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U주요회원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독일과 스웨덴의 정책사례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Youth Vocational Training Policy in Major EU Member States: The Case Study of Germany and Swed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major EU countries with advanced experience in youth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policies, and aims to find characteristic implications. As a research framework An Introduction to the Current State of Youth Policy in Korea and Introduce the direction of German and Swedish policies in the EU communit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youth as part of social integration.
      The universal outcome of analyzing case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and Sweden is that it aims to nurture youth as an independent expert who can successfully participate in society as a key element of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ituation of the youth is specifically considered and suppor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Germany and Sweden, it aims to foster young people as independent, successful professionals who can participate in society, and supports them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suit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these major countries suggest that policy is setting policy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ity of supporting all students and vulnerable youths, rather than separating them into specific group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th.
      Based on the analysis from the above major EU member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Korea's youth support policy and to provide support for stable social adjustment of these youths in Korea and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necessary for self-relianc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major EU countries with advanced experience in youth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policies, and aims to find characteristic implications. As a research framework An Introduction to the Current State of Youth Policy in Ko...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major EU countries with advanced experience in youth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policies, and aims to find characteristic implications. As a research framework An Introduction to the Current State of Youth Policy in Korea and Introduce the direction of German and Swedish policies in the EU communit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youth as part of social integration.
      The universal outcome of analyzing case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and Sweden is that it aims to nurture youth as an independent expert who can successfully participate in society as a key element of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ituation of the youth is specifically considered and suppor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Germany and Sweden, it aims to foster young people as independent, successful professionals who can participate in society, and supports them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suit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in these major countries suggest that policy is setting policy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ity of supporting all students and vulnerable youths, rather than separating them into specific group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th.
      Based on the analysis from the above major EU member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Korea's youth support policy and to provide support for stable social adjustment of these youths in Korea and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necessary for self-reli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직업훈련 교육정책에서 앞선 경험을 가진 EU 주요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특징적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틀로서 한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먼저 살펴보고 사회통합의 일환으로서 시행하고 있는 EU 공동체 내의 독일과 스웨덴의 교육정책의 방향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원 정부 정책을 소개한다. 이를 토대로 두 국가의 청소년 취업 지원 방향과 정책사례들이 한국의 청소년을 위한 취업 지원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독일, 스웨덴의 직업교육 정책사례 분석에 따른 보편적 결과로는 사회통합의 핵심적 요소로서 청소년을 성공적인 사회참여가 가능한 자립적 직업인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 나라 사정에 맞는 특수성을 가지고 청소년의 상황을 고려하여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주요국의 정책사례 분석결과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로는, 정책이 청소년을 특정 집단으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 학생이나 취약계층 청소년 전부를 포괄하여 지원하는 보편성과 함께 청소년만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위의 주요 EU 회원국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의 청소년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뒷받침과 더불어, 자립을 위해 필요한 맞춤형의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 직업훈련 교육정책에서 앞선 경험을 가진 EU 주요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특징적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틀로서 한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본 연구는 청소년 직업훈련 교육정책에서 앞선 경험을 가진 EU 주요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특징적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틀로서 한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먼저 살펴보고 사회통합의 일환으로서 시행하고 있는 EU 공동체 내의 독일과 스웨덴의 교육정책의 방향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원 정부 정책을 소개한다. 이를 토대로 두 국가의 청소년 취업 지원 방향과 정책사례들이 한국의 청소년을 위한 취업 지원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독일, 스웨덴의 직업교육 정책사례 분석에 따른 보편적 결과로는 사회통합의 핵심적 요소로서 청소년을 성공적인 사회참여가 가능한 자립적 직업인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 나라 사정에 맞는 특수성을 가지고 청소년의 상황을 고려하여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주요국의 정책사례 분석결과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로는, 정책이 청소년을 특정 집단으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 학생이나 취약계층 청소년 전부를 포괄하여 지원하는 보편성과 함께 청소년만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위의 주요 EU 회원국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의 청소년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뒷받침과 더불어, 자립을 위해 필요한 맞춤형의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희망제작소"

      2 이지연, "해외 진로개발정책과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3 채창균, "한국의 사회정책 주요 지표 분석 – OECD 사회지표를 중심으로" 2017

      4 정영순, "한국과 영국의 청소년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 비교연구" 10 : 2003

      5 김기헌, "청소년 진로체험활동의 실태와 발전방안 모색" 2016

      6 한동욱, "청소년 노동교육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4

      7 오유경, "청소년 고용 노동 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2017

      8 "청년수당전쟁"

