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연구 -주제, 분야, 하위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ing Tex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Focus on topics, fields, and subfie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0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reviewed texts of reading textbook for undergraduates. These texts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texts that can be used when students encounter similar texts in college study. M. Met and Stoller & Grabe said that “topic-based teach...

      In this article, I reviewed texts of reading textbook for undergraduates. These texts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texts that can be used when students encounter similar texts in college study. M. Met and Stoller & Grabe said that “topic-based teaching model” is a teaching model that teaches subjects based on themes but also considers language learning. And said the topic revealed that the remaining five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 assignment, and implementation. In the texts, the topic of each unit cover a variety of topics and avoid repeating the topics in the unit. However, it was hard to see that the text was in balance with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problem of balance in the field is more prominent when we recall that the theme is composed of a “topic-based teaching model” that determines not only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lesson but also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s, tasks, and implementation. Along with the lack of balance in the field of text placement, the problem that may be raised is with the subfields. The “topic-based teaching model” model is a way of dealing with the contents and the language items that make up the contents. The lack of balance in the subfields means not only the lack of access to the subject of the missing field, but also the lack of language teaching on the sub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4종 6권의 읽기 교재 텍스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의미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들 교재는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4종 6권의 읽기 교재 텍스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의미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들 교재는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수학 과정에서 그와 유사한 텍스트를 접했을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M. Met와 Stoller & Grabe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에 대해, 주제를 준거로 교과 내용을 가르치지만 언어 학습 역시 고려하는 교수모형이라는 점, ‘주제’에 의해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 나머지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교재들에서 각 단원의 텍스트가 다루고 있는 주제는 다양하며 단원에서 주제가 중복되는 경우도 피하고 있다. 그런데 주제가 속한 분야를 파악해 보면 텍스트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교재에서 주제가, 수업의 목표와 내용을 좌우할 뿐 아니라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을 결정하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을 통해 구성되었음을 환기하면, 분야의 균형이 지니는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텍스트 배치에서 분야의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제기될 수 있는 문제는 하위 분야에 관한 것이다. ‘주제 중심 교수모형’은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과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 항목을 동시에 다루는 방식이기도 하다. 하위 분야가 균형을 이루지 못 했다는 것은 빠진 분야의 주제에 대해 접근하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주제와 관련된 언어 교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25-368, 2016

      2 이준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349-370, 2007

      3 권혜경, "한국어 읽기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2010

      4 이승연,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장르정보 구축 및 활용 연구" 언어정보연구소 (23) : 55-76, 2016

      5 윤정아,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37-564, 2012

      6 황인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3 : 315-345, 2015

      7 박효훈,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171-192, 2011

      8 박현진,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에서의 읽기 전 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6 : 101-129, 2017

      9 곽지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10 이상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연구" 한국말글학회 27 : 2010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25-368, 2016

      2 이준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349-370, 2007

      3 권혜경, "한국어 읽기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2010

      4 이승연,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장르정보 구축 및 활용 연구" 언어정보연구소 (23) : 55-76, 2016

      5 윤정아,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37-564, 2012

      6 황인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3 : 315-345, 2015

      7 박효훈,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171-192, 2011

      8 박현진,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에서의 읽기 전 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6 : 101-129, 2017

      9 곽지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10 이상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연구" 한국말글학회 27 : 2010

      11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7-164, 2004

      12 이정희,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01-222, 2003

      13 박혜경, "주제 중심 접근법 기반의 재외동포 아동용 한국어 교재 개작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55) : 111-131, 2014

      14 구민지,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학문목적 한국어 고급 읽기 교재 수록 텍스트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7-48, 2011

      15 김현진, "유학생을 위한 대학한국어2 읽기․쓰기" E Press 2008

      16 이미혜, "유학생을 위한 대학한국어1 읽기․쓰기" E Press 2008

      17 고려대학교 사고와표현 교재편찬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2-비판적 읽기와 학문적 쓰기"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18 고려대학교 사고와표현 교재편찬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1-비판적 읽기와 학문적 쓰기"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19 홍은실,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에 나타난 초인지 전략과 보조 전략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337-363, 2015

      20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민족어문학회 (78) : 391-422, 2016

      21 유해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73-106, 2015

      22 최정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연구학회 74 : 131-156, 2012

      2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plus 학문 목적 읽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2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한국어 읽기 고급"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5 김경훤, "글쓰기의 절차와 과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26 최은규, "國內 學問 目的 韓國語 敎育의 現況과 課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333-358, 2009

      27 이유경,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1, 2』 교재 개발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28 Stoller, F. L., "The content-based classroom: Perspectives on integrating language and content" Longman 1997

      29 Marianne Celce-Murcia,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 HEINLE. THOMSON LEARNING 2001

      30 Brinton, D. M., "Content-based secondlanguage instuction" Heinle & Heinl 1989

      31 Met, M., "Content-based instruction: Defining terms, making decisions" National Foreign Language Center 1999

      32 Met, M., "Beyond bilingualism: Multilingualism and multilingual education" Multilingual Matter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