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篠原豊一, "奈良市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紀要" 奈良市教育委員会 1990
2 문다솔,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우물 연구" 영남고고학회 (92) : 149-183, 2022
3 김재홍, "창녕 화왕산성 龍池 출토 木簡과 祭儀" 한국목간학회 4 : 2009
4 아오키 타카키 ; 오택현, "일본 고대 도성 조영의 진제(鎮祭)와 수변(水邊) 제사" 한국목간학회 (20) : 209-254, 2018
5 권태효, "우물의 공간적 성격과 상징성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6) : 253-292, 2012
6 국립경주박물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2011
7 이필영, "우물신앙의 본질과 전개 양상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6) : 247-288, 2008
8 한영화, "신라의 희생제의" 수선사학회 (66) : 137-164, 2018
9 권오영, "신라우물" 민속원 2015
10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경주사학회 38 (38): 31-60, 2013
1 篠原豊一, "奈良市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紀要" 奈良市教育委員会 1990
2 문다솔,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우물 연구" 영남고고학회 (92) : 149-183, 2022
3 김재홍, "창녕 화왕산성 龍池 출토 木簡과 祭儀" 한국목간학회 4 : 2009
4 아오키 타카키 ; 오택현, "일본 고대 도성 조영의 진제(鎮祭)와 수변(水邊) 제사" 한국목간학회 (20) : 209-254, 2018
5 권태효, "우물의 공간적 성격과 상징성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6) : 253-292, 2012
6 국립경주박물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2011
7 이필영, "우물신앙의 본질과 전개 양상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6) : 247-288, 2008
8 한영화, "신라의 희생제의" 수선사학회 (66) : 137-164, 2018
9 권오영, "신라우물" 민속원 2015
10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경주사학회 38 (38): 31-60, 2013
11 김민정, "신라 왕경 우물의 제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12 심현철, "신라 왕경 도성공간의 경관과 매장의례" 한국상고사학회 2019
13 차순철, "신라 도성 내 의례공간과 변화 -하천 및 분묘제사와 호마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39) : 231-263, 2013
14 황인호, "신라 도성 내 국가제의 공간 연구 -경주 나정 유적을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56) : 79-109, 2022
15 김명자, "세시풍속을 통해본 물의 종교적 기능" 한국민속학회 49 : 157-182, 2009
16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학회 11 : 2008
17 전덕재,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가뭄 발생 현황과 정부의 대책" 한국사연구회 (160) : 1-46, 2013
18 김재호, "산간농촌 수리(水利)관행을 통해 본 물에 대한 인식" 한국민속학회 44 : 99-132, 2006
19 정수옥, "백제 한성기 국가의례와 의례용기 그리고 음식의 공헌 -풍납토성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63) : 5-30, 2020
20 김광언, "동아시아의 우물" 민속사 2017
21 우승하 ; 오명환 ; 김희승, "달골 ‘물당기기’ 의례(儀禮)구조를 통해 본 ‘물’의 관념" 역사문화학회 24 (24): 51-73, 2021
22 임근혜, "근대화 이후 우물제사의 전승 원동력-안성 공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0 (20): 225-261, 2017
23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학연문화사 2011
24 김현희, "統一新羅 王京 우물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25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附屬博物館, "水と祭祀の考古學" 學生社 2005
26 국립경주박물관, "國立慶州博物館內 우물 出土 動物遺體" 2011
27 鍾方正樹, "井戸の考古學" 同成社 2003
28 山本 博, "井戸の硏究" 1970
29 김창억, "三國時代 時至聚落의 展開過程과 性格" 嶺南考古學會 27 : 2000
30 한영화, "8세기 신라의 재이 양상과성덕왕대 전사서의 설치" 고려사학회 (89) : 297-322,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