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에서의 이찬 시의 정치적 대응과 변모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4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 문학예술에서 ‘혁명시인’으로 지칭된 이찬의 시세계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북한문예는 사회주의 국가 수립을 위한 제반 조치들과 함께 정권수립을 위한 지도체제의 강화를 위해 김일성 수령창조의 문학적 형상화 작업에 매진한다. 정권창출의 기본이 된 토지개혁은 당연히 문학의 주된 소재가 된다. 해방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면서 조소 우호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새시대를 맞이하여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노동을 장려하는 현장참여시도 급격히 부각된다.
      1950년 조국해방 전쟁기에 들어 북한 문학은 급격히 전시문학 체제로 개편된다. 미제국주의와 남한 이승만 정권 타도가 중심을 이룬다. 동시에 승리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주입시키는 혁명적 낙관주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전쟁영웅의 형상화도 주요한 과업이었다.
      전쟁후 북한은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천리마 운동은 복구 건설기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천리마 현장에서 전투적으로 노동에 참여하는 천리마 영웅의 형상화는 이찬 시의 중심을 이룬다.
      이찬은 북한정권의 수립기에서 정착기에 이르기까지 정치현실의 변모에 맞추어 창작해 간 대표적인 정치시인이자 체제시인이라 할 수 있다. 북한정권의 수립을 위해서, 또 그 정권의 강화를 위해서,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체제에 복무한 시인이었다.
      번역하기

      북한 문학예술에서 ‘혁명시인’으로 지칭된 이찬의 시세계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북한문예는 사회주의 국가 수립을 위한 제반 조치들과 함께 정권수립을 위한 지도체제...

      북한 문학예술에서 ‘혁명시인’으로 지칭된 이찬의 시세계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북한문예는 사회주의 국가 수립을 위한 제반 조치들과 함께 정권수립을 위한 지도체제의 강화를 위해 김일성 수령창조의 문학적 형상화 작업에 매진한다. 정권창출의 기본이 된 토지개혁은 당연히 문학의 주된 소재가 된다. 해방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면서 조소 우호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새시대를 맞이하여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노동을 장려하는 현장참여시도 급격히 부각된다.
      1950년 조국해방 전쟁기에 들어 북한 문학은 급격히 전시문학 체제로 개편된다. 미제국주의와 남한 이승만 정권 타도가 중심을 이룬다. 동시에 승리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주입시키는 혁명적 낙관주의 시가 쓰여진다. 또한 전쟁영웅의 형상화도 주요한 과업이었다.
      전쟁후 북한은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천리마 운동은 복구 건설기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천리마 현장에서 전투적으로 노동에 참여하는 천리마 영웅의 형상화는 이찬 시의 중심을 이룬다.
      이찬은 북한정권의 수립기에서 정착기에 이르기까지 정치현실의 변모에 맞추어 창작해 간 대표적인 정치시인이자 체제시인이라 할 수 있다. 북한정권의 수립을 위해서, 또 그 정권의 강화를 위해서,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체제에 복무한 시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of Lee Chan and the changes in his poems, who was called ‘Revolutionary Poet’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Right after Independenc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made great efforts to make ‘Kim Il Sung Suryeong’ an idol in literature to enforce the governing system with the various actions to establish a socialist government. The land reform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works, as it was the base of the new government. The independenc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and poems praising the alliance of two countries were written. Additionally, field participating poems encouraging the labors emerged dramatically with the new era.
      In 1950, North Korean literature was reformed to War-time Literature rapidly with the outbreak of Korean War. It focused on criticism against Imperialism of America and the overthrow of Lee Seung Man’s Government. At the same time many revolution optimistic poems were written to infuse the confidence in and hope for victory. Besides, idolization of war heroes became a major task of the literature.
      After war, North Korea tried to reconstruct the land which became ruins because of war with all its might. Cheollima Movement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in Restoring Construction Period. The idolization of heroes who participate in Cheollima Movement became the central subject of the poems of Lee Chan.
      Lee Chan is a representative political and system advocating poet who has adapted himself to the political reality from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to its stabilization period. He is a poet who serves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enforce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and for the ideology and the governing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of Lee Chan and the changes in his poems, who was called ‘Revolutionary Poet’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Right after Independenc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made gr...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of Lee Chan and the changes in his poems, who was called ‘Revolutionary Poet’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Right after Independenc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made great efforts to make ‘Kim Il Sung Suryeong’ an idol in literature to enforce the governing system with the various actions to establish a socialist government. The land reform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works, as it was the base of the new government. The independenc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and poems praising the alliance of two countries were written. Additionally, field participating poems encouraging the labors emerged dramatically with the new era.
      In 1950, North Korean literature was reformed to War-time Literature rapidly with the outbreak of Korean War. It focused on criticism against Imperialism of America and the overthrow of Lee Seung Man’s Government. At the same time many revolution optimistic poems were written to infuse the confidence in and hope for victory. Besides, idolization of war heroes became a major task of the literature.
      After war, North Korea tried to reconstruct the land which became ruins because of war with all its might. Cheollima Movement became a major subject of the literature in Restoring Construction Period. The idolization of heroes who participate in Cheollima Movement became the central subject of the poems of Lee Chan.
      Lee Chan is a representative political and system advocating poet who has adapted himself to the political reality from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to its stabilization period. He is a poet who serves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enforcement of North Korean Government, and for the ideology and the governing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주의 문학예술과 이찬 시의 변모양상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주의 문학예술과 이찬 시의 변모양상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옥, "해방 전후 이찬 시의 특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163-193, 2010

