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남북한 종단철도(TKR) 복원과 연결은 2000년 6. 15 남북공동선언으로 가시화되어 2002년 9월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ㆍ도로연결 착공식이 있었다. 남북한간 철도 건설은 새로운 철도연결망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72576
2004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29-250(22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남북한 종단철도(TKR) 복원과 연결은 2000년 6. 15 남북공동선언으로 가시화되어 2002년 9월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ㆍ도로연결 착공식이 있었다. 남북한간 철도 건설은 새로운 철도연결망 ...
21세기 남북한 종단철도(TKR) 복원과 연결은 2000년 6. 15 남북공동선언으로 가시화되어 2002년 9월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ㆍ도로연결 착공식이 있었다. 남북한간 철도 건설은 새로운 철도연결망 구축보다는 기존의 단절구간의 복원과 한반도를 대륙철도와의 연결 의미를 내포한다. 본 논문은 남북한 미연결 구간 철도 복원에 따른 아시아와 유럽대륙을 잇는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의 연계 필요성과 남ㆍ북ㆍ러 3국간에 논의와 공사가 진행 중인 철도연결이 동북아교통망 구축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하였다. TKR의 연결과 차후 TSR와 연결되는 유럽으로 이어지는 ‘철의 실크로드’ 달성에는 기술적, 제도적 제반 문제해결을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남ㆍ북ㆍ러 3국간에 진행되고 있는 실무자 협의를 통해서 설득과 대화의 채널을 통해서 해결을 모색해야 한다. 육로연결을 통한 남북교류의 활성화 노력이 동해선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사회간접기반 시설인 철도를 중심으로 한 남북한 육상교류의 실현은 경제협력과 인적교류의 확대, 정치적 상호의존과 평화공존을 도모로 더욱 확대ㆍ심화될 것이다. 한-러 철도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 분야의 기술․교류․통상측면의 확대가 예상되어진다. 향후 한-러 국가간 교통수송망 연계를 통한 물류망 확보와 러시아극동을 거쳐 우랄ㆍ시베리아지역까지의 시장 확대라는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수송과 에너지 개발 협력은 북한의 개방과 개혁의 가속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원희, "한반도종단철도와 시베리아횡단철도의 효율적 연계 기술" 4 (4): 16-23, 2001
2 안병민, "한반도 종단철도가 시베리아횡단철도 활성화에 미치는 파급효과 21세기 시베리아철도와 한국철도의 한-러 간 협력 방안 교통개발연구원" 1-18, 2000
3 신종서, "한국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의 기술검토방향 한국시베리아학회와 한국철도학회 주최 세미나 발표논문" 51-66, 2000
4 남상괄, "한국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의 기술검토방향" 84-89, 2000
5 전일수, "통일대비 남북한 종합교통망 구축계획" 교통개발연구원 1998
6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7 권원순, "시베리아횡단철도 이용 활성화와 한-러 경제 협력" 4 (4): 40-56, 2001
8 박환, "시베리아의 여명을 뚫고" 지식마당 2003
9 권원순,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한반도" 67-81, 2000
10 김상원,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북아경제협력" 4 (4): 24-32, 2001
1 유원희, "한반도종단철도와 시베리아횡단철도의 효율적 연계 기술" 4 (4): 16-23, 2001
2 안병민, "한반도 종단철도가 시베리아횡단철도 활성화에 미치는 파급효과 21세기 시베리아철도와 한국철도의 한-러 간 협력 방안 교통개발연구원" 1-18, 2000
3 신종서, "한국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의 기술검토방향 한국시베리아학회와 한국철도학회 주최 세미나 발표논문" 51-66, 2000
4 남상괄, "한국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의 기술검토방향" 84-89, 2000
5 전일수, "통일대비 남북한 종합교통망 구축계획" 교통개발연구원 1998
6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7 권원순, "시베리아횡단철도 이용 활성화와 한-러 경제 협력" 4 (4): 40-56, 2001
8 박환, "시베리아의 여명을 뚫고" 지식마당 2003
9 권원순,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한반도" 67-81, 2000
10 김상원,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북아경제협력" 4 (4): 24-32, 2001
11 양신추, "북한경제에서 철도의 기능과 역할 남북철도 연결을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 전문가 초청 세미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44-60, 2002
12 안병민, "북한경제에서 철도의 기능과 역할 남북철도 연결을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 전문가 초청 세미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3-43, 2002
13 윤경호, "동해안 남북연결사업의 강원도의 기대효과" 4 : 37-40, 2002
14 임재경, "동해선연결사업의 향후 전망과 강원도의 역할" 4 : 5-31, 2002
15 서광석, "대륙철도와의 연계를 위한 21세기 한국철도망 구축방안 21세기 시베리아철도와 한국철도의 한-러간 협력 방안 교통개발연구원" 1-24, 2000
16 박명식, "남북철도 연결 현황 남북철도 연결을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 남북철도 연결을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 전문가 초청 세미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5, 2002
17 권원순, "경의선ㆍ동해선의 연결을 통한 강원도 및 동북아시아 국가간의 이해관계" 4 : 32-36, 2002
18 "МПС РФ, Динамика перевозочной работы, основных экономических и финансовых показателей работы федеральног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Москва" 2000г
19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Дума, Материаль парламентских слушаний, Законодательное собрние Иркутской области," 1999г
20 "Госкомстат России, Транспорт и связь в России: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Москва" 1999г
21 "Госкомстат России, Россия в цифрах: Краткий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Москва" 2001г
22 Lee Yong Sang, "The Current State of the ROK’s Railways and Ways of Connecting Railway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54 : 16-17, 2003
23 권원순, "TKR/TSR 연결이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에서 갖는 의미와 대응방안" 1-44, 2003
24 성원용, "TKR-TSR 연결의 의의와 파급효과 동북아 경제협력의 관점에서 한국슬라브학회 연례학술회의 발표논문" 45-68, 2002
25 권원순, "TKR-TSR 연결사업의 과제와 전망 경제적 효과를 중심으로 시베리아ㆍ극동러시아와 한반도" 69-85, 2002
26 Steklov, Mikhail, "Russian Railways and their Rol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4 (4): 9-15, 2001
27 Yun, Yeongmi, "Railroads Linkage between Russia and Korea: Perspectives of Polit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21세기 동북아 지역의 역동성과 러시아의 세계화: 협력, 경쟁 또는 갈등?, 한국외대 기초학문지원연구 러시아지역연구사업단" 1- 25, 2004
28 Yun, Yeongmi, "Korean-Russian Relations and the Nakhodka Free Economic Zone" 2 (2): 202-217, 200210
29 "KTV e-Korea 2부, 2003. 12. 2"한반도리포트" 프로그램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의 안병민 박사와 저자와 대담자료." 2003
30 "KTV e-Korea 2부, 2003. 12. 12"한반도리포트" 프로그램에서 선문대의 윤황 교수와 저자와의 대담자료." 2003
31 "KTV e-Korea 2부, 2003. 12. 11"한반도리포트" 프로그램에서 철도대학의 최연혜 교수와 저자와의 대담자료." 2003
32 Tsuji, Hisako, "An International Logistical Network in Northeast Asia" 1-14, 2003
33 한종만,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ㆍ극동지역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34 홍완석, "21세기 러시아 정치와 국가전략" 일신사 200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1 | 1.13 | 1.257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