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칙『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교회론적 고찰 :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25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08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수의 승천 이후 교회는 자신의 신원과 정체성에 관해 끊임없이 성찰하며 물어왔고, 또 앞으로도 항구히 그것을 찾아가며, 시대의 흐름과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이를 그리스도의 빛에 비추...

      예수의 승천 이후 교회는 자신의 신원과 정체성에 관해 끊임없이 성찰하며 물어왔고, 또 앞으로도 항구히 그것을 찾아가며, 시대의 흐름과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이를 그리스도의 빛에 비추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나아갈 것이다. 이처럼 교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세상 곳곳에 퍼져 나가고 있으며,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짧은 기간 큰 성장을 이루어 왔음에는 틀림없다. 또한 교회는 주님의 명령에 따라 세상 안에서 자신의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인류의 복음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과 넘쳐흐르는 다양한 이념과 사상들, 문화의 혁명과 더불어 진일보한 문명은 분명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하였지만 그로 인한 다양한 폐단들과 함께 인간적인 한계들 앞에서 교회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즉 세상 안에서 교회 역시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교회는 의도치 않게 자신의 본 모습을 잃어가거나 본분을 망각한 채 쉽게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다.
      그렇다면 교회가 오늘날까지 존립할 수 있었던 이유와, 교회를 교회로서 존재하게 하는 그 본질이 무엇인지 본고에서는 다루어 보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새로운 교회론의 전망이나 제시를 하지 않았다. 반대로 끊임없이 교회가 이루어왔던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이를 통하여 현대의 위기 안에서 교회의 모습을 진단하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곧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과 교회의 이해를 연구하여 그가 말하고자 하는 교회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회칙에 대한 교회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곧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에 영향을 주었던 성인들과 학자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사랑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본고에서 제일 주된 부분인 교회의 본분인 삼중 직무를 회칙 25항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오늘날 현대 교회의 다양한 위기 안에서 교회가 지녀야 할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했으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는 기존의 교회론에 대한 회복을 언급하며,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 맞서는 교회의 참된 모습을 전망하였다.
      이처럼 교회는 그 오랜 역사 속에서 그리고 세상 안에서 함께 숨 쉬고 공생하며 존속하였기에, 그만큼 교회가 처음 지니고 있던 순수성과 앞서 살펴본 그리스도교의 핵심이 왜곡되거나 그 색을 차츰 잃어 갔다. 그 결과 오늘에 이르러서 외형적으로는 어느 때보다 거대한 성장을 이룬 교회이지만, 그에 못지않은 병폐와 부패 역시 내부적으로 생겨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에 ‘교회가 교회로서 존재할 수 있게끔 하는 그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을 지금에서 던지는 것은 그리 무모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이미 교회가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교회의 본질을 다시금 재조명하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Church has reflected and asked continuously about their own identity. Also in the future, it will find out that way eternally and verify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the Christ. Likewise, the ...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Church has reflected and asked continuously about their own identity. Also in the future, it will find out that way eternally and verify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the Christ.
      Likewise, the Present Church is proliferating all over the world than any centuries and has improved in a very brief time, either internally and externally.
      Also the Church has made an effort in his inherent role to evangelization of Human Being, while working by order of the Lord in this world.
      Nevertheless the rapid stream of the ages, overflowing and various ideologies, thoughts, cultural revolutions, developed civilizations provided lots of benefits with humanity, but as a result of it, with this negative effects and human limitations, the Church couldn’t be free.
      In a word, the Church was affected by lots of negative things in this world, it had experienced to lose its inherent role or forget its own duty and exposure from these dangers.
      Thus, we ranged over ‘what’s the reasons to exist the Church until now’ and ‘what’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That’s why, it didn’t present new vision of ecclesiology. On the contrast, it treated the ecclesiastical essence and vo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And proposed the way which the Church have to go to the next step in a modern crisis.