      2 송숙이, "해방 이후의 이찬의 시 세계" 우리말글학회 52 : 283-310, 2011

      3 윤여탁, "한국현대 리얼리즘 시인론" 태학사 1990

      4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책세상 2001

      5 김영철, "통일문학 방법론 서설" 우리말글학회 20 : 375-403, 2000

      6 "조선문학통사 (하)" 과학원출판사 1959

      7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사회과학출판사 1994

      8 김응교, "이찬의 일본어 시와 친일시 -이찬 문학 연구 (6)" 한국문학연구학회 (25) : 301-328, 2005

      9 김응교, "이찬시 연구-잃어버린 화원을 찾아서" 한국문학연구학회 3 : 181-207, 1991

      10 이동순, "이찬 시전집" 소명출판 2003

      1 김인옥, "해방 전후 이찬 시의 특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163-193, 2010

      2 송숙이, "해방 이후의 이찬의 시 세계" 우리말글학회 52 : 283-310, 2011

      3 윤여탁, "한국현대 리얼리즘 시인론" 태학사 1990

      4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책세상 2001

      5 김영철, "통일문학 방법론 서설" 우리말글학회 20 : 375-403, 2000

      6 "조선문학통사 (하)" 과학원출판사 1959

      7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사회과학출판사 1994

      8 김응교, "이찬의 일본어 시와 친일시 -이찬 문학 연구 (6)" 한국문학연구학회 (25) : 301-328, 2005

      9 김응교, "이찬시 연구-잃어버린 화원을 찾아서" 한국문학연구학회 3 : 181-207, 1991

      10 이동순, "이찬 시전집" 소명출판 2003

      11 유성호, "이찬 시의 낭만성과 비극성" 비교문화연구소 19 : 127-148, 2010

      12 조두섭, "이병철 북한 체제 선전시의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 한국시학회 (29) : 327-357, 2010

      13 류성민, "분단 반세기 북한 연구사" 한울 1999

      14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창작과 비평사 1991

      15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북한의 문예이론" 인동 1989

      16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2002

      17 이승윤,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0) : 45-84, 2011

      18 신형기,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1

      19 김영철, "북한 현대시의 장르론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35 : 431-459, 2003

      20 최승호, "백석 시의 풍경 연구" 우리말글학회 46 : 267-289, 2009

      21 김응교, "리찬시와 수령형상 문학-이찬시 연구" 현대문학연구학회 17 : 227-257, 2001

      22 박태상, "두 개의 암초에 맞선 실험적 항해"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2) : 7-36, 2010

      23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출판 1995

      24 J.P Hunter, "The Elements of Poetry" 1973

      25 김영철, "1990년대 북한시의 동향 연구" 한국시학회 7 : 3-,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