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End-burning 하이브리드 연소기 인젝터 분사각에 따른 연소 유동장의 수치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1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end-burning 연소실의 주요 설계인자들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인젝터 배열 및 포트 직경 변화, O/F비 변화 외에 산화제 분사각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료면과 평행...

      end-burning 연소실의 주요 설계인자들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인젝터 배열 및 포트 직경 변화, O/F비 변화 외에 산화제 분사각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료면과 평행한 분사각(Case 1), 연료면을 향해 30° 기울여진 분사각(Case 2)과 노즐을 향해 기울여진 분사각(Case 3)을 설정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연료면을 향한 분사각의 경우 상류에서 가장 효율적인 혼합특성을 보였으나 상당량의 미연가스가 노즐 밖으로 배출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ase 1과 Case 3은 낮은 혼합특성을 보였으나 연소효율은 연료면을 향한 경우보다 월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Case 1, Case 3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노즐을 향한 Case 3은 짧은 체류시간으로 인해 연료면과 평행한 Case 1에 비해 낮은 연소 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oxidizer injection angle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end-burning hybrid combustor is numerically investigated. Besides the previously studied parameter(injector arrangement, port diameter and O/F ratio), three different injectio...

      The effect of oxidizer injection angle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end-burning hybrid combustor is numerically investigated. Besides the previously studied parameter(injector arrangement, port diameter and O/F ratio), three different injection angle are considered: parallel angle to fuel surface(Case 1), +30 degree inclined angle toward the fuel (Case 2) and 30 degree inclined angle toward the nozzle(Case 3). It is found that Case 2 has the best mixing pattern in the upstream area but has the worst combustion efficiency since non negligible amount of unburned fuel is expelled from the nozzle. In contrast, though Case 1 and Case 3 showed relatively low mixing effect than the Case 2, they had high combustion efficiency. The comparison of numerical results between Case 1 and Case 3 demonstrate that no major difference is encountered, however, Case 1 is expected to have the best combustion efficiency due to the low residence time of the Case 3 injector which heads toward the nozz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및 수치해법
      • Ⅲ. 결과 해석
      • ABSTRACT
      • 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및 수치해법
      • Ⅲ. 결과 해석
      • Ⅳ. 결론
      • 후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찬, "하이브리드 연소기의 산화제 주입기 배열 특성에 따른 반응유동장 해석" 한국추진공학회 9 (9): 78-88, 2005

      2 문희장, "하이브리드 로켓 인젝터 포트직경 변화에 따른 난류연소 유동장 해석" 한국항공운항학회 14 (14): 2-8, 2006

      3 김수종,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의 스월러와 Pre-chamber 변화에 따른 연료 후퇴율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004

      4 차왕석, "폴리에틸렌의 열분해 Kinetics" 한국공업화학회 10 (10): 432-437, 1999

      5 이승철, "end-burning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의 연료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324-326, 2005

      6 G. Marxman, "Turbulent Boundary Layer Combustion in the Hybrid Rocket" The Combustion institute 1963

      7 Karabeyoglu M. A., "Transient Combustion in Hybrid Rockets" Stanford University 1998

      8 Helman, 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hybrid rocket combustion by numerical methods" 22 (22): 171-190, 1974

      9 CD adapco Group, "Star-CD Methodology Manual, Ver. 3.20, 2004"

      10 Sutton, P. G, "Rocket Propulsion Elements, 7th Ed" John Wiley & Sons, Inc 444-466, 2000

      1 조성찬, "하이브리드 연소기의 산화제 주입기 배열 특성에 따른 반응유동장 해석" 한국추진공학회 9 (9): 78-88, 2005

      2 문희장, "하이브리드 로켓 인젝터 포트직경 변화에 따른 난류연소 유동장 해석" 한국항공운항학회 14 (14): 2-8, 2006

      3 김수종,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의 스월러와 Pre-chamber 변화에 따른 연료 후퇴율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004

      4 차왕석, "폴리에틸렌의 열분해 Kinetics" 한국공업화학회 10 (10): 432-437, 1999

      5 이승철, "end-burning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의 연료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324-326, 2005

      6 G. Marxman, "Turbulent Boundary Layer Combustion in the Hybrid Rocket" The Combustion institute 1963

      7 Karabeyoglu M. A., "Transient Combustion in Hybrid Rockets" Stanford University 1998

      8 Helman, 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hybrid rocket combustion by numerical methods" 22 (22): 171-190, 1974

      9 CD adapco Group, "Star-CD Methodology Manual, Ver. 3.20, 2004"

      10 Sutton, P. G, "Rocket Propulsion Elements, 7th Ed" John Wiley & Sons, Inc 444-466, 2000

      11 Martin J. Chiaverini, "Regression Rate and Pyrolysis Behavior of HTPB-Based Solid Fuels In a Hybrid Rocket Motor"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7

      12 Marxman, G. A, "Fundamentals of Hybrid Boundary Layer Combustion" AIAA

      13 M. A. Karabeyoglu, "Development and testing of paraffin-based hybrid rocket fuels" AIAA

      14 Muzzy, R. J., "Boundary layer turbulence measurements with mass addition and combustion" 4 (4): 2009-2016, 1966

      15 A. Antoniou, "A Physics Based Comprehensive Mathematical Model to Predict Motor Performance in Hybrid Rocket Propulsion Systems" AIA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42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