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에서 하나의 완결된 사회이론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논문은 전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펴나간다. 후설에서 사회이론의 기반이 되는 것은 모나드론이다. 개별적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420236
2002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167-193(27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후설에서 하나의 완결된 사회이론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논문은 전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펴나간다. 후설에서 사회이론의 기반이 되는 것은 모나드론이다. 개별적 주...
후설에서 하나의 완결된 사회이론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논문은 전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펴나간다. 후설에서 사회이론의 기반이 되는 것은 모나드론이다. 개별적 주관의 개별성을 특징짓는 모나드는 후설에 따르면 고립되어 있지 않고 다른 모나드들과 더불어 하나의 모나드 공동체를 이룬다. 모나드 공동체는 그러나 단순히 모나드들의 집합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내재적 발전의 법칙을 지닌 또 다른 독립체이다. 후설은 존재론적으로 모나드 공동체를 개별적 모나드에 우선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바로 여기서 사회가 개인에 앞선다는 전체론적 관점에서 후설의 사회이론을 봐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사회발전이 목적론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후설의 생각이다. 여기서 목적론은 개인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규정되기보다는 초개인적인 어떤 요소에 의존해 있다. 후설에서 목적론의 정점에는 이상사회로서 사랑의 공동체가 존재한다. 이 이상사회의 실현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어떤 유한한 존재인 개인이나 국가와 같은 것이 아니라 목적론의 궁극적 원리로서 이해된 신이다. 절대적 존재인 신에 의해 비로서 후설의 사회이론은 하나의 완결성을 지니게 되며, 또 이 점은 전체론적 사고방식이 그 밑바탕에 놓여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이러한 신과 목적론을 함축하는 형이상학적 체계가 과연 현상학적인가 하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53 | 1.16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