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50년대 실시된 대표적인 사회교육정책으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이 갖는 사회교육 사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950년대의 시대상황 및 ‘전국문맹퇴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17110
2011
-
378
KCI등재
학술저널
265-291(27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 실시된 대표적인 사회교육정책으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이 갖는 사회교육 사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950년대의 시대상황 및 ‘전국문맹퇴치...
본 연구는 1950년대 실시된 대표적인 사회교육정책으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이 갖는 사회교육 사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950년대의 시대상황 및 ‘전국문맹퇴치교육’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교육 제도화의 특성 및 사회교육의 일반적 특성으로부터 도출한 준거를 바탕으로 ‘국민기초교육’, ‘민주시민교육’, ‘경제개발 등 국가 재건을 위한 기제’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세 영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민기초교육으로서 1950년대 문해교육은 성인의무교육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수준이 초등학교 2학년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이 교육이 학력 취득과 연계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었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문해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동시에 국가관 정립, 반공정신 확립 등 국가 통합과 통제의 기능도 담당하였다. 셋째 정부가 경제활동인구 및 군인에 대해 우선적인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등 국가 재건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 사업은 국가 재건을 위한 보완적이고 간접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은 당시 시대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회교육정책이기도 하지만, 당대 시대적 모순을 동시에 안고 있는 정책이기도 했다. 이점에서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문해교육 제도화는 문해교육의 현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역사 속에서 사라진 1950년대 문해교육정책의 유산을 복기(復棋)하고 미완의 사명을 완수하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historical meanings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NLC) as a typical policy of social education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Firstly, w...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historical meanings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NLC) as a typical policy of social education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Firstly, we described social context, reviewed historical records about NLC in the 1950s and analyzed three domains of NLC; a national basic education, a civic education and a method for nation- rebuilding on the basis of criteria extracted from the general mechanism of educ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general traits of social education.
As results, firstly, NLC as a national basic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a compulsory education for adults. However this had some limits as a compulsory education because its level was only equal to the secondary grade of elementary schools and people could not receive academic recognition in this education. Secondly, this education as a civic education allowed people to apprehend themselves as citizens who had rights to participate in political events such as popular votes, but this education had functions as a control mechanism under the undemocratic society in Korea as well. Thirdly, the government had intentions for rebuilding Korea through this education, but its efforts were made only at an indirect and complementary way. In this respect, NLC satisfied some social needs for literacy but it was an unfinished project since it could not accomplish completely its mission as a educational policy for the illiterate.
After all, NLC in the 1950s was the social education policy not only embracing actively the government’s and people’s requirements for education, but also contain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1950s. Thus, we should replay this heritage of the 1950s and try to fulfill unfinished mission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adult litera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각, "해방후 사회교육정책의 역사적 평가" 한국교육사학회 교육사연구회 14 : 169-194, 1992
