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 The structure and nature of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8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understanding on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s based on opinions of conflict between existing settler groups and migration groups, and of reorganization by migrators. Therefore in previous scholarships settlement on highlands has been r...

      Previous understanding on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s based on opinions of conflict between existing settler groups and migration groups, and of reorganization by migrators.
      Therefore in previous scholarships settlement on highlands has been regarded as a material to reflect friction and tension among these groups. It has been also believed that the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accomplished more extensive regional unification than societies in Bronze age through reorganizing by migrations and improved as a legitimate hierarchical society.
      However this understanding can not explain location changes,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vestigating settlements in the perspective of changes of socio-economic networks.
      A group of houses became a small settlement and three or four groups of houses formed a middle-sized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This means size of each settlement decreased comparing Bronze age. These settlements were classified in two groups: one top house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small settlements, and a few top houses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middle-sized settlements. It seems that local community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was in the level of village, chollak in Korean uniting hamlets, 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14 to 18 houses and small hamlets, so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4 to 6 houses at this time. Size of the community was within 2~6km. Horizontal location of these villages was formed by combining settlements on hills with centering ritual places in heights. From a broad perspective, socio-economic networks, by which ritual places on highlands were connected, having been gradually formed since the Bronze Age were completed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is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formed after networks centering water system in Bronze age were dissolved. However the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also formed as a part of dissolution of bigger settlements and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 think that as bigger settlements dissolved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agriculture, dependence upon resources from the sea temporarily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system turned into the mixed one combining farming, hunting, and fishing. In this respect reorganization of social economic networks related to livelihood should be considered in demarcating the Early Iron 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승열, "환호–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화성 동학산 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7

      2 김용, "화성 쌍송리 환호취락 , 移住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0

      3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4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5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서면 문화산업단지 조성지구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6 이청규, "초기철기시대 in 한국고고학강의" 한국고고학회 2007

      7 손준호, "청동기시대의 전쟁 ,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한국고고 학회 2009

      8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9 오규진, "청동기시대 주거지 복원 및 실험 -전기주거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 : 175-201, 2006

      10 鄭仁盛, "중심과 주변의 관점에서 본 辰・弁韓과 瓦質土器의 성립 , 고고학에서의 중심과 주변" 영남고고학회 2011

      1 오승열, "환호–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화성 동학산 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7

      2 김용, "화성 쌍송리 환호취락 , 移住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0

      3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4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5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서면 문화산업단지 조성지구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6 이청규, "초기철기시대 in 한국고고학강의" 한국고고학회 2007

      7 손준호, "청동기시대의 전쟁 ,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한국고고 학회 2009

      8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9 오규진, "청동기시대 주거지 복원 및 실험 -전기주거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 : 175-201, 2006

      10 鄭仁盛, "중심과 주변의 관점에서 본 辰・弁韓과 瓦質土器의 성립 , 고고학에서의 중심과 주변" 영남고고학회 2011

      11 이상엽, "중부지역 환호유적에 대한 일검토–안성 반제리유적 환호를 중심으로–" 서울 경기고고학회. 5 (5): 2006

      12 최종규, "주거지의 특징과 유적의 성격 , 합천영창리무문시대집락" 2002

      13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14 박경신, "전환기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의 편년과 전개 양상 , 국가형성기 한성백제의 고고학적 검 토–한성백제 중심지와 주변의 고고학적 편년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2011

      15 황해경, "인천 영종지구 중산동유적 조사개보 , 2008년도 서울・경기지역 문화유적 조사성과" 서울・경기고고학회 2008

      16 김현준, "이천 이치리 피엘디덕평 이차유한회사 물류창고 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 2008년도 서울・경기지역 문화유적 조사성과" 서울경기고고학회 2008

