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지역 통일신라시대 우물 폐기 의례의 양상과 성격 =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for Disposal of Well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n Gyeo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72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ell is one of the ancient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nd is a relic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people at the time. In particular, more than 200 wells were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n Gyeongju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long with various traces of ritua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cificity of these wells, it was intended to clarify the aspect of the disposal ritual, the most representative ritual performed in the well,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well disposal ritual within Silla royal palace.
      The wel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disposal pattern of relics,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ituals between wells. Each type can be classified into a method of discarding and burying relics (A1 and A2), a method of burying wells at once (B1 and B2), and a case where the disposal behavior is unclear (C). Next, based on the type of dispos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composi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well. First of all, it can be seen that the relics excavated from Type A wells have almost similar model composition and quantity. On the other hand, examining animal and plant organisms excavated from the well showed that various animal and plant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the A-type well, while only a single species of cow or horse were identified in the B-type well.
      Finally, based on this, the aspect and nature of the well disposal ritual in Wanggyeong, Unified Silla were presented, and the process of the disposal ritual was examined. The well disposal ritua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ritual (Type A) centered around Wolseong area and a ritual (Type B) outside it. This difference is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The well disposal ritual is basically a ritual performed on a daily basis to thank the water god at the stage of well disposal an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derground and the ground. However, in the Wolseong area, disposal ceremonies were conducted for national rituals such as the rain ritual, marking an unusual and more rigorously regulated disposal ritual with clear procedures.
      번역하기

      The well is one of the ancient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nd is a relic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people at the time. In particular, more than 200 wells were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n Gyeongju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long wit...

      The well is one of the ancient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nd is a relic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people at the time. In particular, more than 200 wells were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n Gyeongju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long with various traces of ritua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cificity of these wells, it was intended to clarify the aspect of the disposal ritual, the most representative ritual performed in the well,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well disposal ritual within Silla royal palace.
      The wel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disposal pattern of relics,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ituals between wells. Each type can be classified into a method of discarding and burying relics (A1 and A2), a method of burying wells at once (B1 and B2), and a case where the disposal behavior is unclear (C). Next, based on the type of dispos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composi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well. First of all, it can be seen that the relics excavated from Type A wells have almost similar model composition and quantity. On the other hand, examining animal and plant organisms excavated from the well showed that various animal and plant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the A-type well, while only a single species of cow or horse were identified in the B-type well.
      Finally, based on this, the aspect and nature of the well disposal ritual in Wanggyeong, Unified Silla were presented, and the process of the disposal ritual was examined. The well disposal ritua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ritual (Type A) centered around Wolseong area and a ritual (Type B) outside it. This difference is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The well disposal ritual is basically a ritual performed on a daily basis to thank the water god at the stage of well disposal an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derground and the ground. However, in the Wolseong area, disposal ceremonies were conducted for national rituals such as the rain ritual, marking an unusual and more rigorously regulated disposal ritual with clear proced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물은 고대의 집수시설 중 하나로서, 당시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유구이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는 발굴을 통해 약 400기의 우물이 발굴되었으며, 그와 함께 다종다양한 의례의 흔적 역시 확인되었다. 는 이러한 우물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우물에서 행해진 가장 대표적인 의례인 폐기 의례의 양상을 밝히고, 우물 폐기 의례가 왕경 내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물은 유물의 폐기 양상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폐기 양상의 차이는 우물 사이에도 의례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유형은 유물의 폐기 방식에 따라 유물을 폐기하고 매몰하는 방식(A1·A2), 우물을 한 번에 매몰하는 방식(B1·B2), 폐기 행위가 불분명한 경우(C)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폐기 유형을 바탕으로 우물의 출토 유물을 통해 기종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A 유형 우물에서 출토된 유물은 거의 유사한 기종 구성과 출토 수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우물에서 출토된 동·식물 유기체를 살펴본 결과 A 유형 우물의 경우 다종다양한 동·식물 유기체가 확인된 반면, B 유형은 소나 말 단일 종만이 확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통일신라 왕경 내 우물 폐기 의례의 양상과 성격을 제시하고, 폐기 의례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물 폐기 의례는 크게 월성 일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의례(A 유형)와 그 외부에서 이루어진 의례(B 유형)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행자와 연행 목적의 차이로 해석된다. 우물의 폐기 의례는 기본적으로 우물 폐기 단계에서 수신(水神)인 용왕에게 감사드리고, 지하와 지상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의례이다. 그러나 월성 일대에서는 기우제와 같은 국가의례를 목적으로 폐기 의례를 연행하였으며, 이는 비일상적이며 보다 강한 규범과 명확한 절차가 존재하는 폐기 의례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우물은 고대의 집수시설 중 하나로서, 당시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유구이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는 발굴을 통해 약 400기의 우물이 발굴되었으며, 그와 함께 다종다...

