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서는 해주 오정방과 그의 후손들이 경기도 양성 지역에서 가문을 형성한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문중의 대표 인물인 오숙, 오두인, 오재순, 오최선 초상을 연구 대상으로 초상 인물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14655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5
Korean
Haeju Oh Jeongmugong’s Clan ; Portraits ; Oh Sook ; Oh Doo-in ; Oh Jae-soon ; Oh Choi-seon ; 해주오씨 정무공파 ; 초상화 ; 오숙 ; 오재순 ; 오두인 ; 오최선
KCI등재
학술저널
123-172(5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문에서는 해주 오정방과 그의 후손들이 경기도 양성 지역에서 가문을 형성한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문중의 대표 인물인 오숙, 오두인, 오재순, 오최선 초상을 연구 대상으로 초상 인물의 ...
본문에서는 해주 오정방과 그의 후손들이 경기도 양성 지역에서 가문을 형성한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문중의 대표 인물인 오숙, 오두인, 오재순, 오최선 초상을 연구 대상으로 초상 인물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여 초상이 제작된 배경과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부사 오숙의 관복 초상은 1624년에 북경 사행에서 제작해 온 것으로, 그림위의 인장을 통해 화자가 강남의 소주 출신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인물 표현의특징은 명말 강남의 문인화단에서 유행한 파신파의 초상 묘사법을 반영하였다.
또한 명나라 화가가 그린 조선 인물의 초상화라는 점에서 한중 관계를 통한 회화교류의 일면을 보여주는 예이다.
1687년 오두인의 관복 초상은 사돈인 김창협이 직접 쓴 화상찬이 있어 주목된다. 이는 오두인이 64세 때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을 때 태조 어진 모사와 공신 초상 제작에 참여한 조세걸이 그린 것이다. 그의 현전 초상작품이 많지 않은현실에서 제작시기가 분명하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으로 주목할 만하다.
오재순의 관복 초상은 1791년 도화서 화원으로 인물 초상에 뛰어난 이명기가그렸다. 이명기는 1790년 북경에서 경험한 서양화법을 용주사의 불화에 적용한이후, 오재순 초상에서 육리문과 입체적 명암을 적극 활용한 얼굴묘사와 관복주름이 매우 사실적인 점과 정면 묘사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시도였다.
오두인의 6세손 오최선의 관복 초상은 1879년 그가 나주목사로 부임했을 때나주 지역의 화승 각순이 그린 관료의 관복 초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이 논문은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해주오씨 정무공파의 주요 인물과 그들 초상화의 특징을 시기별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한 가문을관통하는 주요 인물사 연구와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identified the background of Oh Jeong-bang and his descendants' settlement in Yangseong, Gyeonggi-do, and analyzed the main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targeting the portraits of Oh Sook, Oh Doo-in, Oh Jae-soon, and Oh Choi-seon, wh...
In this paper, we identified the background of Oh Jeong-bang and his descendants' settlement in Yangseong, Gyeonggi-do, and analyzed the main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targeting the portraits of Oh Sook, Oh Doo-in, Oh Jae-soon, and Oh Choi-seon, who represent their clans, an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rtraits. The portrait of the official uniform of the vice-envoy Oh Sook was produced in Beijing in 1624,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artist was from Suzhou in Zhejiang Province through the seal on the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reflected the portrait depiction method of the group led by Cengjing(曾鯨), which was popular in the literary art troupe of Gangnam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In addition, it is an example of an exchange of paintings through Sino-Korean relations in that it is a portrait of a Joseon character painted by a Ming painter.
The portrait of Oh Doo-in's official uniform in 1687 is noteworthy because it was written praise of Oh by his daughter-in-law's father, Kim Chang-hyeop and painted by Cho Se-gul, who participated in the pro duction of portraits of the king and meritorious servants. It is a portrait painted by Cho when Oh Doo-in served as a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and it is valuable in that it has a clear production date and high completeness.
Oh Jae-soon's portrait of the official uniform was painted by Lee Myung-ki, who was good at portraits, as a court painter in 1791. After Lee had applied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 he experienced in Beijing to the Buddhist paintings of Yongjusa in 1790, the facial descrip tion and wrinkles of the official uniform using the three-dimensional contrast in Oh's portrait were very realistic and the frontal composition was an unconventional attempt at that time.
The portrait of Oh Choi-seon's official uniform is a rare work in that it was a portrait of an official painted by Gaksoon, a monk in Naju, when he was appointed as a governor of Naju in 1879.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ajor figures and portraits run through the generations of a clan in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can examine the main charact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ortraits from the 17th to 19th centuries.
거란소자 「인의황후애책」 연구(Ⅰ)-애책의 특징과 앞 부분의 해독
「순천김씨묘출토언간」에 나타난 어휘 연구 -통사・의미적 특이성을 보이는 용언을 중심으로-
『烟經』과 『蔫錄』을 통해서 본 조선과 일본의 담배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