      17 김장석, "이주와 전파의 고고학적 구분: 시험적 모델의 제시" 한국상고사학회 38 : 1-26, 2002

      18 서길덕, "원형점토대토기의 변천과정 연구–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6

      19 庄田愼矢, "원형점토대토기시기 취락구조론(I)–중부지역– , 한일 취락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찾아 서" 한일취락연구회 2009

      20 경남문화재연구원, "울산 산업로 배면도로 연암 I.C. 개설구간내 울산 연암동 환호유적"

      21 鄭仁盛, "외래계 유물" 京畿 文化財硏究院 2009

      22 서현주, "영종도의 원삼국문화"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23 이길성, "영종도 운북동 원삼국시대 유적 , 영종도의 고고학" 인천대학교인천학연구원 2010

      24 기전문화재연구원, "수원 율전동유적"

      25 서길덕, "서울・경기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유적의 최근 조사성과" 한국고고학회 2011

      26 朴辰一, "서울・경기지방 점토대토기문화 試論" 서울・경기고고학회. 5 (5): 2006

      27 임상택, "빗살무늬토기문화 취락 구조 변동 연구 -중서부 이남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23 : 55-84, 2006

      28 洪周希,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 한국청동기학회 5 : 2009

      29 김성남, "무덤을 통한 ‘마한’사회의 전개과정 작업가설 , 호서지역 읍락사회의 변천" 호서고고학회 2008

      30 손준호,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한국고고학회 (62) : 90-113, 2007

      31 翰林大學校博物館, "동해고속도로 확장・신설구간(송림리)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03

      32 안승모,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 출현의 상관관계" 한국신석기학회 11 : 2006

      33 鄭仁盛, "동북아시아에서 타날문 단경호의 확산 , 중도식무문토기의 전개와 성격" 숭실대학교 2010

      34 유은식, "동북계토기로 본 강원지역 중도식무문토기의 편년과 계통 , 중도식무문토기의 전개와 성격" 숭실대학교 2010

      35 기전문화재연구원, "대덕골遺蹟"

      36 金壯錫, "남한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가설의 제시" 한국고고학회 48 : 93-124, 2002

      37 宋滿榮, "남한지방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의 변화와 계층화 ,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한국고고학회 2007

      38 鄭仁盛, "낙동강 유역권의 細形銅劍 文化" 영남고고학회 22 : 1998

      39 江原文化財硏究所,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8

      40 한얼문화유산연구원, "광주시 역동 e-편한세상아파트 신축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1

      41 朴淳發, "경질무문토기의 변천과 강릉 초당동유적의 시간적 위치"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9

      42 이숙임, "강원지역 점토대토기문화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43 예맥문화재연구원, "高城 鐵桶里遺蹟"

      44 江原文化財硏究所, "高城 草島里 遺蹟"

      45 江原考古文化硏究院, "高城 猪津里 聚落 I"

      46 江原文化財硏究所, "高城 松峴里 遺蹟"

      47 예맥문화재연구원, "高城 三浦里遺蹟"

      48 金元龍, "韓國考古學槪說" 一志社 1986

      49 武末純一, "韓國無文土器・原三國時代の集落構造硏究 –平成14~16年度科學硏究費補助金" 硏究成果報告書 2005

      50 中村大介,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의 編年과 年代" 한국고고학회 (68) : 38-87, 2008

      51 安在晧, "靑銅器時代 聚落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52 李盛周, "靑銅器時代 東아시아 世界體系와 韓半島의 文化變動" 한국상고사학회 23 : 1996

      53 李在賢, "金海大淸遺蹟" 釜山大學校博物館 2002

      54 朴淳發, "遼寧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定着 過程" 충청문화재연구원 2004

      55 江陵大學校博物館, "襄陽 池里 住居址"

      56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盤松里 靑銅器時代 聚落"

      57 한얼문화유산연구원, "華城 桐化里 遺蹟"

      58 京畿文化財硏究院, "華城 東鶴山 遺蹟"

