끌고자 했다. 이러한 고민들이 결과적으로 교실의 문화를 변화시켜나갈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rgued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put its emphasis on the acknowledgement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 which once regarded as ``small difference``. To do so this paper tries to see infant...

      This paper argued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put its emphasis on the acknowledgement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 which once regarded as ``small difference``. To do so this paper tries to see infant as subjective being and as producer of the culture. First of all, the paper reviewed recognizing limitation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which was used in the childhood education. Next, the pap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early childhood peer culture, thereby insisting that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from the transition of adult`s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 and childhood This kind of discussion, encompassing a broader boundary and meaning of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ants in the early childhood in real sense. In addition, the paper tried to induce educators of infants into new concerns that all infants should be given the rights to an high-quality education and thus they should have new thoughts and minds o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m. This new thoughts and minds are expected to be facilitators in changing their classroom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usey, M., "하버마스의 사회사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2 "쿠키뉴스 (2007년 11월 6일). 다문화, 다인종 사회"

      3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현대 사회학의 이해" 민음사 1998

      4 설동훈,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도의 쟁점" 53 : 6-9, 2003

      5 김영옥, "유아기 민주시민 교육의 내용, 방법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15 (15): 39-58, 1995

      6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7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08

      8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Ⅲ: 다문화주의의 적용" 5 : 49-63, 1997

      9 박미경,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7, 2008

      10 Suransky, P. V., "아동기의 실종: 탁아․유아 교육의 실태와 대안" 교보문고 1996

      1 Pusey, M., "하버마스의 사회사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2 "쿠키뉴스 (2007년 11월 6일). 다문화, 다인종 사회"

      3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현대 사회학의 이해" 민음사 1998

      4 설동훈,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도의 쟁점" 53 : 6-9, 2003

      5 김영옥, "유아기 민주시민 교육의 내용, 방법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15 (15): 39-58, 1995

      6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7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08

      8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Ⅲ: 다문화주의의 적용" 5 : 49-63, 1997

      9 박미경,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7, 2008

      10 Suransky, P. V., "아동기의 실종: 탁아․유아 교육의 실태와 대안" 교보문고 1996

      11 김광억, "문화의 다문화적 접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12 Wuthnow, R, "문화분석" 도서 출판 한울 2003

      13 Sarup, M., "마르크스주의와 교육이론" 한길사 1987

      14 윤갑정,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호주를 중심으로-.학교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33-54, 2007

      15 윤갑정,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47-168, 2006

      16 윤갑정,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55-85, 2008

      17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3, 2007

      18 강민정, "다문화내용의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다문화에 대한 태도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위덕대학교 2008

      19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실태조사" 국가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6

      20 김영옥,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5-68, 2007

      21 윤갑정,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내용분석 및 유아반응 - 국내 다문화가정을 반영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45-72, 2009

      22 박철희,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초등 사회·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09-129, 2007

      23 장인실,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09-431, 2003

      24 김희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95-118, 2007

      25 천희영, "국내 유아교육 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29-39, 2008

      26 Durkheim, E., "교육과 사회학, 교육신서 66" 배영사 1981

      27 박미경,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2007

      28 오경희, "계층이 다른 두 유치원 또래문화의 젠더특성 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경계와 공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51-76, 2007

      29 박미경,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115-136, 2007

      30 Mayall, B., "Towards a sociology for childhood: thinking from children's lives" Open University Press 2002

      31 deMarrais, B. K., "The way schools works: a sociological analysis of education, second edition" Longman Publishers USA 1995

      32 Wilson, W. J.,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3 Corsaro, W., "The sociology of childhood" Pine Forge Press 1997

      34 Danby, S., "The serious and playful work of gender talk and social order in a preschool classroom. in : Gender in early childhood" Routledge 175-205, 1998

      35 Schlesinger, A. Jr., "The disuniting of America: reflections on a multicultural society" Whittle Direct Books 1991

      36 Dunn, J., "The beginnings of social understand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37 Parsons, T., "The School class as a social system: some of its functions in American society. In Education, economy, and soceity: A reader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Free Press 1965

      38 Flerx, V.C., "Sex role stereotypes: Developmental aspects and early intervention" 47 : 998-1007, 1976

      39 Lubeck, S., "Sand box society. in : Schools and society: A unified reader(2nd ed.)" Sand box society 280-291, 1989

      40 Bourdieu, P.,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SAGE Publications 1977

      41 Williams, J. E., "Race, color and the young child"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76

      42 Banks, A. J.,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s, and practice. in :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ssey-Bass Inc., A wiley Company 30-24, 2001

      43 Gollnick,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seven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6

      44 Bourdieu, P., "Language & symbolic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45 Lubeck, S., "Kinship and classrooms: an ethnographic perspective on education as cultural transmission" 57 (57): 219-232, 1984

      46 Corsaro, W, "I Compagni: understanding children's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Columbia University 2005

      47 Goodwin, M., "He-said-she-said: talk as social organization among black childre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48 Spade. Z. J., "Gender socialization and education: Where we've been and where we might go" 301-306, 2002

      49 Thorne, B., "Gender play: Girls and boys in school" Rutgers University Press 1993

      50 Paterson, O., "Ethnic chauvinism: The reactionary impulse" Stein & Day 1977

      51 Stephens, S., "Children at risk: constructing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1 : 246-251, 1993

      52 Jenks, C., "Childhood(2nd ed)" Taylor & Francis Group 2005

      53 Hoffman, M. D., "Childhood ideology in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cultural view"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54 Ford, N. A., "Black studies: threat-or-challenge" Kennikat Press 1973

      55 Porter, J. D. R., "Black child, white child: the development of racial attitud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56 Sleeter, C.E.,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7 : 421-444, 1987

      57 Bruner, J.,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58 Prout, A, "A new paradigm for the sociology of childhood? provenance, promise and problems. in : 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contemporary issues in the sociological study of childhood" Falmer Press 7-33, 1999

      59 Leo, L., "A fringe history of the word" U.S. News and World Report 25-26,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