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MZ세대의 소비 선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fluencer Perception on Millenial Z Generation's Choice of Consumstion Millenial Z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2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interact with MZ generation in consumption selection, such a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0 MZ households using social networks from September 29 to October 1, 2021, and a total of 300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 ver statistical program. The conten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influencer. Thir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influencer on consumption selection of MZ gener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n through thes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e to two hours of daily social media use was the most common, and influencer's most interested product among recommended products turned out to be beauty products.
      Second, influencer expertise was high in the order of 3.56 (based on 5 points), 3.27 truthfulness, and 3.26 reliability, followed by 3.57 purchase intention and 3.03 repurchase intention.
      Third, variables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influe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ajor variable, influencer's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in particular, influencer's expertise was closely related to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Fifth, it was found that influencer expertise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nfluencer's expertise in information provision and marketing had a great influence on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erception and reliability of influencer can be found based on the fact that it affects consumers who currently use social network media and the current MZ generation. Each brand should be targeted during promotions so that authenticity and reliabl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by advocating similarities such as influencer. In addition, products promoted by influencer should be marketed to permeate the influencer lifestyle regardless of gender, and influencers with expertise in men should be able to select and deliver only factual information to ensure that male consumers of Generation MZ have a positive attitu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interact with MZ generation in consumption selection, such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interact with MZ generation in consumption selection, such a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0 MZ households using social networks from September 29 to October 1, 2021, and a total of 300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 ver statistical program. The conten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influencer. Thir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influencer on consumption selection of MZ gener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n through thes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e to two hours of daily social media use was the most common, and influencer's most interested product among recommended products turned out to be beauty products.
      Second, influencer expertise was high in the order of 3.56 (based on 5 points), 3.27 truthfulness, and 3.26 reliability, followed by 3.57 purchase intention and 3.03 repurchase intention.
      Third, variables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influe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ajor variable, influencer's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in particular, influencer's expertise was closely related to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Fifth, it was found that influencer expertise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nfluencer's expertise in information provision and marketing had a great influence on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erception and reliability of influencer can be found based on the fact that it affects consumers who currently use social network media and the current MZ generation. Each brand should be targeted during promotions so that authenticity and reliabl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by advocating similarities such as influencer. In addition, products promoted by influencer should be marketed to permeate the influencer lifestyle regardless of gender, and influencers with expertise in men should be able to select and deliver only factual information to ensure that male consumers of Generation MZ have a positive at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플루언서의 특성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를 파악하고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에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소비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상호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MZ세대 300명 대상으로 2021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ver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내용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 구매 의도,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분석결과를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았고, 인플루언서가 추천제품 중 가장 관심 있는 상품은 뷰티제품으로 드러났다.
      둘째 인플루언서 전문성 3.56(5점 기준), 진실성 3.27, 신뢰도 3.26 순으로 인플루언서 전문성이 높게 나왔으며, 구매 의도 3.57, 재구매 의도 3.0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등의 변수는 성별 간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넷째 각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는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플루언서 전문성과 신뢰도는 구매 의도와 재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는 현재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현재 MZ세대를 중점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각 브랜드는 홍보 진행 시 타겟으로 하여 인플루언서와 같은 유사성을 내세우며 진정성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인플루언서가 홍보하는 제품이 성별과 관계없이 인플루언서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드는 마케팅하여야 하며 인플루언서를 통한 제품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MZ세대의 남성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문성을 가진 인플루언서들은 선별하고 사실에 입각하는 정보만 전달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인플루언서의 특성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를 파악하고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에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소비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상호영향을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플루언서의 특성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를 파악하고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에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소비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상호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MZ세대 300명 대상으로 2021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ver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내용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 구매 의도,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분석결과를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았고, 인플루언서가 추천제품 중 가장 관심 있는 상품은 뷰티제품으로 드러났다.
      둘째 인플루언서 전문성 3.56(5점 기준), 진실성 3.27, 신뢰도 3.26 순으로 인플루언서 전문성이 높게 나왔으며, 구매 의도 3.57, 재구매 의도 3.0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등의 변수는 성별 간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넷째 각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는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플루언서 전문성과 신뢰도는 구매 의도와 재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는 현재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현재 MZ세대를 중점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각 브랜드는 홍보 진행 시 타겟으로 하여 인플루언서와 같은 유사성을 내세우며 진정성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인플루언서가 홍보하는 제품이 성별과 관계없이 인플루언서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드는 마케팅하여야 하며 인플루언서를 통한 제품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MZ세대의 남성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문성을 가진 인플루언서들은 선별하고 사실에 입각하는 정보만 전달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5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1. 사회적 학습 이론 관계 7
      • 제1장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5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1. 사회적 학습 이론 관계 7
      • 2. 인플루언서 9
      • 1) 인플루언서 개념 및 정의 9
      • 2) 인플루언서 특성 10
      • 3) 인플루언서 전문성 11
      • 4) 인플루언서 진실성 12
      • 5) 인플루언서 신뢰도 13
      • 3. MZ세대 14
      • 1) MZ세대 개념 및 정의 14
      • 2) MZ세대 특성 15
      • 3) MZ세대 소비문화 16
      • 4. 구매의도 17
      • 1) 구매 영향요인 17
      • 2) 재구매 영향요인 18
      • 제3장 연구 방법 19
      • 1. 연구의 분석 틀 19
      • 2. 조사대상 및 방법 20
      • 3. 설문지 구성 21
      • 제4장 연구 결과 22
      •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 1) 인플루언서에 관한 정보 특성 24
      • 2) 측정 도구의 신뢰도 26
      • 2.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량 27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 차이 28
      • 1) 전문성의 차이 28
      • 2) 진실성의 차이 29
      • 3) 신뢰도의 차이 30
      • 4) 구매의도의 차이 31
      • 5) 재구매의도의 차이 32
      • 4. 인플루언서 정보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 33
      • 1) 전문성의 차이 33
      • 2) 진실성의 차이 35
      • 3) 신뢰도의 차이 37
      • 4) 구매의도의 차이 39
      • 5) 재구매의도의 차이 41
      • 5.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 43
      • 6.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 43
      • 1)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44
      • 2)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46
      • 제5장 결론 48
      • 1. 논의 및 요약 48
      • 2. 후속연구 및 제언 51
      • 참고문헌 52
      • 부록 56
      • ABSTRACT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