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연 제목의 기능과 유형에 관한 연구 - 강연 프로그램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을 중심으로 - = A Research for the Functions and the Types of speech titl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clarifying the functions and types of speech titles. In this study, the speech title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speech discourse, and the functions and the types of speech titles have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peech discours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main function of speech titles is to show the topic and the theme of the speeches. In addi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speech discourses directly accept the titles as the topic or the them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ech titles should be written in a direction that directly indicates the topic or the theme of the speeche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clarifying the functions and types of speech titles. In this study, the speech title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speech discourse, and the functions and the types of speech titles have been analyzed in relation...

      This study focused on clarifying the functions and types of speech titles. In this study, the speech title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speech discourse, and the functions and the types of speech titles have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peech discours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main function of speech titles is to show the topic and the theme of the speeches. In addi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speech discourses directly accept the titles as the topic or the them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ech titles should be written in a direction that directly indicates the topic or the theme of the speec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연, "李商隱 詩 제목의 심미적 특징 연구" 중국학연구소 (43) : 93-120, 2014

      2 오미형, "한국영화제목의 효과적 의사소통"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87-110, 2011

      3 박은하, "한국 영화 제목의 외래어 사용 실태 -2000년 이후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35-157, 2009

      4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와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0 : 1-30, 2009

      5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론 - 특히 외래어 사용의 변천과 관련하여 -" 한국어학회 42 : 27-73, 2009

      6 황종인, "한국 신문 기사의 제목" 5 (5): 3-24, 1995

      7 김선진, "포털 뉴스의 제목 편집 경향 연구 - 네이버와 미국 야후닷컴 뉴스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93-102, 2012

      8 이주행,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제목에 관한 연구" 103 : 187-207, 2000

      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4

      10 Klaus Brinker,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4

      1 김준연, "李商隱 詩 제목의 심미적 특징 연구" 중국학연구소 (43) : 93-120, 2014

      2 오미형, "한국영화제목의 효과적 의사소통"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87-110, 2011

      3 박은하, "한국 영화 제목의 외래어 사용 실태 -2000년 이후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35-157, 2009

      4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와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0 : 1-30, 2009

      5 강범모,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론 - 특히 외래어 사용의 변천과 관련하여 -" 한국어학회 42 : 27-73, 2009

      6 황종인, "한국 신문 기사의 제목" 5 (5): 3-24, 1995

      7 김선진, "포털 뉴스의 제목 편집 경향 연구 - 네이버와 미국 야후닷컴 뉴스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93-102, 2012

      8 이주행,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제목에 관한 연구" 103 : 187-207, 2000

      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4

      10 Klaus Brinker,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4

      11 "테드(TED) 유튜브 채널"

      12 임연아, "초등학생의 글 제목 붙이기 양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안정아, "초등학생 일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제목의 특성" 민족어문학회 (75) : 79-108, 2015

      14 김청연, "책 제목, ‘산고’ 겪는 또 하나의 창작" 출판저널 68-71, 2006

      15 정위수, "줄글짓기 지도연구 : 제목세우기를 중심으로" 11 (11): 95-98, 1993

      16 나은진, "제목의 힘-문학과 영화의 수사학적 상상력과 상호텍스트성" 25 : 159-180, 2007

      17 이정미, "제목의 패턴이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2 (32): 179-186, 2014

      18 강현국, "제목의 제 몫에 대하여" 17 (17): 29-40, 2001

      19 박천홍, "제목을 읽으면 책의 운명이 보인다?" 출판저널 25-, 1999

      20 정태철, "제목소비자의 증가와 신문제목의 이해도" 33 : 203-228, 1995

      21 김문식, "제목(Title)이 이미지(Image)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5

      22 박금자, "일간신문 제목에 나타나는 응집성, 패러디, 생략 현상" 7 : 29-56, 1999

      23 이혜인, "인터넷게시판 글 제목의 특성과 유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6

      24 방영덕, "인터넷 뉴스의 기사선택과 제목편집 : 미디어다음과 조선닷컴의 경우" 한국방송학회 23 (23): 86-124, 2009

      25 손세모돌, "인터넷 게시판 글 제목의 욕설/비속어 사용과 익명성의 관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5 : 169-198, 2003

      26 손세모돌, "인터넷 게시판 글 제목 분석"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117-150, 2002

      27 조은희, "이메일 제목에 나타난 언어 양상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8 "우리말샘"

      29 이윤진,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텍스트 제목 작성 양상에 관한 연구" 언어정보연구소 28 : 247-274, 2016

      30 황순희, "온라인신문 기사제목의 구조와 의미 : - 프랑스어와 한국어 제목의 대조 분석"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48) : 95-130, 2015

      31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32 최영, "온라인 뉴스의 제목달기 분석 :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헤드라인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15-140, 2010

      33 노시훈, "앙드레 브르통 작품의 제목 연구" 30 (30): 61-77, 1995

      34 신선경, "실용문의 제목 달기" 17 : 13-15, 2010

      35 김병홍, "신문의 언어문화에 대하여 - 머리기사 제목을 중심으로 -" 동남어문학회 1 (1): 5-30, 2011

      36 최영주, "신문기사 제목에 나타난 은유와 프레임 전쟁: 삼성 이재용 부회장 구속영장청구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소 (80) : 147-166, 2018

      37 이재원, "신문기사 제목과 본문사이의 텍스트언어학적 전략들" 언어연구소 (41) : 185-204, 2008

      38 김병홍, "신문 칼럼 제목의 언어 형태 분석" 동남어문학회 1 (1): 25-46, 2010

      39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4 (14): 85-114, 2006

      40 장인봉, "신문 사설 제목의 대화주의적 분석" 한국수사학회 (25) : 105-129, 2016

      41 김병홍, "신문 머리기사 제목의 설득 전략 분석" 언어연구소 (39) : 37-55, 2007

      42 장인봉, "신문 기사제목에 나타난 생략의 연구 - 줄임표를 중심으로 -" 한국수사학회 (19) : 209-241, 2013

      43 조원형, "신문 기사 중간제목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연구-<한겨레> 2006년 2월 치 기사를 대상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 : 457-490, 2006

      44 김홍범, "신문 기사 제목에 쓰인 상징어의 분석" 29 : 53-70, 2001

      45 장경현, "소설 장 제목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 : 195-218, 2015

      46 "세바시 강연 유튜브 채널"

      47 조혜민, "상징어의 사용과 의미: 신문 기사 제목 코퍼스에 기초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0 : 191-218, 2013

      48 국립국어원, "문장 부호 해설"

      49 윤재학, "따옴표 기사제목과 인용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문화연구소 22 : 377-401, 2011

      50 허상희, "대학생들의 전자편지 제목 분석 -교수와 학생 간의 전자편지를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30) : 241-268, 2012

      51 양현진, "대학생 작문에서 바람직한 제목 쓰기에 대한 제언 -문화비평문 제목 쓰기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3 : 53-79, 2012

      52 박보현, "대중가요 제목에 나타난 언어 사용 실태 연구" 85-96, 2011

      53 김경희, "뉴스통신사 웹 사이트의 뉴스구성방식과 기사제목 편집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77-115, 2011

      54 유홍식, "기사제목과 예시가 수용자의 뉴스가치 평가와이슈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3 (53): 176-198, 2009

      55 이재원, "기사제목과 본문 사이의 상호텍스트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 : 55-78, 2009

      56 권미영, "강연 제목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연구 - 강연 프로그램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53) : 137-163,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extlinguist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8 1.19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