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エコクリティシズムと東アジア文化・文学の自然観 - 日韓比較論とその先を見据えて - = 에코크리티시즘과 동아시아 문화 · 문학의 자연관 - 한일비교론과 그 미래를 주시하며 - Eco-criticism and environmental view from culture and literature of East Asia - Fixing eyes on the near future through Japan and Korea comparis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67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suggests two rough frameworks about eco-criticism, culture and literature; “How can we approach a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cultural and literary sid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the humanities, culture, and literature are also connec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results of researches based on this view are reported nowadays. In this report, I will mention horticulture in Japan and Korea. Then, I will pick up some haiku and sijo( Korean poetic form) representing short poem literatures of both two countries and argue about this theme.
      The other one is “Environmental problem is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problem.” However, theories of culture and literature are still argued nationally. To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cultural and literally side, having an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is essential. In this report, I will think about the meaning of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by widening problems from Japan and Korea to East Asia.
      번역하기

      This report suggests two rough frameworks about eco-criticism, culture and literature; “How can we approach a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cultural and literary sid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the humanities, c...

      This report suggests two rough frameworks about eco-criticism, culture and literature; “How can we approach a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cultural and literary sid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the humanities, culture, and literature are also connec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results of researches based on this view are reported nowadays. In this report, I will mention horticulture in Japan and Korea. Then, I will pick up some haiku and sijo( Korean poetic form) representing short poem literatures of both two countries and argue about this theme.
      The other one is “Environmental problem is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problem.” However, theories of culture and literature are still argued nationally. To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cultural and literally side, having an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is essential. In this report, I will think about the meaning of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by widening problems from Japan and Korea to East 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생태비평(Eco-criticism) 문화‧문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지구의 문제인 환경문제에 대해 문화와 문학의 측면에서 어떤 기여나 접근이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생각할 때 중요한 것은 환경문제가 자연과학‧생명과학의 문제인 동시에 인문과학적인, 문화‧문학적인 문제라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에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보고 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원예문화의 모습을 단초로 하여 한일 단시문학을 대표하는 홋쿠(発句,하이쿠(俳句)) 와 시조를 중심으로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두 번째로는 환경문제가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 한 문제라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 일본에서 국제적이라고 불린 문화론‧문학론은 일본문화‧문학론, 또는 중일‧한일 비교론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국가라는 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문화‧문학을 교차시켜 생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문화‧문학쪽에서도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한 사고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앞서 언급한 한일 비교를 통하여 제시된 문제를, 동아시아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킴으로서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문화‧문학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생태비평(Eco-criticism) 문화‧문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지구의 문제인 환경문제에 대해 문화와 문학의 측면에서 어떤 기여나 접근...

      본고에서는 생태비평(Eco-criticism) 문화‧문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지구의 문제인 환경문제에 대해 문화와 문학의 측면에서 어떤 기여나 접근이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생각할 때 중요한 것은 환경문제가 자연과학‧생명과학의 문제인 동시에 인문과학적인, 문화‧문학적인 문제라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에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보고 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원예문화의 모습을 단초로 하여 한일 단시문학을 대표하는 홋쿠(発句,하이쿠(俳句)) 와 시조를 중심으로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두 번째로는 환경문제가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 한 문제라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 일본에서 국제적이라고 불린 문화론‧문학론은 일본문화‧문학론, 또는 중일‧한일 비교론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국가라는 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문화‧문학을 교차시켜 생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문화‧문학쪽에서도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한 사고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앞서 언급한 한일 비교를 통하여 제시된 문제를, 동아시아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킴으로서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문화‧문학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御寧, "縮み志向の日本人" 学生社 1981

      2 丸島秀夫編, "盆景‐中国盆景の世界1" 農文協 2000

      3 木村和男, "毛皮交易が創る世界―ハドソン湾からユーラシアへ" 岩波書店 2004

      4 佐々木高明, "日本文化の基層をさぐる―ナラ林文化と照葉樹林文化"

      5 鳥越憲三郎, "弥生文化の源流考" 大修館 1998

      6 ハルオ・シラネ, "四季の文化--二次的自然と都市化" (33) : 2010

      7 工藤隆, "中国少数民族歌垣調査全記録1998" 大修館 2000

      8 遠藤耕太郎, "モソ母系社会の歌世界調査記録" 大修館 2003

      1 李御寧, "縮み志向の日本人" 学生社 1981

      2 丸島秀夫編, "盆景‐中国盆景の世界1" 農文協 2000

      3 木村和男, "毛皮交易が創る世界―ハドソン湾からユーラシアへ" 岩波書店 2004

      4 佐々木高明, "日本文化の基層をさぐる―ナラ林文化と照葉樹林文化"

      5 鳥越憲三郎, "弥生文化の源流考" 大修館 1998

      6 ハルオ・シラネ, "四季の文化--二次的自然と都市化" (33) : 2010

      7 工藤隆, "中国少数民族歌垣調査全記録1998" 大修館 2000

      8 遠藤耕太郎, "モソ母系社会の歌世界調査記録" 大修館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8 0.9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