      59 盧爀眞, "粘土帶土器文化의 社會性格에 대한 一考察–住居遺蹟의 特色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45 : 2001

      60 nakamura daisuke, "粘土帶土器文化와 原三國文化의 土器副葬 變化 및 國際關係" 호서고고학회 (21) : 100-126, 2009

      61 朴辰一,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한국청동기학회 1 : 2007

      62 京畿文化財硏究院, "烏山 佳長洞 遺蹟"

      63 朴淳發, "漢江流域의 靑銅器・初期鐵器文化" 民音社 1993

      64 朴淳發, "漢江流域의 基層文化와 百濟의 成長過程" 한국고고학회 36 : 1997

      65 翰林大學校博物館, "漆田洞 粘土帶土器 遺蹟 發掘報告書"

      66 玄大煥,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方形住居址의 展開" 한국청동기학회 7 : 2010

      67 國立中央博物館, "法泉里 II"

      68 江原文化財硏究所, "泉田里"

      69 江原文化財硏究所, "江陵地域 文化遺蹟 試・發掘調査 報告書 II"

      70 江原考古文化硏究院, "江陵 鍮川洞 遺蹟"

      71 江原文化財硏究所, "江陵 芳洞里 遺蹟"

      72 李和種, "江原地域 圓形粘土帶土器文化의 特徵과 編年" 江原考古學會 7 : 2005

      73 金元龍, "水石里先史時代聚落住居址調査報告" 국립중앙박물관 11 : 1966

      74 鄭漢德, "欣岩里類型 形成過程 再檢討에 대한 토론" 호서고고학회 1999

      75 中原文化財硏究院, "楊平 三星里遺蹟"

      76 이형원, "松菊里類型과 水石里類型의接觸樣相" 호서고고학회 (12집) : 15-34, 2005

      77 朴淳發, "村落의 形成과 發展"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7 : 2002

      78 宮本一夫, "時代區分と日韓考古學" 雄山閣 113 : 2010

      79 金權中, "春川 擧頭2地區遺蹟 , 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한국고고학회 2006

      80 昌原大學校博物館, "昌原의 先史・古代 聚落"

      81 朴榮九, "嶺東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한국청동기학회 7 : 2010

      82 高麗文化財硏究院, "富川 如月洞 遺蹟"

      83 漢陽大學校博物館, "富川 古康洞 先史遺蹟 第4次 發掘調査報告書"

      84 中原文化財硏究院, "安城 盤諸里遺蹟"

      85 朴淳發, "天安長山里遺蹟" 충남대학교박물관 1996

      86 崔秉鉉, "原三國土器의 系統과 性格" 한국고고학회 38 : 1998

      87 宋滿榮,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 한국고고학회 2002

      88 李亨源,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前期의 上限과 下限" 한국청동기학회 1 : 2007

      89 京畿文化財硏究院, "加平 大成里遺蹟"

      90 鄭澄元, "初期農耕遺蹟の立地環境, 韓日交涉の考古學" 大興出版 1991

      91 國立扶餘博物館, "保寧 校成里 집자리"

      92 高麗文化財硏究院, "仁川 永宗島 遺蹟"

      93 宋滿榮, "中部地方 原三國時代~漢城百濟時代 戰爭 樣相의 變化–火災住居址 資料를 中心으로–" 한국고고학회 43 : 2000

      94 李亨源,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호서고고학회 (24) : 58-93, 2011

      95 宋滿榮, "中期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編年과 性格"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5

      96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97 예맥문화재연구원, "「주문진–속초고속국도 4, 5공구 내 유적발굴조사」 3차 지도위원회 자료"

      98 예맥문화재연구원, "「동해시립박물관 건립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2차 지도위원회 자료"

      99 江原文化財硏究所, "「洪川 哲亭里 II遺蹟」 4차 지도위원회 자료"

      100 정인성, "‘瓦質土器 樂浪影響說’의 검토" 영남고고학회 (47) : 5-4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