      9 김재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71-81, 2016

      10 서유정, "진로교육법 체제에서 진로교육 추진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 "희망제작소"

      2 이지연, "해외 진로개발정책과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3 채창균, "한국의 사회정책 주요 지표 분석 – OECD 사회지표를 중심으로" 2017

      4 정영순, "한국과 영국의 청소년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 비교연구" 10 : 2003

      5 김기헌, "청소년 진로체험활동의 실태와 발전방안 모색" 2016

      6 한동욱, "청소년 노동교육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4

      7 오유경, "청소년 고용 노동 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2017

      8 "청년수당전쟁"

      9 김재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71-81, 2016

      10 서유정, "진로교육법 체제에서 진로교육 추진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1 교육부, "직업계고학점제 도입 및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2 박동열, "중등단계 직업교육 규모 확대 방안 연구" 2016

      13 교육부,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 확대 계획"

      14 대한상공회의소, "주요국의 일학습병행제 운영현황과 시사점" 2014

      15 김철희, "제3차 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 수립 추진을 위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6 강유덕, "저성장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 주요국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15-21, 2015

      17 강경종,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8 김광희, "일학습병행제도의 안착을 위한 제언" 중소기업연구원 2014

      19 강세욱, "일학습병행제 성과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6

      20 정혁, "유럽 직업 교육 훈련 학점 이전제도(ECVET) 발전과 발전 제고 요인에 관한 소고" 국제지역문화원 8 (8): 239-266, 2017

      21 "위키백과"

      22 임 언, "영국·뉴질랜드·캐나다·호주의 진로교육"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9-10, 2008

      23 강순희, "스위스의 일학습 듀얼시스템과 시사점" 한국노동연구원 2014

      24 김문희, "스웨덴의 청년 인적자원 현황 및 청년고용 정책 사례" 2016

      25 노기호, "스웨덴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특징" 유럽헌법학회 (15) : 89-128, 2014

      26 최지희, "산업수요중심의 직업훈련시스템 해외사례연구" 28-, 2017

      27 오호영, "사회부총리제 도입과 청년 고용 분야 핵심 이슈" 2015

      28 이지연, "미국·프랑스·핀란드·덴마크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9 김정숙, "동북아 청소년연구 분류체계 구축 연구" 2015

      30 박명준, "독일의 고용촉진관련 주요정책들의 추진경과와 전망" 86-, 2006

      31 정주연, "도제훈련제도의 국가별 특성 및 한국직업훈련제도 개편에 대한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3

      32 채창균, "능력중심사회와 사회부총리의 역할"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2015

      33 "국회예산정책처사이트"

      34 진미석, "교원양성단계에서의 진로교육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35 박동열, "광복 70년의 직업교육 정책 변동과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36 신유란, "경제주평"

      37 노도현, "[교육에‘노동’은 없다]프랑스 초등 4년 교과서엔 알맞은 노동조건 요구할 권리"

      38 Communiqu of the European Ministers, "The Bruges Communiqué on enhanced European Cooper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eriod 2011-2020, BRUGES COMMUNIQU, Version. 7"

      39 Brockmann, Clark, L., "The Apprenticeship Framework in England: A New Beginning or a Continuing Sham?" 23 (23): 111-127, 2010

      40 Braun Borris, "Regional Networking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Japan and Germany:Evidence from a comparative study" 34 : 81-99, 2002

      41 김문희, "OECD의 유럽 청년보장(Youth Guarantee)제도 사례 연구" 2015

      42 김문희, "OECD 및 G20의 도제제도(apprenticeships) 논의 동향 및 사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43 최지희, "G20국가의 직업교육훈련제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44 Dustmann, Christian, "From Sick man of Europe to Economic Superstar: Germany’'s Resurgent Economy" 28 (28): 167-188, 2014

      45 Bruxellius, "European Cooper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urope 2020 Strategy)"

      46 황기식, "EU의 이민자 사회통합 위기와 통합정책적 시사점" 국제지역연구센터 19 (19): 135-168, 2016

      47 황기식, "EU ‘교육훈련 2020-The Bruges Communiqué’ 프로그램의 특징, 성과 및 주요 회원국 적용사례" EU연구소 (49) : 87-118, 2018

      48 CEDEFOP, "Career Development at Work: a Review of Career Guidance to Support People in Employment. Cedefop Panorama series"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8

      49 배상훈, "Bridging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CTE)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Integrative and Analytical Comparison of Competencies between CTE and HRD Professions" 한국인력개발학회 11 (11): 69-89, 2009

      50 Jorgenson Dale W., "A Retrospective Look at the US Productivity Growth Resurgence" 22 (22): 3-2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