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N+(의) +N’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의’의 실현과 비실현 환경의 규칙성과 경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말뭉치 중심(Corpus-driven) 연구 방법론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93966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언어정보학협동과정 한국어교육전공 , 2014. 8
2014
한국어
조사 '의' ; 조사 비실현 ; 말뭉치 중심 연구 ; 구어 말뭉치 ; particle 'ui' ; elision ; spoken corpus ; corpus-driven research
서울
A study on the non-realization aspects of particle 'ui' in the configuration of 'noun+ (ui) +noun' : targeted on spoken corpus
vii, 115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강현화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N+(의) +N’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의’의 실현과 비실현 환경의 규칙성과 경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말뭉치 중심(Corpus-driven) 연구 방법론을 ...
본 연구는 ‘N+(의) +N’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의’의 실현과 비실현 환경의 규칙성과 경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말뭉치 중심(Corpus-driven)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의 실현과 비실현의 양상이 의미와 품사에 따라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에서 조사 ‘의’의 생략 또는 비실현에 대하여 주로 말뭉치 기반(Corpus-based)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가 색다른 연구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충분히 의미 있는 시도임을 나타낸다.
3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필요한 의미의 기준들을 사전과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는 21가지의 개별 의미들을 기준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이 되는 구어 말뭉치에서 ‘N+(의) +N’ 구성의 용례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하였다.
4장에서는 추출된 ‘N+(의) +N’ 구성의 용례에서 ‘의’에 대한 의미 태깅이 이루어졌고, 각 의미 항목별로 분류하여 공통적인 환경과 변별적인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먼저,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의’가 비실현되는 환경이 많았으며 ‘대상-형성자’, ‘수량-사물’과 ‘비유·은유’의 의미 관계에서만 ‘의’가 실현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굳은 표현’이라고 칭할 수 있는 ‘의’가 비실현된 덩어리 표현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 체언과 뒤 체언에 놓일 품사들의 결합 양상을 통해서 ‘의’의 실현과 비실현에 있어서 변별적인 특징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의’가 주로 높은 비율로 실현되는 의미 항목들에서는 ‘의’가 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이 있었다. 반면에 ‘의’가 비실현되는 비율이 높은 의미 항목들과 수의적으로 실현되는 의미 항목들에서는 ‘의’가 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과 비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이 모두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뭉치 중심 연구 방법을 통하여 ‘의’의 실현과 비실현의 환경에 있어서 객관적인 규칙과 경향성을 찾아보았다. 이는 기존의 말뭉치 기반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배제한 객관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선행 연구들이 제시하는 결과들에 대한 객관적 근거 자료로써 활용 및 검토가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