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보장체계에서 커뮤니티 케어와 사회적 돌봄의 요건이 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확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보장체계에서 커뮤니티 케어와 사회적 돌봄의 요건이 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확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보장체계에서 커뮤니티 케어와 사회적 돌봄의 요건이 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확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주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복지개별 법률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은 신뢰 ․ 연계 ․ 참여 ․ 협력 ․ 호혜적 활동에 의한 사회통합의 노력을 촉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사회복지법제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의 주요 요소들은 무형의 자본인 사회적 자본의 실현 방안을 촉구하고 있어 기존의 이론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는 지역사회보장체계 구축의 구도는 사회적 돌봄의 전제가 되는 전문직 간 협력 구도와 주민 참여, 민관협력 등 복지거버넌스의 책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사회적 자본 구축에 의한 지역사회통합돌봄과 평생사회안전망을 보장하기 위한 광역 연계와 네트워크 등 지역사회보장체계인 지역 복지거버넌스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확충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공동체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사회보장기능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역공동체성은 신뢰, 참여, 연계와 네트워크, 협력과 호혜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확충할 수도 있으므로 종전의 지역사회복지 및 지역사회보호체계에서 지역사회보장체계로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서비스 수요자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복지멤버십’ 추진으로 사회보장정보원을 통한 기초자치단체 간 사회보장정보전달체계의 네트워크 연계와 통합이 필요하다. 서비스 수요자의 수급자격 조사의 자동화와 지자체간 정보공유 절차를 생략하는 전자정부 기능으로 서비스의 분절화를 예방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간 광역 연계와 네트워크 형성에 의한 사회서비스 통합 전달체계 구축으로 복지 자원 네트워크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의 간극을 해소하는 사회서비스의 보편화를 촉진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s for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at is a requirement of social care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s in Korea. For this, it analyzed concepts and major elements of socia...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s for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at is a requirement of social care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s in Korea.
For this, it analyzed concepts and major elements of social capital that appear in social welfare law.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that are stipulated by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nd individual social welfare laws demand efforts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trust, linkage,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reciprocal activities. Eventually, the major elements of social capital that appear in social welfare law demand realization plans for social capital, which is intangible capital, providing practical grounds on which existing theories can be realized.
Also, establishment structures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s that control nations and local governments can be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of welfare governances such as cooperative structures among specialized jobs, resident participation,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which are prerequisites of community care. At this, proposals were made of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plans in local welfare governances such as metropolitan linkages and networks for the securement of lifelong social safety nets and social care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First, the social security functions of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s must be enlarged for social capital expansion that can reinforce local community spirit. Local community spirit can expand new social capital based on trust, participation, connections, networks, cooperation, and reciprocity so local social security systems must be established from existing local social welfare and local social protection systems.
Second, network connections and integration are needed in social security information delivery systems among primary local authorities through social security sources with promotions made by 'welfare memberships' that construct networks for social service users. The segmentation of services is prevented with electronic government functions that omit information sharing procedure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automation of supply and demand qualification surveys of service users.
