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본 마을공동체 학습 특성에 관한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earning Through View in Communicative Ac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49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은 학습을 유발하는 주된 기제이지만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학습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그 동안 미흡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마을공동체 ...

      본 연구는 의사소통은 학습을 유발하는 주된 기제이지만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학습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그 동안 미흡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마을공동체 주민들의 학습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중랑구 신내동에 위치한 D아파트에서 마을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공동체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동체학습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그물망 학습 특성을 보이고 있다. 마을구성원 사이에는 다채롭고 열린 의사소통 채널이 생겨나고 지속적으로 난상토론을 경험하며,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관계망을 확장하는 학습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의사소통을 통한 공동체 학습력의 신장이다. 의사소통을 통해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공동체의 응집력이 향상되었으며, 반성과 성찰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심의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공동체의 지속과 참여촉진을 위해 의사소통에 기반한 공동체학습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장치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learning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ve action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Chaekulteo community of D Apartment located Seoul Jungrang-gu was selec...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learning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ve action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Chaekulteo community of D Apartment located Seoul Jungrang-gu was selected as the case in this research. And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learning had showed complex features like a net-shaped.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the community members were open. Serious and deep discussions were conducted continuously. And the relation was formed and expanded online. Second, the learning-competence of community had enhanced through more frequent communication. The network in the community was extended, and the cohesion of community was improved. Further, residents had reflected on self-examination and deliberative democracy had arisen. Based on these results, community might as well consider to inter-communication intermediation to improve competence in community learning to sustainabl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및 분석전략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및 분석전략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옥,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95-220, 2015

      2 이병준, "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 Georg Simmel의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상학회 27 (27): 123-137, 2013

      3 김창호, "하버마스의 사상: 주요주제와 쟁점들" 나남출판 177-200, 1996

      4 Young, R. E., "하버마스 비판이론 교육" 교육과학사 2000

      5 송성숙, "평생학습도시 자치공동체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천시 불씨와 심포니사회 학습운동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3-207, 2012

      6 Freire, F., "페다고지 -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 한마당 1995

      7 박상옥, "지역사회와 학습의 관계 탐색 - 지역사회 형성 및 발전과정으로서 학습활동 -"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45-164, 2010

      8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9 송영선, "지역사회 기반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배양 전략 - 실천공동체와 사회적 자본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30, 2012

      10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1 박상옥,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95-220, 2015

      2 이병준, "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 Georg Simmel의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상학회 27 (27): 123-137, 2013

      3 김창호, "하버마스의 사상: 주요주제와 쟁점들" 나남출판 177-200, 1996

      4 Young, R. E., "하버마스 비판이론 교육" 교육과학사 2000

      5 송성숙, "평생학습도시 자치공동체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천시 불씨와 심포니사회 학습운동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3-207, 2012

      6 Freire, F., "페다고지 -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 한마당 1995

      7 박상옥, "지역사회와 학습의 관계 탐색 - 지역사회 형성 및 발전과정으로서 학습활동 -"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45-164, 2010

      8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9 송영선, "지역사회 기반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배양 전략 - 실천공동체와 사회적 자본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30, 2012

      10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11 김영정, "지역거버넌스와 공동체 운동 : 전주시 ‘전통문화중심도시만들기’ 운동의 사례분석" 지역사회학회 9 (9): 5-33, 2008

      12 최승호,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 운동의 발전 방안 모색- 충남 홍성군 홍동 풀무마을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9 (19): 237-268, 2009

      13 박은미, "주민주도형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사례분석" 원격교육연구소 6 (6): 25-46, 2010

      14 노병찬,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참여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자발적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41-259, 2016

      15 김이수, "정보화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설명적 연구 : 전라북도 정보화마을주민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201-227, 2015

      16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 2: 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나남 2006

      17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 1: 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나남 2006

      18 이윤진,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본 마을공동체 공유공간 주민 공동체학습의 특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19 홍남기, "의사소통 합리성 함양과 사회과 교실수업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이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83-204, 2009

      20 김영옥,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 연구: 재능기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3, 2015

      21 김영옥,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315-325, 2014

      22 Brookfield, S. D.,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2009

      23 채영길,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한국언론학회 12 (12): 4-46, 2016

      24 유창복,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한국환경철학회 (15) : 173-226, 2013

      25 이재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09-437, 2014

      26 서울특별시, "서울, 마을을 품다" 서울특별시 2012

      27 하성규,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 농촌 마을 비교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2 (12): 133-153, 2011

      28 박종화, "사적 도시공간의 공적이용에서 사회적 근접성의 영향: ‘대구 담장허물기 사업’과 ‘안산 마을정원 만들기 사업’의 경험"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369-393, 2016

      29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30 허준,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03-223, 2006

      31 이세구, "민주주의 가능 근거로서의 의사소통행위" 13 (13): 191-235, 2006

      32 Vygotsky, L. S.,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비고츠키의 인간 고등심리 과정의 형성과 교육" 학이시습 2009

      33 양병찬,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 가능성 탐색 : 시흥시 ‘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1-23, 2015

      34 송인하,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14 : 33-64, 2010

      35 유민선, "마을공동체 형성․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미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43-173, 2013

      36 장현영, "마을공동체 평생학습센터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전북지역 K 시와 W 군의 행복학습센터사업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2 (12): 79-111, 2016

      37 이소영, "마을 만들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 - 서울시 북촌 지역을 사례로 -" 한국공간환경학회 (25) : 99-130, 2006

      38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39 신명호, "도시 공동체운동의 현황과 전망" 6 : 51-81, 2000

      40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41 이선미, "근대사회이론에서 공동체 의미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사회학회 42 (42): 101-139, 2008

      42 국토연구원,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40] 마을만들기 중간지원 : 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전국적 현황과 전망" 국토연구원 2013

      43 Liu, A. Q., "Soci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improvement activities by elderly residents in small towns and rural communities" 68 (68): 343-, 2003

      44 Merriam, S.,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45 이병준,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의 교육학적 의미 분석 - 학습도시․창조도시․마을만들기 담론에의 함의 -"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91-106, 2012

      46 Cheryl L. Wagner, "Effects of Community-Based Collaborative Group Characteristics on Social Capital" Springer Nature 44 (44): 632-645, 2009

      47 Habermas, J.,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78

      48 Buys, L., "Building community : collaborative individualism and the challenge for building social capital" 13 (13): 287-298, 2007

      49 Jarvis, P., "Adult learning in the social context" Croom Helm 1987

      50 서울특별시, "2013 서울시 마을만들기백서 서울·삶·사람" 서울특별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