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란소자 「인의황후애책」 연구(Ⅰ)-애책의 특징과 앞 부분의 해독 = A Study on the Eulogy for Empress Ren-yi in the Khitan small script (1)-The characteristics of the Eulogy and the deciphering of the begin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14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요나라 제7대 흥종황제興宗皇帝의 마지막 부인인 인의황후仁懿皇 后의 거란소자契丹小字 애책哀冊의 해독을 위한 그 첫 번째 논문이다. 이 애책은1076년도에 제작되었는데, 그 원석은 아직도 능 안에 묻혀 있고 탁본도 존재하지 아니한다. 단지 100여 년 전에 한인들의 필사본을 촬영한 그다지 선명하지못한 사진 두 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로 인하여 이 애책의 해독 수준은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문자 금석문 중 가장 뒤처지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정확한 해독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애책 내용에 대한 정밀한 교감校勘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후 개별적인 해독이 진행되어야 한다. 물론 때로는 이 둘의 과정이 병행되거나 뒤바뀔 때가 더 효율적일 수도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해당 애책은 1930년대 이후로 과거 학자들이 줄곧 주장해 온 총 32행이아니라 총 30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분명히 밝혔고 관련 증거도 제시하였다.
      뒤이은 본문 해독 과정에서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논란이 있거나 해독결과에오류가 있는 내용들을 부분적으로 바로잡았다.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검증하였고, 요나라의 정사正史인 요사遼史와의 관련성도 살폈으며, 거란대자契丹 大字와 상호 비교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 해독 결과가 학계에 보고되지아니한 여러 개의 글자를 잠정 해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제출될 후속 논문은 제9행부터 진행될 것이며, 본 논문과 동일한 집필형태를 취할 것이다. 아울러, 본 논문과 후속 논문에서 잠정 해독해 낸 글자나어휘에 대하여는 관련 전문가와의 토론과 지속적인 연구 및 검증 과정을 통하여그 정확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요나라 제7대 흥종황제興宗皇帝의 마지막 부인인 인의황후仁懿皇 后의 거란소자契丹小字 애책哀冊의 해독을 위한 그 첫 번째 논문이다. 이 애책은1076년도에 제작되었는데, 그 원...

      본 논문은 요나라 제7대 흥종황제興宗皇帝의 마지막 부인인 인의황후仁懿皇 后의 거란소자契丹小字 애책哀冊의 해독을 위한 그 첫 번째 논문이다. 이 애책은1076년도에 제작되었는데, 그 원석은 아직도 능 안에 묻혀 있고 탁본도 존재하지 아니한다. 단지 100여 년 전에 한인들의 필사본을 촬영한 그다지 선명하지못한 사진 두 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로 인하여 이 애책의 해독 수준은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문자 금석문 중 가장 뒤처지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정확한 해독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애책 내용에 대한 정밀한 교감校勘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후 개별적인 해독이 진행되어야 한다. 물론 때로는 이 둘의 과정이 병행되거나 뒤바뀔 때가 더 효율적일 수도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해당 애책은 1930년대 이후로 과거 학자들이 줄곧 주장해 온 총 32행이아니라 총 30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분명히 밝혔고 관련 증거도 제시하였다.
      뒤이은 본문 해독 과정에서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논란이 있거나 해독결과에오류가 있는 내용들을 부분적으로 바로잡았다.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검증하였고, 요나라의 정사正史인 요사遼史와의 관련성도 살폈으며, 거란대자契丹 大字와 상호 비교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 해독 결과가 학계에 보고되지아니한 여러 개의 글자를 잠정 해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제출될 후속 논문은 제9행부터 진행될 것이며, 본 논문과 동일한 집필형태를 취할 것이다. 아울러, 본 논문과 후속 논문에서 잠정 해독해 낸 글자나어휘에 대하여는 관련 전문가와의 토론과 지속적인 연구 및 검증 과정을 통하여그 정확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to decipher the Eulogy(哀冊) of Empress Ren-yi (仁懿皇后), the last wife of Emperor Xing-zong(興宗皇帝) of the Liao Dynasty. The Eulogy was created in 1076, and the original stele is still buried in the royal tomb, with no stone rubbing available. Only two very unclear photographs of the manuscripts written by the Chinese, taken more than 100 years ago, exist. As a result, the progress in deci phering this Eulogy lags behind that of other Khitan monumental in scriptions discovered to date. To achieve accurate deciphering results, a thorough collation of the Eulogy's contents must precede the actual deciphering process.
      First, it was clarified that the Eulogy consists of a total of 30 lines, not the 32 lines that scholars have claimed since the 1930s, with related evidence presented. In the subsequent deciphering process,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which were controversial or contained errors, were partially corrected. The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with the Liao Shi(遼史) was also addressed, and specific examples of comparisons with some Khitan large scripts(契丹大 字) were provided. As a result, several characters, whose deciphering had not been reported to the academic world, were tentatively deciphered.
      Future papers will continue from line 9, following the same writing style as this paper. Additionally, I plan to refine the accuracy of the let ters and vocabulary tentatively deciphered in this and subsequent papers through discussions with related scholars or linguists, as well as through ongoing research and verification.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to decipher the Eulogy(哀冊) of Empress Ren-yi (仁懿皇后), the last wife of Emperor Xing-zong(興宗皇帝) of the Liao Dynasty. The Eulogy was created in 1076, and the original stele is still buried in the royal t...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to decipher the Eulogy(哀冊) of Empress Ren-yi (仁懿皇后), the last wife of Emperor Xing-zong(興宗皇帝) of the Liao Dynasty. The Eulogy was created in 1076, and the original stele is still buried in the royal tomb, with no stone rubbing available. Only two very unclear photographs of the manuscripts written by the Chinese, taken more than 100 years ago, exist. As a result, the progress in deci phering this Eulogy lags behind that of other Khitan monumental in scriptions discovered to date. To achieve accurate deciphering results, a thorough collation of the Eulogy's contents must precede the actual deciphering process.
      First, it was clarified that the Eulogy consists of a total of 30 lines, not the 32 lines that scholars have claimed since the 1930s, with related evidence presented. In the subsequent deciphering process,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which were controversial or contained errors, were partially corrected. The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with the Liao Shi(遼史) was also addressed, and specific examples of comparisons with some Khitan large scripts(契丹大 字) were provided. As a result, several characters, whose deciphering had not been reported to the academic world, were tentatively deciphered.
      Future papers will continue from line 9, following the same writing style as this paper. Additionally, I plan to refine the accuracy of the let ters and vocabulary tentatively deciphered in this and subsequent papers through discussions with related scholars or linguists, as well as through ongoing research and verifi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