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놀이 및 춤 특성 = Nori and danc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Nongak collected as Madang G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Nori and danc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Nongak, where Gangneung's village Nongak was concentrated as Madang Gut. We visited the concert site of Gangneung Nongak's regular presentation in 2018, watched the performance, and recorded and analyzed it for video. Gangneung Nongak's Nori and Dance were cre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hugwon Nongak, Dule Nongak, and Gullip Nongak, which were performed in villages in various Jin law, creating a highly artistic Madang Gu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ugwon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were reflected in the courtesy of Madang's Holy Motherhood and the Nori characteristics of the patriarch of Jisinbalbgi.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Dule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were reflected in the second Madang, Nongsapul-i. The play star gestures revealed in Nongsapul-i contained farmers' optimism based on insights on farming.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Gullip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consisted of Nori of the third Madang. Gullip Nongak's virtuoso performance consists of Dong-golibadgi or Yeoldubal sangmo, and the folk play that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played together in Jamaenol-i or gusgeoli, Ogobugnol-i, Jang-gutongnol-i Gangneung region It contains. Fourth, Gangneung Nongak's dance, concentrated as Madang Gut, visualized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Nongak Galag as a flow of Jinpul-i and symbolized as a dance movement in Jinpul-i. The dance was rather improvised, and the whole member was performing the dance based on the order. In dance, the basic movement, thematic movement, and the switching movement often showed the structure of combined martial arts.
      번역하기

      This study discussed the Nori and danc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Nongak, where Gangneung's village Nongak was concentrated as Madang Gut. We visited the concert site of Gangneung Nongak's regular presentation in 2018, watched the performance, and ...

      This study discussed the Nori and danc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Nongak, where Gangneung's village Nongak was concentrated as Madang Gut. We visited the concert site of Gangneung Nongak's regular presentation in 2018, watched the performance, and recorded and analyzed it for video. Gangneung Nongak's Nori and Dance were cre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hugwon Nongak, Dule Nongak, and Gullip Nongak, which were performed in villages in various Jin law, creating a highly artistic Madang Gu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ugwon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were reflected in the courtesy of Madang's Holy Motherhood and the Nori characteristics of the patriarch of Jisinbalbgi.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Dule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were reflected in the second Madang, Nongsapul-i. The play star gestures revealed in Nongsapul-i contained farmers' optimism based on insights on farming.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Gullip Nongak reflected in Gangneung Nongak consisted of Nori of the third Madang. Gullip Nongak's virtuoso performance consists of Dong-golibadgi or Yeoldubal sangmo, and the folk play that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played together in Jamaenol-i or gusgeoli, Ogobugnol-i, Jang-gutongnol-i Gangneung region It contains. Fourth, Gangneung Nongak's dance, concentrated as Madang Gut, visualized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Nongak Galag as a flow of Jinpul-i and symbolized as a dance movement in Jinpul-i. The dance was rather improvised, and the whole member was performing the dance based on the order. In dance, the basic movement, thematic movement, and the switching movement often showed the structure of combined martial a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강릉의 마을 농악이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놀이특성과 춤 특성을 논의하였다. 2018년 9월 16일 강릉농악전수관에서 개최된 제12회 대한민국농악축제 연행현장 및 초청된 연행현장을 찾아 관람하고 영상으로 기록·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강릉농악은 다양한 가락에 맞춘 진풀이 속에 구성된 춤이 반복되어 축적되고 순환되는 구조를 통해 변화하고 발전되었다. 따라서 강릉농악의 놀이와 춤은 다양한 진법 안에 마을에서 연행하던 축원농악, 두레농악, 걸립농악의 특성들이 녹여져 예술성 높은 마당놀이로 재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축원농악의 특성은 첫째 마당의 성황모시기의 진(삼중의 원진)과 서낭기, 혹은 농기, 상쇠의 고사소리를 통해 의례성을 표현하여 축원농악의 특성을 담고 있었다. 그리고 지신밟기의 방울진 위에서 마을의 집돌이를 하며 땅을 밟으며 축귀(逐鬼) 하던 축원농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두레농악의 특성은 둘째마당인 농사풀이에 구성되어 있었다. 농사풀이에 드러난 놀이별 몸짓은 농사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한 농민들의 낙관적인 시선이 담겨있었다. 셋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걸립농악의 특성은 셋째마당의 놀이로 구성되었다. 걸립농악의 기교적인 연행성과 서민적 놀이성은 셋째 마당의 ‘동고리 받기’나 ‘열두발 상모’와 같이 구성되고 있고,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며 놀던 강릉지역의 풍속을 담아낸 ‘자매놀이’나 ‘굿거리’, ‘오고북놀이’, ‘장구통놀이’도 서민적 오락성을 담아 농악 본연의 정겨운 공동체 문화를 잘 보여주게 되었다. 넷째,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춤 특성은 농악 가락의 청각적 특성을 진풀이의 흐름으로 가시화되어 있었고, 진풀이 속의 춤사위로 상징화되었다. 춤사위는 구성원들이 상쇠의 신호에 따라 양식화된 춤사위를 진행하고 있었다. 즉흥적인 춤사위보다는 구성원 전체가 순서에 입각한 춤사위를 공유하여 연행하고 있었다. 춤들은 주로 도입동작(기본동작), 주제 동작, 전환 동작이 연결되는 결합무절의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마을 농악에서 연행되던 축원농악, 두레농악, 걸립농악의 특성도 춤 속에 반영되어 주제 동작으로 구성되고 있어 강릉농악만의 독창성을 구성하는 동력이 되고 있었다. 강릉농악은 춤의 무절이 분화되어 발전되기보다는 좌우의 대칭적 반복과 단순 횟수의 반복과 축적을 통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강릉의 마을 농악이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놀이특성과 춤 특성을 논의하였다. 2018년 9월 16일 강릉농악전수관에서 개최된 제12회 대한민국농악축제 연행현장 및 초청된 ...

