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그손에 있어서 `의식`은 자연을 물질의 결정론적 작용들로 환원하려는 과학주의 태도에 대립하여 인간과 생명을 포함한 자연 전체를 역동적이고 시간적인 모습에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420235
2002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147-165(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베르그손에 있어서 `의식`은 자연을 물질의 결정론적 작용들로 환원하려는 과학주의 태도에 대립하여 인간과 생명을 포함한 자연 전체를 역동적이고 시간적인 모습에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
베르그손에 있어서 `의식`은 자연을 물질의 결정론적 작용들로 환원하려는 과학주의 태도에 대립하여 인간과 생명을 포함한 자연 전체를 역동적이고 시간적인 모습에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된 핵심적 개념이다. 이는 과학적 결정론이 근거하는 `공간표상`에 대립되는 존재방식인 `지속`을 인간 의식의 내밀한 상태에서 발견하고, 여기서부터 자연 전체를 관통하는 `지속`의 운동을 통찰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베르그손에 따르면 자연에는 존재층을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상호관계하는 두 대립적인 운동들이 있다. 생명체에서는 의식현상의 근원인 `순수 기억`이라 부른 혼과 이 혼이 세계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한 메카니즘인 신체로 나타나며, 자연 속에서는 하강하고 이산하는 운동인 물질성과 이 운동을 역행하고 타협하면서 생명종들을 유기화하는 원리인 상승하고 융합하는 운동인 생명성이 그것이다. 베르그손은 존재층을 달리하여 나타나는 현존재자에 있어서 `순수 지속`, 생명적 존재에 있어서는 혼(순수 기억), 생명적 존재의 유기화의 원리에 있어서는 `생명성`을 모두 의식이란 말로 이해하며, 이는 물리적 결정론을 거부하는 궁극적인 근거가 된가. 베르그손의 역동적인 철학은 고대에서부터 내려오는 의식(혼)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들을 수용하면서도, 의식의 본성을 `영원성`이 아니라 `지속`으로 규정함으로써 그것들을 새롭게 종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정신의 기초와 한계를 정확히 인식함으로써 과학적 결정론에 대항하는 정신주의를 주장한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만하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53 | 1.16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