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클라이언트 폭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장애인 복지시설과 비장애인 복지시설 종사자간 비교 -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Job-stress: a comparative between the Social Service workers for the People without abilities and for the People with 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lient violence experience to job performance of work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s an alternative. After surveying 171 social service workers' experiences of client violence, the job stress and relationshi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employees of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showed that language violence experiences in both groups had a static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that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by workers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shows relatively low relevance compared to those with workers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judged that workers for the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less likely to be exposed to violence more frequently, or to enhance their personal responses to mitigating job stress through relaxation. As an alternative, it proposed a community-level response system such as establishing a support center for victims of violenc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lient violence experience to job performance of work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s an alternative. After surveying 171 social service workers' experiences of client violence, the job stress a...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lient violence experience to job performance of work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s an alternative. After surveying 171 social service workers' experiences of client violence, the job stress and relationshi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employees of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showed that language violence experiences in both groups had a static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that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by workers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shows relatively low relevance compared to those with workers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judged that workers for the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less likely to be exposed to violence more frequently, or to enhance their personal responses to mitigating job stress through relaxation. As an alternative, it proposed a community-level response system such as establishing a support center for victims of viol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이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회서비스 종사자 171명에게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을 조사한 후 직무스트레스와 관계를 비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와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에서 언어폭력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언어폭력경험은 비장애인복지 종사자에 비해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복지 종사자가 폭력에 좀 더 빈번하게 노출되어 둔감하거나, 동료와의 논의를 통해 대처방안을 수립하는 등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개인적 대응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시설유형에 적합한 지침마련과 폭력 피해 종사자를 위한 지원센터 설립과 휴식 등 지역사회차원의 대응체계마련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이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회서비스 종사자 171명에게 클라이언트 폭력...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이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회서비스 종사자 171명에게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을 조사한 후 직무스트레스와 관계를 비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와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에서 언어폭력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언어폭력경험은 비장애인복지 종사자에 비해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복지 종사자가 폭력에 좀 더 빈번하게 노출되어 둔감하거나, 동료와의 논의를 통해 대처방안을 수립하는 등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개인적 대응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시설유형에 적합한 지침마련과 폭력 피해 종사자를 위한 지원센터 설립과 휴식 등 지역사회차원의 대응체계마련을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희,

      2 최은정,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우울,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3 (43): 83-110, 2015

      3 김경호,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40-74, 2010

      4 김정은,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187-213, 2013

      5 신준섭,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67-189, 2009

      6 아산시, "제 2기 아산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아산시 2018

      7 박미은, "정신보건 수련사회복지사가 경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159-183, 2006

      8 김진,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 경험과 조직몰입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5 (35): 5-26, 2017

      9 박미은,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폭력 경험과 인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103-121, 2007

      10 이화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금천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74-298, 2013

      1 조선희,

      2 최은정,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우울,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3 (43): 83-110, 2015

      3 김경호,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40-74, 2010

      4 김정은,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187-213, 2013

      5 신준섭,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67-189, 2009

      6 아산시, "제 2기 아산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아산시 2018

      7 박미은, "정신보건 수련사회복지사가 경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159-183, 2006

      8 김진,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 경험과 조직몰입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5 (35): 5-26, 2017

      9 박미은,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폭력 경험과 인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103-121, 2007

      10 이화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금천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74-298, 2013

      11 윤경아, "사회복지시설의 클라이언트 폭력 - 발생실태와 시설의 대응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91-116, 2015

      12 장경은,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일선사회복지사와 관리직사회복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23 (23): 1-23, 2013

      13 정은미, "사회복지시설 클라이언트의 폭력에 대한 종사자의 반응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시설의 대응체계와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173-183, 2011

      14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 실태 및 안전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2

      15 오봉욱,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1 (21): 246-266, 2014

      16 이재용,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연구" 한국보건복지학회 20 (20): 65-89, 2018

      17 유숙자,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 직무스트레스의 역할요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18 배의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시설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59-81, 2013

      19 강은애, "사회복지사의 일터는 안전한가?" 184 : 11-16, 2014

      20 최수찬,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3 (33): 221-231, 2008

      21 정유선, "사회복지사와 보건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비교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22 국가인권위원회,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3

      23 장소현,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47) : 85-106, 2018

      24 신혜종,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복리후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3) : 289-313, 2015

      25 서울시복지재단, "복지시설 종사자 위험관리 실태조사" 서울시복지재단 2005

      26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17" 보건복지부 2018

      27 설진화,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클라이언트의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133-162, 2006

      28 Macdonald, G., "Reporting Client Violence" 46 : 107-114, 2001

      29 Blomberg, H.,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Determinants and Attitude Effects in the Nordic Countries" 1-17, 2014

      30 Anna, R., "Critical Commentary: The Impact of Work-related Violence towards Social Workers in Children and Family Services" 44 (44): 924-936, 2014

      31 Jayaratne, S., "A National Survey of Violence in the Practice of Social Work" 85 (85): 445-453, 2004

      32 대전복지재단, "2017년 대전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대전복지재단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isability & Social Welfar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