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난타> 공연의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31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forming Arts is comprised with combinations and communication of the artists and audience in the same space and time. As the globalization is making multi-performing arts to attract different audience having many types of cultural backgrounds, the Non-verbal Performance is also becoming one of the new performing arts in the world. The Non-verbal Performance is actively trying to communicate with global audience from the various audience participation activities to the interesting stories. Since the performance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of encoding from the cast and crew and decoding from the audience in a performance,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types of audience feedback, especially interpretation without languages, is the core to Non-verbal Performance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Non-verbal Performance communicates with Asian audience by focusing on the Korean representative performance 'Nanta(Cookin')'. It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relationship by the cultural codes in Nanta with its contents and audience feedback. This study first conducted to analyze Nanta contents categorizing by the deep, narrative and surface structures derived from the communication and cultural semiotic theories. Then, it interviewed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representing Asian audience to understand their opinions.
      As a result, Nanta attracted various audience in harmony with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Eastern and Western society. First, the deep structure found 'fun' cod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upbeat sounds of Korean percussion quartet 'Samulnori' with Western performance styles. Second, the narrative structure was about the cooks set in the kitchen, this storytelling helped the audience better understand the messages of Nanta. Third, the surface structure was consist of non-verbal codes such as gesture, props, rhythmic sounds and audience participation activ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various audience without languages. This strategy made their commercial success and the audienc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In the focusing group interview(FGI), the participants also showed similar responses to each one's as far as the contents goes. Their high profiles on the Korean culture affected watching Nanta, and was focused on the way how Nanta expresses Korean culture. But they indicated that the elements of Korean origins were rare even though the contents was so original and interesting. In addition, they gave other opinions about 'cutting vegetables' scene seemed like mistreating and wasting food, and the strict organizational hierarchy from the relationships of Nanta character reminded them of Korean social structure they are facing in the Korean life. To conclude, the participants who are comfortable with Korean culture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expected to experi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Korean original culture through Nanta.
      Therefore, this study has opened up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qualitative audience research by exemplif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the Asian audi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Non-verbal Performance and other cultural industries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various prospects of Asian and other cultural areas.
      번역하기

      The Performing Arts is comprised with combinations and communication of the artists and audience in the same space and time. As the globalization is making multi-performing arts to attract different audience having many types of cultural backgrounds, ...

      The Performing Arts is comprised with combinations and communication of the artists and audience in the same space and time. As the globalization is making multi-performing arts to attract different audience having many types of cultural backgrounds, the Non-verbal Performance is also becoming one of the new performing arts in the world. The Non-verbal Performance is actively trying to communicate with global audience from the various audience participation activities to the interesting stories. Since the performance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of encoding from the cast and crew and decoding from the audience in a performance,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types of audience feedback, especially interpretation without languages, is the core to Non-verbal Performance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Non-verbal Performance communicates with Asian audience by focusing on the Korean representative performance 'Nanta(Cookin')'. It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relationship by the cultural codes in Nanta with its contents and audience feedback. This study first conducted to analyze Nanta contents categorizing by the deep, narrative and surface structures derived from the communication and cultural semiotic theories. Then, it interviewed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representing Asian audience to understand their opinions.
      As a result, Nanta attracted various audience in harmony with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Eastern and Western society. First, the deep structure found 'fun' cod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upbeat sounds of Korean percussion quartet 'Samulnori' with Western performance styles. Second, the narrative structure was about the cooks set in the kitchen, this storytelling helped the audience better understand the messages of Nanta. Third, the surface structure was consist of non-verbal codes such as gesture, props, rhythmic sounds and audience participation activ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various audience without languages. This strategy made their commercial success and the audienc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In the focusing group interview(FGI), the participants also showed similar responses to each one's as far as the contents goes. Their high profiles on the Korean culture affected watching Nanta, and was focused on the way how Nanta expresses Korean culture. But they indicated that the elements of Korean origins were rare even though the contents was so original and interesting. In addition, they gave other opinions about 'cutting vegetables' scene seemed like mistreating and wasting food, and the strict organizational hierarchy from the relationships of Nanta character reminded them of Korean social structure they are facing in the Korean life. To conclude, the participants who are comfortable with Korean culture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expected to experi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Korean original culture through Nanta.