      In Chapter 1, It focused the general understanding and study as to this encyclical. That is to say, we studied the theological ideology and ecclesiastical understanding of the Emeritus Pope Benedict XVI on the base of his encyclical, examin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ecclesiology.
      In Chapter 2, It tried to ecclesiastical approach about this encyclical. Shortly, after we had looked back on the Saints and Scholars who had affected to the theological ideology of Benedict XVI, we studied ‘Ecclesiastical Perspective as a Community of Love’ on the basis of it, and we studied triple duties that is most important part in the Church in the view of this encyclical paragraph 25.
      In Chapter 3, we considered that ‘what’s the image and role will be presented in the Church’. It is the mention of the original ecclesiology and prospect the truthful image of the Church that will be confronted with becoming age.
      The Church has breathed and exist from the ancient history in the world. So the purity and the essential point was distorted and lost their colors. And even to this very day, the Church has grown up so developmentally then any centuries, but also it has social maladies and corruptions.
      So it is not the absurd question that we ask ‘what i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It is figured out as a great meaningful work that the Church illuminating what the Church and we already knew about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본 론 6
      • Ⅰ.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연구 6
      •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본 론 6
      • Ⅰ.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연구 6
      • 1.1. 회칙의 배경과 목적 6
      • 1.2. 회칙 1부의 역할 10
      • 1.3. 회칙 2부에 대한 고찰 12
      • 1.3.1. 회칙 2부의 역할 12
      • 1.3.2. 회칙 2부의 중요성 13
      • 1.3.3. 회칙 2부의 구조 분석 14
      • Ⅱ. 회칙『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2부에 대한 교회론적 접근
      • 18
      • 2.1. Benedict 16세의 신학 사상 18
      • 2.1.1. 신학적 배경 18
      • 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18
      • 나. 보나벤투라(Bonaventura) 21
      • 다. 로마노 과르디니(Romano Guardini) 23
      • 2.1.2. 신학적 특징 26
      • 가. 회복(ressourcement) 26
      • 나. ‘하느님 백성’과 ‘그리스도의 지체’로서의 교회 30
      • 다. ‘성찬례를 통한 친교’로서의 교회 33
      • 2.2. 회칙을 통해 바라본 ‘사랑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이해 36
      • 2.2.1. ‘삼위일체 사랑’ 표현 안에서 교회의 사랑 이해 36
      • 2.2.2. 교회의 본분인 사랑 39
      • 2.2.3. ‘교회의 사랑 실천’의 고유한 형태 42
      • 2.3. 회칙 25항을 통해 바라본 ‘교회의 본분인 삼중 직무’ 45
      • 2.3.1. 하느님 말씀의 선포(kerygma-martyria) 45
      • 가. 교회의 사명 47
      • 나. 복음의 선포자 50
      • 다. ‘선포-증거’의 관계 52
      • 2.3.2. 성사 거행(leitourgia) 54
      • 가. 그리스도의 성사인 교회 54
      • 나. 구원의 성사인 교회 56
      • 다. 사랑의 성사인 교회 58
      • 2.3.3. 사랑의 섬김(diakonia) 60
      • 가. 봉사의 원리인 사랑 61
      • 나. Benedict 16세의 사랑 실천 방향 62
      • 다. 교회의 사랑 실천에 대한 책임 64
      • Ⅲ. 현대 교회의 위기 안에서 교회의 본질 및 역할 고찰 67
      • 3.1. 현대 교회의 위기 67
      • 3.1.1. 신자유주의적 흐름 69
      • 3.1.2. 탈종교적 세속주의 문화 73
      • 3.1.3. 과학의 도전 76
      • 3.2. 교회의 본질 및 역할에 대한 고찰 79
      • 3.2.1. 교회 직무의 본질 79
      • 3.2.2. ‘세상 안에서의 교회’의 역할 81
      • 3.2.3. 교회의 본질 83
      • 3.3. 회복 그리고 전망 86
      • 결 론 90
      • 참고문헌 94
      • 국문초록 99
      • Abstract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