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 (A)Research about the Concepts of Media Literacy and the Needs for it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4928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6.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 108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노명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95-98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Research about the Concepts of Media Literacy and the Needs for its Education by Imsoon Le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Advisory Professor: Prof. Myung-Wan No In this modern society,...

      ABSTRACT


      A Research about
      the Concepts of Media Literacy and
      the Needs for its Education


      by Imsoon Le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Advisory Professor: Prof. Myung-Wan No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experience various kinds of media due to the advance in science and also development i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evolution of various kinds of media had the number of data and information over-flown rapidly, and, therefore, they have become more individualized and personalized, especially with Post-Modernism influence. As a result, human life has been improved with conveniences and expedited in great deal.
      Consequently, human beings living in this modern society now require the abilities to communicate through a variety of mess media, which hadn't been demanded in the past. In collusion with this demand, schools need to educate students about Media Literacy, so that they can deal with this modern society in leadership and have an active life.
      This research is an endeavored effort to answer the question, How can this demand of our modern age can be attain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the purpo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foster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rough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perfectly makes sens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o deal with the Media Education because this subject is also about making use of media in order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and to enhanc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ess media.
      The interests in Media Literacy have been revolved since early 1980s, and the movement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to be involved in this media education have been initiated in theoretical inquiries by research organiz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rganization. In the 2000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stablish concrete education curriculums in order to carry out the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ose efforts, there haven't been any researches that concretely looked into the measure of application in the Media Education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the rationale of needs for the Media Literacy, and the intensive measurement of its education taken pla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that can expedite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eriorly and effectively. For the efficient presentation, this research will learn from the examples of other countries which has been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Media Education in schools, then analyze our current curriculum on Media Education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Media Literacy in our education realities, and finally will research and evaluate the demands and views of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on Media Education.

      First of all, Chapter II will show that, as science and information develop, our society and also media literac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become personalized and also diversified, which lead to more humanized society. This chapter also reviews that the advent of 21st century's digitalized multi media age is also in collusion with this trend.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o prepare young people for living and learning in a global culture that is connected through multi-media, media literacy education is essential in our education reality.
      In Chapter III,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t reviews the stereotyp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bserved in our education fields, and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our education materials, mainly focused 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o teach Media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suggests that for effective teaching of Media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ur existing teaching materials have to be changed for the better. In addition, the Chapter 3 discusses the need of intellectual powers educated though this new form of Media Literacy for young people who live in this multi media age. and 'the Realities of Media Literacy', first observes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in Media Literacy, and analyzes about our existing curriculum related to Media Literacy. Furthermore, Chapter Ⅳ shows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about the demand about Media Literacy Education, given to 37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its suburbs, and consequently it also evaluates and summarizes the results.
      Combin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examples of other foreign countries' Media education and our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questionnaire results about Media use state and its demand, the Chapter Ⅴ suggests the effective plans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carry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It has been said that the 21st century is defined as 'Multi-media age', which enabled our humans' linguistic function to advance from limitation in medium though the development in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herefore, our education has a mission to nurture our generation to be adapted to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I humbly hope that this prudently prepared research gives a foundation to start a meaningful attempt in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이 임 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 노 명 완) 현대 사회의 과학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이 임 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 노 명 완)


      현대 사회의 과학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매체를 경험하면서 산다. 이러한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그로 말미암아 폭발적으로 증가한 지식․정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더욱 개별화 되고 개성화 되었으며 이것은 인간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종전과는 달리 다양한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필요가 생겼다. 그러기에 학교는 현대 사회를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국어과 교육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국어 교육의 목적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고, 이렇게 본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매체를 사용하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매체 문식성 교육은 국어과 교육에서 다루어야할 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초반부터 일어났으며 국어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움직임은 1990년대 후반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등과 같은 연구 단체들의 이론적인 고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는 실질적으로 국어과 교육에서 실시하기 위한 교육과정 내용을 구안해보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현재 초,중,고 학생들의 매체 활용 상태와 어떠한 이유로 그러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국어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한다면 어떤 정도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여다 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오래전부터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한 외국의 경우를 살펴서 시사점을 얻고 우리의 현행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해서 현재 국어과에서 담고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한 후 초,중,고 학생들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의 수월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먼저 Ⅱ장 현대 사회와 매체 문식성에서는 현대의 과학 발달과 지식․정보 중심의 사회 흐름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개별화, 다양화 되면서 인간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행 되고 있다는 것과 21C 디지털․다매체 시대의 도래도 이와 같은 맥락 속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Ⅲ장 국어 교육과 매체 문식성 교육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식성 교육에 대한 편견과 ‘듣기’, ‘말하기’,󰡐읽기’, ‘쓰기’의 교육 자료가 전통적인 인쇄 매체 위주로 되어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기존의 수업 자료가 매체 문식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21C라는 다매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는 새로이 매체 문식성을 통한 지력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를 살피는 장에서는 먼저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고 매체 문식성과 관련한 현행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요구를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있는 초,중,고 학생 37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요구 상태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외국의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내용을 참고하고 초,중,고 학생들의 매체 활용 상황 및 매체 문식성 교육의 요구를 조사한 설문 분석을 통해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교육과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흔히들 21C는 과학기술 발달과 정보와 통신이 융합된 매체들의 발달로 인간의 언어활동을 매체적 한계에서 현격하게 벗어날 수 있게 만든 󰡐다매체 시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도 빠르게 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적응할 수 있는 격조 높은 능력을 갖춘 세대를 양성해야 할 사명이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조심스럽게 제안한 이 결과가 국어과에서 효과적인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하는데 의미 있는 시도가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3. 선행연구 검토
      • 차 례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3. 선행연구 검토
      • Ⅱ. 현대 사회와 매체 문식성
      • 1. 현대 사회의 특성
      • 2.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 3. 문식성과 매체 문식성
      • Ⅲ. 국어 교육과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
      • 1. 전통적 국어 교육의 한계
      • 2. 매체 문식성 교육의 요구와 국어 교육
      • 3. 외국에서의 매체 문식성 교육 실태
      • 4. 우리나라에서의 매체 문식성 교육 실태
      • Ⅳ.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1. 연구 방법
      • 2. 연구 결과 및 분석
      • Ⅴ. 매체 문식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 1. 매체 영역의 국어과 교육 과정의 수용 방안
      • 2.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 3. 교수 학습 자료
      • 4.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