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넷 신문 기사의 소셜 댓글 작성 행태 분석 : <오마이뉴스>와 <뉴데일리>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4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mentary and key features of news articles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as a new frontier of journalism.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with content analysis on two online newspapers, OhMyNews and Newdaily, taking different ideological sta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key features that lead to quantitative differences in social commentaries are news maker, news topic, and the length of articles. The most commented articles were relatively lengthy, dealt with issues on news makers with higher name value, and had tendency to provoke public anger. The articles for which social commentaries were longest-lasting had to do with public anger over statements by famous politician.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rticles with the highest level of social commentary did not share a common agenda. From the diversity and rationality standpoint, OhMyNews served as a deliberative public sphere. Moreover,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in healthiness of discussion between the two newspaper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evel and frequency of profanity depending on the news maker’s repu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mentary and key features of news articles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as a new frontier of journalism.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with content analysis on two online newspapers, OhMyNews and ...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mentary and key features of news articles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as a new frontier of journalism.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with content analysis on two online newspapers, OhMyNews and Newdaily, taking different ideological sta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key features that lead to quantitative differences in social commentaries are news maker, news topic, and the length of articles. The most commented articles were relatively lengthy, dealt with issues on news makers with higher name value, and had tendency to provoke public anger. The articles for which social commentaries were longest-lasting had to do with public anger over statements by famous politician.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rticles with the highest level of social commentary did not share a common agenda. From the diversity and rationality standpoint, OhMyNews served as a deliberative public sphere. Moreover,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in healthiness of discussion between the two newspaper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evel and frequency of profanity depending on the news maker’s repu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저널리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바탕으로 인터넷 신문 기사 특성에 따른 소셜 댓글 작성 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념적 성향이 다른 두 인터넷 신문사인 오마이뉴스와 뉴데일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내용분석방법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 댓글의 양적 차이를 유발시키는 기사의 특성으로는 뉴스 메이커, 기사의 속성 이슈, 기사의 길이 등으로 나타났다. 소셜 댓글이 많이 달리는 기사의 경우 뉴스 메이커의 네임 밸류가 상대적으로 높고, 공분(public anger)을 일으키는 사안이었으며 기사의 길이가 긴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셜 댓글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유발되는 기사는 중량급 정치인의 화제성 발언을 통한 공분을 일으키는 사안이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신문사 간 소셜 댓글 내용을 분석한 결과, 두 신문사 간 소셜 댓글이 많이 달리는 기사의 아젠다 공통성은 없었으며 다양성·합리성에서 오마이뉴스가 뉴데일리보다 소셜 댓글을 통한 숙의 민주주의의 장으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건전성의 경우에는 두 언론사 간 차이가 없었지만 뉴스 메이커의 중점 정도에 따라 욕설 및 인신공격 어휘의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저널리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바탕으로 인터넷 신문 기사 특성에 따른 소셜 댓글 작성 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념적 성향이 다른 두 인터넷 신문...

      본 연구는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저널리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바탕으로 인터넷 신문 기사 특성에 따른 소셜 댓글 작성 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념적 성향이 다른 두 인터넷 신문사인 오마이뉴스와 뉴데일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내용분석방법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 댓글의 양적 차이를 유발시키는 기사의 특성으로는 뉴스 메이커, 기사의 속성 이슈, 기사의 길이 등으로 나타났다. 소셜 댓글이 많이 달리는 기사의 경우 뉴스 메이커의 네임 밸류가 상대적으로 높고, 공분(public anger)을 일으키는 사안이었으며 기사의 길이가 긴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셜 댓글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유발되는 기사는 중량급 정치인의 화제성 발언을 통한 공분을 일으키는 사안이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신문사 간 소셜 댓글 내용을 분석한 결과, 두 신문사 간 소셜 댓글이 많이 달리는 기사의 아젠다 공통성은 없었으며 다양성·합리성에서 오마이뉴스가 뉴데일리보다 소셜 댓글을 통한 숙의 민주주의의 장으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건전성의 경우에는 두 언론사 간 차이가 없었지만 뉴스 메이커의 중점 정도에 따라 욕설 및 인신공격 어휘의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