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심미적인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위하여 광주 지역의 50대와 60대의 미소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50, 60대(평균연령 : 55.6세)의 정상 교합자 20명 (남자 : 7명, 여자 : 13명)을 대상으로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0303
광주 :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617.6 판사항(22)
광주
22 p. : 삽도 ; 26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상원
참고문헌 : p. 19-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심미적인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위하여 광주 지역의 50대와 60대의 미소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50, 60대(평균연령 : 55.6세)의 정상 교합자 20명 (남자 : 7명, 여자 : 13명)을 대상으로 하...
이 연구는 심미적인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위하여 광주 지역의 50대와 60대의 미소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50, 60대(평균연령 : 55.6세)의 정상 교합자 20명 (남자 : 7명, 여자 : 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안정위 시와 미소 시 얼굴정면 사진을 촬영하여 미소 시 입술 형태, 입술의 변화와 치아와의 관계를 계측, 분석하고,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1학년(67명), 4학년(47명)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미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mile line ratio는 하순 상연의 만곡과 절단연과의 평행관계를 나타내는 것로 남자 평균 0.91, 여자 평균 0.89를 나타냈다.
2. Buccal corridor ratio는 클수록 차이가 적게 노출되는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평균 0.69로 남녀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 미소 시 노출되는 치아는 제1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35%로 가장 많았고,제 2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30%로 다음으로 많았다.
4. 미소 시 상순 하연의 수직적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서로 역상관관계가 보였으며, 하순 상연의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설문조사 결과, 전남대학교 치과전문대학원 1학년의 경우, 얼굴전체 사진과 입술만 나타난 사진에서 뽑은 아름다운 미소 사진이 달랐으며, 4학년의 경우에는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