2 김민남, "해방후 문해교육에 대한 비판적 이해" 경북대 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45 : 17-44, 2000
3 이향규, "해방직후 북한의 문해운동" 교육과학사 69-93, 2001
4 박효선, "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23-148, 2007
5 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5
6 해병대사령부, "한글독본" 해병대사령부 1953
7 김광동, "한국현대사의 이해" 경뎍출판사 2007
8 서중석, "한국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5
9 중앙교육연구소, "한국의 사회교육:우리나라 성인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황" 중앙교육연구소 1966
10 천성호, "한국야학운동사" 학이시습 2008
1 이종각, "해방후 사회교육정책의 역사적 평가" 한국교육사학회 교육사연구회 14 : 169-194, 1992
2 김민남, "해방후 문해교육에 대한 비판적 이해" 경북대 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45 : 17-44, 2000
3 이향규, "해방직후 북한의 문해운동" 교육과학사 69-93, 2001
4 박효선, "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23-148, 2007
5 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5
6 해병대사령부, "한글독본" 해병대사령부 1953
7 김광동, "한국현대사의 이해" 경뎍출판사 2007
8 서중석, "한국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5
9 중앙교육연구소, "한국의 사회교육:우리나라 성인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황" 중앙교육연구소 1966
10 천성호, "한국야학운동사" 학이시습 2008
11 김도수, "한국사회교육의 기저" 학이시습 2010
12 이현희, "한국근현대사의 재조명" 삼광출판사 2000
13 박효선, "한국군의 평생교육 변천과정에 관한 평가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14 박효선, "한국군의 문해교육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249-279, 2009
15 손인수, "한국교육운동사 1: 1950년대 교육의 역사 인식" 문음사 1994
16 최창열, "한국 사회교육정책의 변천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7 최운실, "한국 사회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 탐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18 윤복남,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1990
19 허준, "학습자 수준에서의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의 성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5-46, 2011
20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21 오혁진,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저술)" 집문당 2006
22 오유석, "전후 1950년대 한국 민주주의 출발의 조건과 제약" 한국사회과 학연구소 (49) : 182-199, 2001
23 재건국민운동본부, "재건생활:농촌판" 재건국민운동본부 (10) : 1961
24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해방에서 4월 혁명 까지" 역사비평사 2007
25 백현기, "의료협회 및 문맹퇴치를 위한 방안" 대한민국국회 103-106, 1966
26 한숭희, "성인교육의 비판적 담론과 한국사회교육연구" 4 (4): 23-50, 1998
27 정홍섭, "성인교육문제" 대한민국국회 213-219, 1957
28 오혁진, "사회교육의 일반적 발달단계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사 시대구분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81-105, 2010
29 이지혜, "문해교육에서 ‘문해됨’의 의미 -문해학습자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24, 2011
30 윤재학, "문맹자 교육의 목표와 방안" 재건국민운동본부 (10) : 6-8, 1961
31 문교부, "문교행정통계일람" 문교부 1956
32 문교부, "문교행정업적" 문교부 1958
33 문교부, "문교행정시정업적" 문교부 1957
34 문교부, "문교통계연보" 문교부 1969
35 문교부, "문교월보" 문교부 (56) : 1960
36 문교부, "문교월보" 문교부 (56) : 1960
37 문교부, "문교월보" 문교부 (49) : 1960
38 문교부, "문교공보" 문교부 (58) : 1960
39 문교부, "문교공보" 문교부 (57) : 1960
40 문교부, "문교개관" 문교부 1958
41 문교부, "문교 40년사" 문교부 1988
42 김승한, "망각상태에 빠진 문맹교육" 23-26, 1970
43 임형태, "대한민국사" 들녘 2008
44 이오갑, "남북한 지역 주민의 정치사회화과정에 관한 연구: 1945~ 48년 문맹퇴치운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45 허재영, "근대계몽기 이후 문맹퇴치 및 계몽 운동의 흐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 : 577-605, 2004
46 문교부, "군입대예정 문맹장병에 대한 국문교육 실시 요강"
47 강원도교육청, "군입대예정 문맹장병에 대한 국문교육 실시 요강"
48 송택구, "국민의 문맹퇴치 운동과 국군" 149-161, 1998
49 문교부, "국문독본" 문교부 1956
50 대한민국정부, "국무회의 속기록"
51 문교부, "국무회의 부의 사항: 제2차 전국문맹퇴치교육 실시 계획안"
52 문교부, "국무회의 부의 사항: 문맹국민완전퇴치계획"
53 허만길, "광복 후의 문맹퇴치 정책 연구" 한글학회 (7) : 176-197, 1994
54 허 은, "5.16군정기 재건국민운동성격: ‘분단국가 국민운동’ 노선의 결합과 분화" 역사문제연구소 (11) : 11-51, 2003
55 이길상, "20세기 한국교육사" 집문당 2007
56 유영익, "1950년대를 보는 하나의 시각" 사회과학원 (4) : 11-52, 1990
57 이유리, "1950년대 ‘道義敎育’의 형성과정과 성격" 한국사연구회 (144) : 239-283, 2009
방송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계속학습 활동에 나타난 학습지속 요인
호주 정착 국제난민의 학습활동 및 다문화 평생교육에의 함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8-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59 | 1.89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