      Therefore, this study has opened up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qualitative audience research by exemplif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the Asian audi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Non-verbal Performance and other cultural industries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various prospects of Asian and other cultural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가와 관객이 같은 시공간에서 함께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행위예술인 공연은 공연과 관객이 소통함으로써 비로소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나타난 세계화의 영향으로 공연 역시 국경을 넘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관객들을 만나게 되면서 점차 복합예술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새롭게 나타난 ‘넌버벌 퍼포먼스’는 대사가 아닌 몸짓과 소리만으로 전세계 관객의 감성을 자극하며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넌버벌 퍼포먼스는 다양한 관객 참여 요소와 코믹한 스토리로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 공연 제작자와 배우 등은 공연을 매개로 그들이 생성한 문화코드를 관객에게 전달하고, 이어서 관객은 개인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즉각적이고 중재된 피드백의 형태로 공연에 반응, 해석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 공연을 재생산하는데, 특히 언어가 생략된 넌버벌 퍼포먼스의 경우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관객들이 공연의 문화코드를 어떻게 해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넌버벌 퍼포먼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에 필요한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이미 세계적으로 흥행성을 인정받고 있는 <난타> 공연을 중심으로 공연콘텐츠가 실제 관객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 그 의미작용 과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연 커뮤니케이션과 문화기호학의 이론에서 도출한 ‘공연콘텐츠와 관객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통해 <난타> 콘텐츠를 심층구조, 서사구조, 표층구조로 분석하고, 현재 <난타>의 주요 관객층을 이루고 있는 아시아 관객 중 한국에서 1년 이상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여 그들의 반응과 해석을 앞서 도출한 공연콘텐츠의 문화코드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난타> 콘텐츠는 비언어, 관객 참여 장치, 코믹한 스토리 등을 통해 확보한 세계적인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한 두드림과 혼합의 문화코드로 전세계 관객들이 <난타>를 즐기도록 만들었다. 또한 <난타>의 전략은 상업적인 성공과 더불어 관객들이 공연을 통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시아 출신 유학생 관객들 역시 <난타>의 의도와 어느 정도 일치된 반응을 나타냈다. 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는 <난타> 관람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난타>가 한국문화를 어떻게 표현할지에 보다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공연의 내용은 참신하고 흥미로웠지만, 아시아라는 문화적 근접성 때문인지 한국만의 독특한 요소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난타>의 주요 퍼포먼스인 ‘채소 썰기’가 사물놀이 장단보다는 마치 소중한 음식 재료들의 홀대나 낭비로 느껴지고, <난타>의 캐릭터에서 발견되는 조직의 엄격한 상하관계 등을 통하여 현재 한국의 사회구조가 다시금 인식되기도 하였다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아시아 관객들은 한류의 영향과 이미 어느 정도 익숙해진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적 체험을 추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공연 연구에서 자주 활용된 관람객 수와 같은 수치적인 평가를 넘어 현재 공연을 향유하고 있는 아시아 관객들이 실제 이를 어떻게 느끼고 해석하는지를 점검하고 진단했다는 측면에서 관객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가 향후 아시아의 다양한 관객층과 더불어 기타 문화권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세계화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예술가와 관객이 같은 시공간에서 함께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행위예술인 공연은 공연과 관객이 소통함으로써 비로소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나타난 세계화의 영향으로 공...

      예술가와 관객이 같은 시공간에서 함께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행위예술인 공연은 공연과 관객이 소통함으로써 비로소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나타난 세계화의 영향으로 공연 역시 국경을 넘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관객들을 만나게 되면서 점차 복합예술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새롭게 나타난 ‘넌버벌 퍼포먼스’는 대사가 아닌 몸짓과 소리만으로 전세계 관객의 감성을 자극하며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넌버벌 퍼포먼스는 다양한 관객 참여 요소와 코믹한 스토리로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 공연 제작자와 배우 등은 공연을 매개로 그들이 생성한 문화코드를 관객에게 전달하고, 이어서 관객은 개인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즉각적이고 중재된 피드백의 형태로 공연에 반응, 해석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 공연을 재생산하는데, 특히 언어가 생략된 넌버벌 퍼포먼스의 경우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관객들이 공연의 문화코드를 어떻게 