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록, "지금 바로 ‘구조’를 바꾸어야 합니다, In 우리가 로스쿨을 말하는 이유: 로스쿨 지지자의 편지"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2007
2 이국운, "정치적 근대화와 법률가 집단의 역할" 서울대 1998
3 K. M. McDonald, "전문직의 사회학" 일신사 1999
4 민주적 사법개혁 실현을 위한 국민연대, "온 국민이 함께 가는 민주적 사법개혁의 길" 필맥 2006
5 한상희, "사법판단 준거로서의 권력현상" (9) : 1994
6 김선수, "사법개혁리포트" 박영사 2008
7 오종근, "변호사업무광고에서 전문분야 표시의 문제점과 전문변호사제도 도입" 법조협회 56 (56): 5-43, 2007
8 오종근, "변호사보수에 관한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27) : 77-134, 2004
9 한상희,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 분야 설치인가 심사 기준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10 사법연수원, "법조윤리론" 사법연수원 2008
1 김창록, "지금 바로 ‘구조’를 바꾸어야 합니다, In 우리가 로스쿨을 말하는 이유: 로스쿨 지지자의 편지"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2007
2 이국운, "정치적 근대화와 법률가 집단의 역할" 서울대 1998
3 K. M. McDonald, "전문직의 사회학" 일신사 1999
4 민주적 사법개혁 실현을 위한 국민연대, "온 국민이 함께 가는 민주적 사법개혁의 길" 필맥 2006
5 한상희, "사법판단 준거로서의 권력현상" (9) : 1994
6 김선수, "사법개혁리포트" 박영사 2008
7 오종근, "변호사업무광고에서 전문분야 표시의 문제점과 전문변호사제도 도입" 법조협회 56 (56): 5-43, 2007
8 오종근, "변호사보수에 관한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27) : 77-134, 2004
9 한상희,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 분야 설치인가 심사 기준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10 사법연수원, "법조윤리론" 사법연수원 2008
11 高中正彦, "법조윤리강의" 민사법연구회 2005
12 한상희, "법률전문직의 의의와 성격: 법사회학적 분석을 위한 서설" 5 : 1996
13 이국운, "법률가양성제도의 정치적 기능" (17) : 2000
14 P. Goedde, "미국 로스쿨의 프로보노(Pro Bono) 및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 프로그램에 대한 개요"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서울대 법대 공익인권법센터 2008
15 "대법원 2007.7.26 선고 2006마334 결정"
16 김용철, "나의 배신 -나는 배신의 DNA를 가졌는가?, In 배신 : 21세기를 사는 지혜" 한겨레출판사 2008
17 小島武司, "法曹倫理" 有斐閣 2006
18 森際康友, "法曹の倫理" 名古屋大學出版會 2005
19 R. MacCrat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Building the Continuum of Leg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10 : 805-, 2004
20 W. B. Wendel,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spen Publishers 2004
21 P. Shime, "Pro Bono Students Canada" 2008
22 P. R. Jarvis, "Foreword, In Ethical Problems in the Practice of Law, 2nd ed" Aspen Publishers 2008
23 "ABA Section of Legal Education and Admissions to the Bar, Leg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 Educational Continuum, Report of the Task Force on Law Schools and the Profession: Narrowing the Gap" ABA 1992
24 "291 N.W. 2d 686(Minn.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