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다문화경험에 따른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태도와의 관계 = The Relation of between Multicultural-awareness and Multicultural-attitude for Multicultural According to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9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socie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by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their awareness on their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College of Education or general university in Kangwondo at 2013, and 253 questionnaires filter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re used in the final study. The survey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hoc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the .05 significance level, with the program SPSS Win. ver. 18.0.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s considerably important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will lead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to form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Thus it is appositely required to have them experienced and educated. Therefore, in the era of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transition to the liberal views on multiculturalism is needed, and specific action pla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uld be set.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socie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by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their awareness on their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a surv...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socie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by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their awareness on their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College of Education or general university in Kangwondo at 2013, and 253 questionnaires filter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re used in the final study. The survey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hoc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the .05 significance level, with the program SPSS Win. ver. 18.0.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s considerably important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will lead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to form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Thus it is appositely required to have them experienced and educated. Therefore, in the era of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transition to the liberal views on multiculturalism is needed, and specific action pla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uld be s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4, 2012

      2 서현아,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69-94, 2011

      3 선곡유화,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173-203, 2013

      4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5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6 박윤경, "초ㆍ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28, 2008

      7 최수진,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2

      8 천지영,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3

      9 권미은,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1 (11): 5-25, 2012

      10 배성아,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61-181, 2012

      1 김희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4, 2012

      2 서현아,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69-94, 2011

      3 선곡유화,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173-203, 2013

      4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5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6 박윤경, "초ㆍ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28, 2008

      7 최수진,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2

      8 천지영,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3

      9 권미은,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1 (11): 5-25, 2012

      10 배성아,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61-181, 2012

      11 모경환, "사회과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의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99-219, 2007

      12 남경희, "보육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12

      13 윤태영, "대학생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원광대학교 2011

      14 강혜정,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전북대학교 2012

      15 교육부, "다문화학생 교육지원 강화"

      16 임성엽, "다문화라는 이름의 정책, 국가정책 시혜 대상 취급,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17 설규주, "다문화교육의 이해" 동문사 2009

      18 이상균,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014

      19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20 강현숙, "다문화가정 학생 32.9% 집중, 공립 다문화대안학교 설립해야"

      21 김혜영, "다문화 한국에 다문화 교사가 없다"

      22 모경환, "다문화 교사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1 (1): 21-35, 2010

      23 이세나,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95-124, 2013

      24 한명희,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5

      25 김현숙,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한·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141-168, 2011

      26 Susan C, Brown, "Applying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Allyn and Bacon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5 1.15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