Third, broad connections and networks must be formed among local governments. With welfare support network connection reinforcements among local governments, proposals can be made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integration delivery systems that promote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servic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류석춘, "한국의 사회자본 : 역사와 현실" 백산 2008
3 프랜시스 후쿠야마, "트러스트" 1996
4 황미경,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방안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0) : 161-184, 2019
5 이규식, "커뮤니티 케어-이론과 정책" 건강복지정책연구원 2019
6 보건복지부, "커뮤니티 케어 추진단 보도자료"
7 이소영, "커뮤니티 워크와 사회적 자본의 순환관계 : 서울시 삼덕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 2017
8 박종화,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대영문화사 2018
9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19-144, 2004
10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안)" 2018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류석춘, "한국의 사회자본 : 역사와 현실" 백산 2008
3 프랜시스 후쿠야마, "트러스트" 1996
4 황미경,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방안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0) : 161-184, 2019
5 이규식, "커뮤니티 케어-이론과 정책" 건강복지정책연구원 2019
6 보건복지부, "커뮤니티 케어 추진단 보도자료"
7 이소영, "커뮤니티 워크와 사회적 자본의 순환관계 : 서울시 삼덕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 2017
8 박종화,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대영문화사 2018
9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19-144, 2004
10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안)" 2018
1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 추진방향" 2018
12 정윤식,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3 박희봉,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34 (34): 175-196, 2000
14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15 이동원, "제3의 자본 :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증진되는가?" 삼성경제연구소 2010
16 보건복지부, "제2차 사회보장 기본계획(2019-2023)" 보건복지부 2019
17 정연택, "사회정책 연구의 분석틀로서 사회적 자본" 14 : 299-322, 2003
18 박혜영, "사회적자본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역축제 참여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9 (19): 47-66, 2012
19 김혜연,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3 (13): 1-30, 2011
20 진관훈,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205-230, 2012
21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6 (16): 89-118, 2004
22 박태정,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자활사업의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3 구혜정,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대안적 평생교육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24 이영현,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5 나영선,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6 박아연,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의 상호작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7 이영찬, "사회적 자본, 지식경영,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계"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6 (16): 223-241, 2007
28 김태준,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및 체계적 지원방안 :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9 홍영란, "사회적 자본 지표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30 장민선, "사회적 돌봄서비스 강화를 위한 법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7
31 유석춘, "사회자본과 한국사회" 8 : 87-12, 2002
32 방성아, "사회자본과 사회복지지출이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33 난 린, "사회자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4 노기성, "사회서비스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KDI 2012
35 이선우, "사회서비스 분야의 정책 과제와 추진 전략" 59-72, 2019
36 김 훈,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법사회적 통합모델을 위한 탐색적 연구" 2004
37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38 (38): 63-95, 2004
38 차성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67-83, 2012
39 전재경, "법과 사회적 자본" 한국법제연구원 2012
40 황미경,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돌봄경험, 가족기능,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6 (6): 83-113, 2015
41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61-289, 2011
42 박선희, "근린지역 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85-123, 2012
43 홍영란,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44 배병룡,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서울행정학회 15 (15): 2005
45 강혜규, "공공서비스 이용의 최적화를 위한 복지전달체계 연구 -지역 기반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46 정현민, "고령층의 정보화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47 Fukuyama, Francis, "Trust : Human Nature and the Reconstitution of Social Order" Free Press 1996
48 Martin Bulmer, "The Social Basis of Community Care" Allen & Unwin Ltd. 1987
49 Brian Munday, "Social care in Europe"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1996
50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0 : 1988
51 Putnam, Robert D., "Making Democracy Work :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52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Education, 9" Greenwood Press 241-258, 1985
53 Coleman, J. S., "Foundation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54 White, V., "Developing Good Practice in Community care" Jessica Kingsly Publishers, Ltd. 2001
55 Welshman, John, "Community Care in Perspective, Care, Control And Citizenship" PALGRAVE MACMILLAN 2007
56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 분석-서울특별시 본청 및 25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노인학대 관련 제재조치 개선방안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적용 시설 및 관련 종사자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
다문화주의 관점의 한국 사회통합정책의 발달과정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5-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 사회복지법제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21 |
케어매니지먼트
숭실사이버대학교 김정은글로벌 인재포럼 2006: 마리엄아세파 국제교육자협회(NAFSA)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Miriam Assefa(Association of International Educators), Doo-hee Lee(APAIE)글로벌 인재포럼 2006: 존 헤일리 왓슨 와이어트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 John J.Haley(Watson Wyatt), Young-Sul Kwon지역사회간호학I
부산가톨릭대학교 김은하글로벌 인재포럼 2006: 글로벌 인재 풀의 형성 - HE관점
글로벌 인재포럼 Martha C. Piper, YoonDae Euh, Jean-Robert Pi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