      우물은 고대의 집수시설 중 하나로서, 당시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유구이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는 발굴을 통해 약 400기의 우물이 발굴되었으며, 그와 함께 다종다양한 의례의 흔적 역시 확인되었다. 는 이러한 우물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우물에서 행해진 가장 대표적인 의례인 폐기 의례의 양상을 밝히고, 우물 폐기 의례가 왕경 내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물은 유물의 폐기 양상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폐기 양상의 차이는 우물 사이에도 의례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유형은 유물의 폐기 방식에 따라 유물을 폐기하고 매몰하는 방식(A1·A2), 우물을 한 번에 매몰하는 방식(B1·B2), 폐기 행위가 불분명한 경우(C)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폐기 유형을 바탕으로 우물의 출토 유물을 통해 기종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A 유형 우물에서 출토된 유물은 거의 유사한 기종 구성과 출토 수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우물에서 출토된 동·식물 유기체를 살펴본 결과 A 유형 우물의 경우 다종다양한 동·식물 유기체가 확인된 반면, B 유형은 소나 말 단일 종만이 확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통일신라 왕경 내 우물 폐기 의례의 양상과 성격을 제시하고, 폐기 의례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물 폐기 의례는 크게 월성 일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의례(A 유형)와 그 외부에서 이루어진 의례(B 유형)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행자와 연행 목적의 차이로 해석된다. 우물의 폐기 의례는 기본적으로 우물 폐기 단계에서 수신(水神)인 용왕에게 감사드리고, 지하와 지상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의례이다. 그러나 월성 일대에서는 기우제와 같은 국가의례를 목적으로 폐기 의례를 연행하였으며, 이는 비일상적이며 보다 강한 규범과 명확한 절차가 존재하는 폐기 의례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篠原豊一, "奈良市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紀要" 奈良市教育委員会 1990

      2 문다솔,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우물 연구" 영남고고학회 (92) : 149-183, 2022

      3 김재홍, "창녕 화왕산성 龍池 출토 木簡과 祭儀" 한국목간학회 4 : 2009

      4 아오키 타카키 ; 오택현, "일본 고대 도성 조영의 진제(鎮祭)와 수변(水邊) 제사" 한국목간학회 (20) : 209-254, 2018

      5 권태효, "우물의 공간적 성격과 상징성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6) : 253-292, 2012

      6 국립경주박물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2011

      7 이필영, "우물신앙의 본질과 전개 양상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6) : 247-288, 2008

      8 한영화, "신라의 희생제의" 수선사학회 (66) : 137-164, 2018

      9 권오영, "신라우물" 민속원 2015

      10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경주사학회 38 (38): 31-60, 2013

      1 篠原豊一, "奈良市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紀要" 奈良市教育委員会 1990

      2 문다솔,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우물 연구" 영남고고학회 (92) : 149-183, 2022

      3 김재홍, "창녕 화왕산성 龍池 출토 木簡과 祭儀" 한국목간학회 4 : 2009

      4 아오키 타카키 ; 오택현, "일본 고대 도성 조영의 진제(鎮祭)와 수변(水邊) 제사" 한국목간학회 (20) : 209-254, 2018

      5 권태효, "우물의 공간적 성격과 상징성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6) : 253-292, 2012

      6 국립경주박물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2011

      7 이필영, "우물신앙의 본질과 전개 양상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6) : 247-288, 2008

      8 한영화, "신라의 희생제의" 수선사학회 (66) : 137-164, 2018

      9 권오영, "신라우물" 민속원 2015

      10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경주사학회 38 (38): 31-60, 2013

      11 김민정, "신라 왕경 우물의 제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12 심현철, "신라 왕경 도성공간의 경관과 매장의례" 한국상고사학회 2019

      13 차순철, "신라 도성 내 의례공간과 변화 -하천 및 분묘제사와 호마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39) : 231-263, 2013

      14 황인호, "신라 도성 내 국가제의 공간 연구 -경주 나정 유적을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56) : 79-109, 2022

      15 김명자, "세시풍속을 통해본 물의 종교적 기능" 한국민속학회 49 : 157-182, 2009

      16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학회 11 : 2008

      17 전덕재,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가뭄 발생 현황과 정부의 대책" 한국사연구회 (160) : 1-46, 2013

      18 김재호, "산간농촌 수리(水利)관행을 통해 본 물에 대한 인식" 한국민속학회 44 : 99-132, 2006

      19 정수옥, "백제 한성기 국가의례와 의례용기 그리고 음식의 공헌 -풍납토성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63) : 5-30, 2020

      20 김광언, "동아시아의 우물" 민속사 2017

      21 우승하 ; 오명환 ; 김희승, "달골 ‘물당기기’ 의례(儀禮)구조를 통해 본 ‘물’의 관념" 역사문화학회 24 (24): 51-73, 2021

      22 임근혜, "근대화 이후 우물제사의 전승 원동력-안성 공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0 (20): 225-261, 2017

      23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학연문화사 2011

      24 김현희, "統一新羅 王京 우물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25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附屬博物館, "水と祭祀の考古學" 學生社 2005

      26 국립경주박물관, "國立慶州博物館內 우물 出土 動物遺體" 2011

      27 鍾方正樹, "井戸の考古學" 同成社 2003

      28 山本 博, "井戸の硏究" 1970

      29 김창억, "三國時代 時至聚落의 展開過程과 性格" 嶺南考古學會 27 : 2000

      30 한영화, "8세기 신라의 재이 양상과성덕왕대 전사서의 설치" 고려사학회 (89) : 297-322,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