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대영,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87-1213, 2019
2 김도남, "한글 해득 교육 원리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 : 1-29, 2003
3 양민화,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 한국작문학회 (29) : 241-274, 2016
4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5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의 실태와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6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24, 2017
7 교육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20
8 강묘숙, "초등교사의 표현활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생애사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김자영,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41-160, 2003
1 정대영,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87-1213, 2019
2 김도남, "한글 해득 교육 원리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 : 1-29, 2003
3 양민화,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 한국작문학회 (29) : 241-274, 2016
4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5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의 실태와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6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24, 2017
7 교육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20
8 강묘숙, "초등교사의 표현활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생애사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김자영,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41-160, 2003
11 이경화, "초등 교사의 국어 교과서 이해 양상: 1, 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3) : 141-176, 2010
12 김희정, "아동과의 교육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11 (11): 21-41, 2005
13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14 문연희, "발음중심 한글지도 프로그램이 읽기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교 1학년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169-194, 2020
15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분석-교과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8) : 7-240, 2002
16 김두정,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7-157, 2009
17 성열관,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 탐색: Basil Bernstein의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71-96, 2012
18 김무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1-49, 2012
19 김자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77-96, 2003
20 신태현,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성찰적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57-179, 2017
21 김민정,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연구 동향 및 교육과정 연구에의 시사점" 27 (27): 89-108, 2006
22 Elbaz, F., "Th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23 Elbaz, F.,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3
24 Driel, J.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25 Clandinin, D. J.,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15 (15): 361-385, 1985
26 Schmidt, W. H., "Four patterns of teachers’ content decision-making" 19 (19): 439-455, 1987
27 Beijaard, D., "Assessing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22 (22): 275-286, 1996
28 이상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현황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 한글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23, 2019
2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 총론"
30 이주연,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태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31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