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쟁이라는 소재와 낭만적 이상화 = The Korean War and Romantic Ide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53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사에 있어서 “전쟁”은 낯선 소재가 아니다. 한국영화사에서 전쟁은 남과 북이라는 분단 상황을 불러일으킨 한국 전쟁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 전쟁은 한국 역사에 있어 ...

      영화사에 있어서 “전쟁”은 낯선 소재가 아니다. 한국영화사에서 전쟁은 남과 북이라는 분단 상황을 불러일으킨 한국 전쟁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 전쟁은 한국 역사에 있어 부인할 수 없는 공통의 정신적 외상(trauma)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한국 전쟁과의 시간적 거리만큼 전쟁을 다루는 방식이 다양해졌다는 사실이다. 1960년대 전쟁 영화에서 한국 전쟁은 강박증에 가까우리만치 심각한 주제 의식으로 전경화되었다. 이에 비해 1990년대 이 후 전쟁을 다룬 영화는 전쟁영화라는 장르보다 오히려 멜로 영화의 면모를 띄는 경우가 더 많다. ‘영화의 주제였던 “전쟁”이 점차 소재화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주제가 아닌 소재로서의 “전쟁”은 1990년대 이후 제작된 영화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1998년 제작된 강제규 감독의 『쉬리』는 한국 전쟁과 분단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을 블록 버스터 상업 영화의 문법에 전유함으로써 새로운 한국 영화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영화는 분명 전쟁에 대한 강박적 죄의식이나 윤리적 의무감에서 벗어나 있는듯 보인다. 적극적으로 읽자면 이러한 변화는 “한국 전쟁”이라는 집단적 상처를 개인사로 구체화하겠다는 선언으로 받아들여진다. 선언은 한편 전쟁이라는 불변의 현실을 환상과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해보고자 하는 노력으로 연계된다. 문제는 그 재구성이 역사의 상처에 대한 반성적 치유인가 아니면 대중 영합적 자기 합리화인가이다. 본 고에서 『쉬리』 이후 한국 전쟁과 분단을 소재로 한 영화 작품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바는 바로 주제가 아닌 소재적 차원에서 원용되고 있는 한국 전쟁의 면모와 그것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한 재고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r is so familiar theme in film history. In Korean film history, most of what is called war is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must be frightful tranma to Korean.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most korean war films are highly diversified. In the 1960...

      War is so familiar theme in film history. In Korean film history, most of what is called war is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must be frightful tranma to Korean.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most korean war films are highly diversified. In the 1960's korean war film were dedicated to ideological means to end. But after 1990s, korean war films get toward not ideological but melo dramatic form. Spectacle of the Korean War is used by not theme or subject only but materials. Director Kang's {Swiri, 1998} is the first block-buster which use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s melodramatic obstacles. After 1990s, korean war films are seemed to be free from obsessive guilt trip about terrible sight of war. This change can be comprehended as declaration to concrete the pain of war in specific private history. The declaration must be connected the trial to change and overcome immutable trauma of war. The problem is the reconstuction of war image can be used popular fashion or commercial items. So this paper would verify the meaning and problem of current Korean War Fil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한국 영화사와 전쟁
      • Ⅱ. 낭만적 장애물로서의 전쟁과 멜로 드라마적 관습
      • Ⅲ. 이상적 화해와 환상의 재구성
      • Ⅳ. 전쟁의 현실화와 상징적 재현 (『전쟁영화』,『공동비구역 J. S. A』)
      • 논문요약
      • Ⅰ. 한국 영화사와 전쟁
      • Ⅱ. 낭만적 장애물로서의 전쟁과 멜로 드라마적 관습
      • Ⅲ. 이상적 화해와 환상의 재구성
      • Ⅳ. 전쟁의 현실화와 상징적 재현 (『전쟁영화』,『공동비구역 J. S. A』)
      • Ⅴ. 역사의 재인식과 역사의 소재화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