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장애인의 의견을 듣고 분석하여, 성인장애인평생교육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장애인의 의견을 듣고 분석하여, 성인장애인평생교육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사...
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장애인의 의견을 듣고 분석하여, 성인장애인평생교육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사업의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을 통해서 얻은 자료를 지속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의 의견은 평생교육 사업의 성과,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조건), 더 나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추가 개선방안과 같은 세 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각 범주는 하위범주로 구분되었으며, ʻ장애인식개선 교육의무의 활용ʼ, ʻ적절한 홍보ʼ, ʻ장애인으로서의 동질감ʼ, ʻ친절한 직원ʼ, ʻ깨끗한 시설ʼ, ʻ저렴한 이용료ʼ와 같은 6개의 요인에 의해, ʻ문화·여가시간의 활용ʼ, ʻ심리적 만족감과 성취감ʼ, ʻ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통의 창으로서의 역할ʼ과 같은 성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성과가 뛰어났지만 ʻ다음 단계로의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선ʼ, ʻ강사의 질 개선ʼ, ʻ장애인을 고려한 수업진행 필요ʼ, ʻ교육시간의 확대ʼ, ʻ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소통 강화를 위한 노력ʼ과 같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utcome and influencing factors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in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by applying the FGI analysis. As a result, 3 categories are identified as follows.: ʻoutcome of the lifelong learning pro...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utcome and influencing factors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in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by applying the FGI analysis. As a result, 3 categories are identified as follows.: ʻoutcome of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for disabled peopleʼ, ʻpos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ʼ, and ʻmeasures for improvementʼ. In addition, each category has several subcategories. ʻOutcome of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for disabled peopleʼ category included 3 subcategories such as ʻutilization of cultural leisure timeʼ, ʻ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ʼ, and ʻwindow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ʼ. ʻpos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ʼ category included 6 subcategories such as ʻutiliz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ʼ, ʻappropriate promotionʼ, ʻpsychological comfort based on disability homogeneityʼ, ʻfriendly staffʼ. clean facilityʼ, and ʻcheap feesʼ. And ʻmeasures for improvementʼ category included 5 subcategories such as ʻprogram improvement for further developmentʼ, ʻimprovement of lecturerʼ, ʻprogress according to disabled peopleʼ, ʻexpansion of learning timeʼ, and ʻadditional efforts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 disabledʼ.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수, "평생교육에 관한 의식 및 활성화 전략방안 연구: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79-102, 2011
2 김기룡, "평생교육법 개정 시행에 따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향후과제" 3 (3): 1-30, 2017
3 정민승,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성과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69-186, 2007
4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지원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5 김윤태, "전북지역 중증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교육청 2009
6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59-383, 2014
7 박노동,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방안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8 김주영, "장애인 평생교육권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6
9 곽승철,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충청남도교육청 2010
10 이상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분석" 279-284, 2018
1 김종수, "평생교육에 관한 의식 및 활성화 전략방안 연구: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79-102, 2011
2 김기룡, "평생교육법 개정 시행에 따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향후과제" 3 (3): 1-30, 2017
3 정민승,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성과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69-186, 2007
4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지원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5 김윤태, "전북지역 중증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교육청 2009
6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59-383, 2014
7 박노동,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방안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8 김주영, "장애인 평생교육권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6
9 곽승철,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충청남도교육청 2010
10 이상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분석" 279-284, 2018
11 정인숙,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12 김기룡, "장애성인을 위한 대학중심 평생교육에 관한 설문조사결과보고서" (사)전국장애인부모연대 2014
13 윤점룡, "성인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모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0
14 조창빈, "성인 장애인의 평생학습 지향 형태 및 성과 분석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0 (40): 33-56, 2018
15 백은희, "성인 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기초 연구" 36 (36): 169-205, 2001
16 강순원, "서울형 장애성인 평생교육 운영 모형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2011
17 Deborah K. Padgett,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18 김윤민, "부양의무자기준의 주요쟁점에 관한 빈민단체활동가 FGI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17-144, 2017
19 나애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3 (3): 31-64, 2017
20 강순희, "미취업자의 직업훈련 참가 결정요인과 고용성과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267-298, 2015
21 김두영,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모형 개발" 1 (1): 85-103, 2015
22 김정재, "경상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경상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09
23 More J.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health professionals" SAGE publication 1995
24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Sage 2007
25 Guba, E.,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1989
26 Vaughn, S. R, "Focused group interview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SAGE Publication 1996
27 Abelson, J., "Deliberations about deliberation: Issues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ublic consultation processes. McMaster University Centre for Health Economics and Policy Analysis Research Working Paper" 1-4, 2001
28 김성희,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9 교육부, "2013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5
클라이언트 폭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장애인 복지시설과 비장애인 복지시설 종사자간 비교 -
국내 장애인 운동프로그램의 특징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