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이 보행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연구의 메타분석 = Effect of Exercise Program Applied to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on Gait: Meta-analysis of Domestic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72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환자에게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개별 연구의특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선정기준은 연구대상(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자), 중재방법(운동 프로그램), 비교집단(대조군 있는 연구), 연구 결과(보행), 연구설계 (무작위 배정 임상 실험)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발행된 국내 연구 13편을 가지고 랜덤효과모형을 가지고 개별 연구의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행에 대한 변수로 일어나 걷기 검사와 10 미터 보행 검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 g=0.58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하위 변수인 보행에 관한 효과크기는 일어나걷기 검사는 Hedges’ g=0.45, 10 미터 걷기 검사는 Hedges’ g=0.68로 나타났다. 이는 Cohen이 제시한 기준에 의하면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보행 능력이 향상되어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향후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향상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환자에게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개별 연구의특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선정기준은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환자에게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개별 연구의특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선정기준은 연구대상(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자), 중재방법(운동 프로그램), 비교집단(대조군 있는 연구), 연구 결과(보행), 연구설계 (무작위 배정 임상 실험)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발행된 국내 연구 13편을 가지고 랜덤효과모형을 가지고 개별 연구의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행에 대한 변수로 일어나 걷기 검사와 10 미터 보행 검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 g=0.58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하위 변수인 보행에 관한 효과크기는 일어나걷기 검사는 Hedges’ g=0.45, 10 미터 걷기 검사는 Hedges’ g=0.68로 나타났다. 이는 Cohen이 제시한 기준에 의하면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보행 능력이 향상되어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향후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향상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exrecise programs implemented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programs. The study selection criteria were participants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intervention (exercise program), comparision group (study with control group), study outcomes (gait), and studu design (randomly assigned clinical trial).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s of individual studies using 13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23. In addition, the effect sizes the timed up go test and 10 meter walking test were calculated as variables for walking. The overall effect size was Hedges’ g=0.58, which was a medium effect size. The effect size for walking was Hedges’ g=0.45 for the timed up and go test(TUG), Hedges’ g=0.68 for the 10 meter walking test(10MWT). Therefore, the exercise program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Future studies are needed on exercise programs to improve various functions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exrecise programs implemented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programs. The study se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exrecise programs implemented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programs. The study selection criteria were participants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intervention (exercise program), comparision group (study with control group), study outcomes (gait), and studu design (randomly assigned clinical trial).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s of individual studies using 13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23. In addition, the effect sizes the timed up go test and 10 meter walking test were calculated as variables for walking. The overall effect size was Hedges’ g=0.58, which was a medium effect size. The effect size for walking was Hedges’ g=0.45 for the timed up and go test(TUG), Hedges’ g=0.68 for the 10 meter walking test(10MWT). Therefore, the exercise program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Future studies are needed on exercise programs to improve various functions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