      이 연구는 강릉의 마을 농악이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놀이특성과 춤 특성을 논의하였다. 2018년 9월 16일 강릉농악전수관에서 개최된 제12회 대한민국농악축제 연행현장 및 초청된 연행현장을 찾아 관람하고 영상으로 기록·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강릉농악은 다양한 가락에 맞춘 진풀이 속에 구성된 춤이 반복되어 축적되고 순환되는 구조를 통해 변화하고 발전되었다. 따라서 강릉농악의 놀이와 춤은 다양한 진법 안에 마을에서 연행하던 축원농악, 두레농악, 걸립농악의 특성들이 녹여져 예술성 높은 마당놀이로 재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축원농악의 특성은 첫째 마당의 성황모시기의 진(삼중의 원진)과 서낭기, 혹은 농기, 상쇠의 고사소리를 통해 의례성을 표현하여 축원농악의 특성을 담고 있었다. 그리고 지신밟기의 방울진 위에서 마을의 집돌이를 하며 땅을 밟으며 축귀(逐鬼) 하던 축원농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두레농악의 특성은 둘째마당인 농사풀이에 구성되어 있었다. 농사풀이에 드러난 놀이별 몸짓은 농사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한 농민들의 낙관적인 시선이 담겨있었다. 셋째, 강릉농악에 반영된 걸립농악의 특성은 셋째마당의 놀이로 구성되었다. 걸립농악의 기교적인 연행성과 서민적 놀이성은 셋째 마당의 ‘동고리 받기’나 ‘열두발 상모’와 같이 구성되고 있고,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며 놀던 강릉지역의 풍속을 담아낸 ‘자매놀이’나 ‘굿거리’, ‘오고북놀이’, ‘장구통놀이’도 서민적 오락성을 담아 농악 본연의 정겨운 공동체 문화를 잘 보여주게 되었다. 넷째, 마당놀이로 재구성된 강릉농악의 춤 특성은 농악 가락의 청각적 특성을 진풀이의 흐름으로 가시화되어 있었고, 진풀이 속의 춤사위로 상징화되었다. 춤사위는 구성원들이 상쇠의 신호에 따라 양식화된 춤사위를 진행하고 있었다. 즉흥적인 춤사위보다는 구성원 전체가 순서에 입각한 춤사위를 공유하여 연행하고 있었다. 춤들은 주로 도입동작(기본동작), 주제 동작, 전환 동작이 연결되는 결합무절의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마을 농악에서 연행되던 축원농악, 두레농악, 걸립농악의 특성도 춤 속에 반영되어 주제 동작으로 구성되고 있어 강릉농악만의 독창성을 구성하는 동력이 되고 있었다. 강릉농악은 춤의 무절이 분화되어 발전되기보다는 좌우의 대칭적 반복과 단순 횟수의 반복과 축적을 통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네이버지식백과, "한국민속예술사전: 농악"

      2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3 "제12회 대한민국농악축제, 강릉농악전수관"

      4 정미숙, "밀양백중놀이 중 북춤에 관한 연구 -오북줌 무보화를 중심으로-" 영남춤학회 7 (7): 167-200, 2019

      5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강릉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 11-4호]"

      6 "강릉단오제 유튜브 강릉농악 풀영상"

      7 김경남, "강릉농악의 활성화 방안" 25 : 151-170, 2011

      8 이보형, "강릉농악의 특질" 3 : 35-43, 1985

      9 김선풍, "강릉농악의 역사적 기원과 전승" 25 : 45-90, 2011

      10 장정룡, "강릉농악의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연구사적 검토" 25 : 103-149, 2011

      1 네이버지식백과, "한국민속예술사전: 농악"

      2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3 "제12회 대한민국농악축제, 강릉농악전수관"

      4 정미숙, "밀양백중놀이 중 북춤에 관한 연구 -오북줌 무보화를 중심으로-" 영남춤학회 7 (7): 167-200, 2019

      5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강릉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 11-4호]"

      6 "강릉단오제 유튜브 강릉농악 풀영상"

      7 김경남, "강릉농악의 활성화 방안" 25 : 151-170, 2011

      8 이보형, "강릉농악의 특질" 3 : 35-43, 1985

      9 김선풍, "강릉농악의 역사적 기원과 전승" 25 : 45-90, 2011

      10 장정룡, "강릉농악의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연구사적 검토" 25 : 103-149, 2011

      11 "강릉농악보존회"

      12 노명동, "강릉농악 진풀이에 관한 연구"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7

      13 이창식, "강릉농악 유산익 가치와 활용" 37 : 71-87, 2018

      14 강릉농악보존회, "강릉농악"

      15 권오성, "江陵農樂의 음악적 특질" 25 : 9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