해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넌버벌 퍼포먼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에 필요한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이미 세계적으로 흥행성을 인정받고 있는 <난타> 공연을 중심으로 공연콘텐츠가 실제 관객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 그 의미작용 과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연 커뮤니케이션과 문화기호학의 이론에서 도출한 ‘공연콘텐츠와 관객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통해 <난타> 콘텐츠를 심층구조, 서사구조, 표층구조로 분석하고, 현재 <난타>의 주요 관객층을 이루고 있는 아시아 관객 중 한국에서 1년 이상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여 그들의 반응과 해석을 앞서 도출한 공연콘텐츠의 문화코드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난타> 콘텐츠는 비언어, 관객 참여 장치, 코믹한 스토리 등을 통해 확보한 세계적인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한 두드림과 혼합의 문화코드로 전세계 관객들이 <난타>를 즐기도록 만들었다. 또한 <난타>의 전략은 상업적인 성공과 더불어 관객들이 공연을 통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시아 출신 유학생 관객들 역시 <난타>의 의도와 어느 정도 일치된 반응을 나타냈다. 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는 <난타> 관람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난타>가 한국문화를 어떻게 표현할지에 보다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공연의 내용은 참신하고 흥미로웠지만, 아시아라는 문화적 근접성 때문인지 한국만의 독특한 요소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난타>의 주요 퍼포먼스인 ‘채소 썰기’가 사물놀이 장단보다는 마치 소중한 음식 재료들의 홀대나 낭비로 느껴지고, <난타>의 캐릭터에서 발견되는 조직의 엄격한 상하관계 등을 통하여 현재 한국의 사회구조가 다시금 인식되기도 하였다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아시아 관객들은 한류의 영향과 이미 어느 정도 익숙해진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적 체험을 추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공연 연구에서 자주 활용된 관람객 수와 같은 수치적인 평가를 넘어 현재 공연을 향유하고 있는 아시아 관객들이 실제 이를 어떻게 느끼고 해석하는지를 점검하고 진단했다는 측면에서 관객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가 향후 아시아의 다양한 관객층과 더불어 기타 문화권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세계화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구성 2
      • 1.3. 선행연구 고찰 3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구성 2
      • 1.3. 선행연구 고찰 3
      • Ⅱ. 이론적 배경 6
      • 2.1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의 현황 6
      • 2.1.1 넌버벌 퍼포먼스의 개념 6
      • 2.1.2 넌버벌 퍼포먼스의 대표작품과 특징 10
      • 2.2 공연 커뮤니케이션과 관객의 역할 18
      • 2.2.1 공연 커뮤니케이션 구조 19
      • 2.2.2 관객의 역할과 의미작용과정 31
      • 2.3 공연콘텐츠와 관객의 문화코드 분석모델 41
      • 2.3.1 문화코드와 공연콘텐츠 41
      • 2.3.2 공연코드의 기호화(Encoding)와 해독화(Decoding) 48
      • Ⅲ. <난타>의 현황과 콘텐츠 분석 54
      • 3.1 <난타>의 현황 및 전략 54
      • 3.1.1 <난타>의 기획과 차별화 전략 54
      • 3.2 <난타>의 콘텐츠 분석 61
      • 3.2.1 심층구조: 두드림과 혼합의 문화코드 62
      • 3.2.2 서사구조: 스토리텔링 68
      • 3.2.3 표층구조: 무대의 비언어기호와 관객 참여 장치 72
      • Ⅳ. <난타> 관객의 의미작용 분석 80
      • 4.1 연구 설계 80
      • 4.1.1 연구 참여자의 선정 80
      • 4.1.2 자료수집 82
      • 4.1.3 분석방법 83
      • 4.2 아시아 유학생 관객의 의미작용 해석 85
      • 4.2.1 표층구조: 무대의 비언어기호와 관객참여 85
      • 4.2.2 서사구조: 스토리텔링 90
      • 4.2.3 심층구조: 문화코드 해석 및 평가 93
      • Ⅴ. 결 론 100
      • 5.1 연구의 요약정리 100
      •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 102
      • 참고문헌 104
      • ABSTRACT 113
      • 표 목 차
      • 표 3-1> 난타 연혁 55
      • 표 3-2> 난타의 진화과정 58
      • 표 3-3> 난타 시놉시스 69
      • 표 3-4> 난타 등장인물 70
      • 표 4-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82
      • 그 림 목 차
      • 그림 2-1> 넌버벌 퍼포먼스 해외작품 13
      • 그림 2-2> 넌버벌 퍼포먼스 국내작품 17
      • 그림 2-3>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구성요소 20
      • 그림 2-4>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21
      • 그림 2-5> 배우, 공연, 관객의 관계 모형 21
      • 그림 2-6> 공연예술 커뮤니케이션 구조 23
      • 그림 2-7> 타데우스 코프찬의 13개 연극 기호 25
      • 그림 2-8> 케어 엘람의 연극 커뮤니케이션 모델 26
      • 그림 2-9> 멜란드로의 커뮤니케이션 행렬표 29
      • 그림 2-10> 문화콘텐츠의 의미생성 모델 44
      • 그림 2-11>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 46
      • 그림 2-12> 무용작품에 대한 관객반응모형 49
      • 그림 2-13> 송수신자간의 공연수용능력 개발모델 51
      • 그림 2-14> 공연콘텐츠와 관객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53
      • 그림 3-1> 난타 포스터와 공연장면 54
      • 그림 3-2> 난타 국내 전용극장 60
      • 그림 3-3> 풍물놀이에서 사물놀이, 그리고 난타까지 67
      • 그림 3-4> 난타의 행동자 모델 70
      • 그림 3-5> 난타 배우의 의상 75
      • 그림 3-6> 난타의 관객참여 장치 78
      • 그림 3-7> 난타 콘텐츠의 의미생성 모델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