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곰소만 어촌의 어로활동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1970년대 이후 어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 An Ethnographic Study on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Since 197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ethnographicall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fishing from local fishermen’s experience. Firstly this paper describes one-year- period fishing activities. Then the changes o...

      This paper examines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ethnographicall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fishing from local fishermen’s experience. Firstly this paper describes one-year- period fishing activities. Then the changes of the fishery and the village from 1970’s to the early 2010’s are discussed in three dimensions of fishing area, fishing equipment and technique, and fishing targets. The fishery of the village in the Bay changed greatly in the mid 1970’s, and the depletion of coast marine resources was getting worse. The significant changes are the motorization of fishing boats, the introduction of nylon fishing nets, the development of new species of fish caught, and the expansion into the open sea. It is remarkable th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ecame functionally the full-time fishing vill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곰소만 연안어촌의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서해 조기잡이가 쇠퇴 하는 1970년대 이후 어업의 주요 변화를 미시적 관점에서 기술 · 분석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민들의 입장에서 중요...

      본고는 곰소만 연안어촌의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서해 조기잡이가 쇠퇴 하는 1970년대 이후 어업의 주요 변화를 미시적 관점에서 기술 · 분석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민들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경험된 어로활동의 변화 가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고자 했다. 먼저 조사지 어촌의 1년 주기 어로활동 을 계절별 · 어장별로 기술함으로써, 현재 어민들이 종사하고 있는 어로활 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어민들이 강조하여 설명하는 어업 변 화를 어로공간, 어구어법, 어로대상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본다. 조 사지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어선의 동력화와 나일론그물이 도입되었고 새로운 어장이 개발되는 등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곰소만과 위도 앞바다에 서 1톤급 풍선을 타고 조기 · 갈치 등을 주낙으로 잡던 어민들은 오늘날 1~2 톤급 선외기 어선과 그물·통발로 꽃게·주꾸미 등을 잡는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1980~90년대에 양식어촌과 관광어촌의 기능을 가졌던 조사 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오히려 어선어업 중심의 순수 어로어촌으로 기능 이 더욱 강화된 양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인자, "황해 및 동중국해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자원의 장기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6 (46): 392-405, 2010

      2 이기욱, "한국의 도서문화 : 서남해 도서를 중심으로" 11 : 375-415, 1993

      3 고철환,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7-85, 2009

      4 장진호,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67-386, 2009

      5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5

      6 김준,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4) : 176-200, 2009

      7 "진서면 운호리 왕포(旺浦)마을"

      8 서종원, "조기잡이 어업기술의 변화양상 고찰 -그물[網] 어업을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34) : 93-127, 2009

      9 조숙정,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239-278, 2012

      10 정명훈, "전라북도 하전마을의 전통 어로지식과 그 변화양상 : 실뱀장어 잡이와 바지락 채취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1 연인자, "황해 및 동중국해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자원의 장기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 46 (46): 392-405, 2010

      2 이기욱, "한국의 도서문화 : 서남해 도서를 중심으로" 11 : 375-415, 1993

      3 고철환,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7-85, 2009

      4 장진호,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67-386, 2009

      5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5

      6 김준,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4) : 176-200, 2009

      7 "진서면 운호리 왕포(旺浦)마을"

      8 서종원, "조기잡이 어업기술의 변화양상 고찰 -그물[網] 어업을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34) : 93-127, 2009

      9 조숙정,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239-278, 2012

      10 정명훈, "전라북도 하전마을의 전통 어로지식과 그 변화양상 : 실뱀장어 잡이와 바지락 채취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11 박광순, "위도의 조기파시에 관한 일고찰" 11 : 9-30, 2000

      12 조경만, "소안도 촌락의 생태, 경제적 적응과 변화 과정 : 진산리 주민들의 생업활동을 대상으로" 11 : 191-212, 1993

      13 나승만,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1-22, 2008

      14 김준,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153-197, 2008

      15 고광민,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91-124, 2008

      16 홍순일,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199-241, 2008

      17 조경만,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23-57, 2008

      18 이경엽,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125-151, 2008

      19 조숙정, "상품화된 젓갈의 명칭과 범주: 곰소 젓갈시장의 사례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3-44, 2010

      20 양만정, "부안의 얼: 지명과 설화" 부안교육청 1985

      21 김세건, "반농반어촌 자원이용방식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완도군 청산도의 사례"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2 조숙정, "바람에 관한 서해 어민의 민속지식" 비교문화연구소 21 (21): 291-328, 2015

      23 조숙정, "바다 생태환경의 민속구분법 : 서해 어민의 문화적 지식에 관한 인지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4 권삼문, "명태와 조기잡이를 통해 본 어업체계의 지역성" 2 : 213-228, 2000

      25 한상복, "농촌과 어촌의 생태적 비교" 8 : 87-90, 1976

      26 南盛文, "굴 養殖業 生産過程과 賃勞動의 特性 : 慶尙南道 統營郡 龍南面 東達里 `오촌'의 事例"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7 유승훈, "곰소만의 젓갈 생산 풍습 : ‘젓독의 이용’을 중심으로" 8 : 279-309, 2001

      28 김요정, "곰소만 일대의 어촌 변화 : 곰소만 북쪽 해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9 金日基, "곰소灣의 漁業과 漁村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30 문상일, "곰소 젓갈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1 具良姬, "作業方式의 變化를 통해 본 놀이 分化樣相에 관한 硏究 : 全羅南道 珍島郡 臨淮面 屈浦里의 事例"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32 Myers, R. A., "Rapid Worldwide Depletion of Predatory Fish Communities" 423 : 280-283, 2003

      33 오창현, "20세기 전반 일본 안강망 기술의 전파와 조선 어민의 수용 과정 -서해 조기 어업의 특징과 안강망 기술의 문화적 변용-" 도서문화연구원 (43) : 65-102, 2014

      34 오창현, "18~19세기 서해의 조기 어업과 어민문화" 서울대학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ross-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비교문화연구 제9집 1호 -> 비교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1.231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