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의 한글 교육 경험과 실천적 지식의 구성 = Korean Alphabet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quisition of Hangul is crucial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use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o help students acquire Hangul. Practic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 teacher’s know-how or strategy that influences his or her selection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educational activities. To explor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he area of Korean alphabet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homeroom teachers for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composed of an emphasis on phonics, their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Hangul workbooks rather than official textbooks, pacing with strong reference to the textbook, and early wri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greater use of phonics in Korean alphabet education, modifying the content sequence in textbooks, adjusting the difficulty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the Korean curriculum, and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individual instruction to teachers.
      번역하기

      The acquisition of Hangul is crucial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use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o help students acquire Hangul. Practic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 te...

      The acquisition of Hangul is crucial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use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o help students acquire Hangul. Practic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 teacher’s know-how or strategy that influences his or her selection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educational activities. To explor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he area of Korean alphabet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homeroom teachers for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composed of an emphasis on phonics, their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Hangul workbooks rather than official textbooks, pacing with strong reference to the textbook, and early wri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greater use of phonics in Korean alphabet education, modifying the content sequence in textbooks, adjusting the difficulty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the Korean curriculum, and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individual instruction to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대영,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87-1213, 2019

      2 김도남, "한글 해득 교육 원리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 : 1-29, 2003

      3 양민화,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 한국작문학회 (29) : 241-274, 2016

      4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5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의 실태와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6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24, 2017

      7 교육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20

      8 강묘숙, "초등교사의 표현활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생애사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김자영,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41-160, 2003

      1 정대영,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87-1213, 2019

      2 김도남, "한글 해득 교육 원리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 : 1-29, 2003

      3 양민화,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 한국작문학회 (29) : 241-274, 2016

      4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5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의 실태와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6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24, 2017

      7 교육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20

      8 강묘숙, "초등교사의 표현활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생애사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김자영,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41-160, 2003

      11 이경화, "초등 교사의 국어 교과서 이해 양상: 1, 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3) : 141-176, 2010

      12 김희정, "아동과의 교육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11 (11): 21-41, 2005

      13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14 문연희, "발음중심 한글지도 프로그램이 읽기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교 1학년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69-194, 2020

      15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분석-교과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8) : 7-240, 2002

      16 김두정,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7-157, 2009

      17 성열관,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 탐색: Basil Bernstein의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71-96, 2012

      18 김무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1-49, 2012

      19 김자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77-96, 2003

      20 신태현,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성찰적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57-179, 2017

      21 김민정,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연구 동향 및 교육과정 연구에의 시사점" 27 (27): 89-108, 2006

      22 Elbaz, F., "Th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23 Elbaz, F.,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3

      24 Driel, J.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25 Clandinin, D. J.,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15 (15): 361-385, 1985

      26 Schmidt, W. H., "Four patterns of teachers’ content decision-making" 19 (19): 439-455, 1987

      27 Beijaard, D., "Assessing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22 (22): 275-286, 1996

      28 이상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현황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 한글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23, 2019

      2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 총론"

      30 이주연,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태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31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