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 종사자 중 1980년부터 1994년 사이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재구성이 매개하는 효과를 실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73995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인적자원개발전공 , 2022.8
2022
한국어
서울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crafting : focusing on millenial generation workers
vii, 124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장원섭
I804:11046-0000005436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 종사자 중 1980년부터 1994년 사이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재구성이 매개하는 효과를 실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 종사자 중 1980년부터 1994년 사이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재구성이 매개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세 가지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밀레니얼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 재구성에 어떤 영향을 보이는가? 둘째, 밀레니얼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밀레니얼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재구성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지역 기업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편의표본 방식으로 추출한 대상자에게 2022년 3월 22일부터 3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총 325부이며, 이 중 연구 대상자인 밀레니얼 세대 (1980년~1994년 사이 출생자)에 해당하지 않는 9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316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자기효능감이며 매개변수인 직무 재구성은 과업 재구성, 인지 재구성 관계 재구성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수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정의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별, 결혼상태, 학력, 직급, 근속연수, 업종을 포함하였다. 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직무 재구성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직무 재구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에서는 인지 재구성에 가장 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 재구성의 하위 변수들과의 관계마다 매개효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 재구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재구성은 완전 매개효과, 관계 재구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직무 재구성의 하위요인인 과업과 인지, 관계 재구성 모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서울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밀레니얼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으며, 이 관계에서 직무 재구성의 하위요인별 상이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조직의 중간관리자로 성장하며 향후 조직의 핵심인적자원으로 예상되는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직무에 만족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 재구성을 밝혀낸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밀레니얼 구성원의 이탈율을 낮추고 조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맡은 직무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와 가치를 찾도록 지원하는 가치 중심적 인적자원개발을 진행하는 등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 재구성에 유효한 조직 환경적 요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