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언(Voice)은 조직관리에서 늘 주목받고 있는 화제이었다. 제언행동은 조직의 발전을 위해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언행동은 조직경영 현황을 변...
제언(Voice)은 조직관리에서 늘 주목받고 있는 화제이었다. 제언행동은 조직의 발전을 위해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언행동은 조직경영 현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도전적 행동이다(Bashshur & Oc, 2015). 구성원들의 제언행동은 조직 운영체계와 업무수행 방식 등을 바꾸는 계기가 되어서 전반적인 성장과 발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의 제언행동을 촉진하는 선행 요소와 상황 조건을 이해하는 것이 조직 관리의 중요한 문제가 된다. 구성원의 제언은 조직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하거나(Ashford & Dutton, 1993) 문제를 적시에 해결하고(Frese and Fay, 2001), 팀 및 조직 학습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Edmond son, 2003), 기업의 유연성, 혁신도 및 적응성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제언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는 여전히 한계를 보인다. 제언행동은 내용과 정의에 따라 다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관련연구는 주로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사회적 교환의 관점에서 제언행동의 발생과정의 유발요인이 많다. 그리고 제언행동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상사 지도력 관련 요인의 역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하다. 제언행동 결과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상사가 제언자의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제언인정이 되는지에 대한 관련 연구는 여전히 발전할 필요가 있다. 제언행동은 업무와 관련된 건설적인 생각, 정보 또는 의견에 대한 구성원의 표현을 말한다. 도전적이고 개선 지향적인 조직 공공 행동으로서 구성원은 조직 개선을 강조하거나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며 일반 조직의 '발언' 행동과 다르다. 구성원은 조직의 주체이고 상사는 구성원의 주요 수용 대상이며 구성원과 상사는 모두 제언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구성원의 제언은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하거나(Ashford & Dutton, 1993) 문제를 적시에 시정하고(Frese and Fay, 2001), 팀 및 조직 학습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Edmondson, 2003) 기업의 유연성, 혁신도 및 적응성에 매우 중요하다. 제언의 이점을 의식하여 조직관리 분야에서는 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인을 탐구하는 연구가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구성원의 인격적 특성(Crant, 2000; LePine & Van Dyne et al., 2001), 근무태도(Chen & Francesco, 2003; Rusbult, Farrell, Rogers & Mainous, 1988), 정서(Kish-Gephart, Detert, Trevino & Edmondson, 2009), 개인 통제감(Tangirala & Ramanujam, 2008), 제언에 대한 신념(Detert & Edmondson, 2011)과 같은 개인적 요소, 상사 스타일(Burris, Detert & Chiaburu, 2008; Detert & Burris, 2007), 팀 또는 조직 분위기(Morrison et al., 2011)와 같은 상황적 요인이다. 사실상 제언행동은 사회적 설득(social persuasion)의 과정이다. 제언인정 결과는 정보의 수신자인 상사를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그중에 그 중 지위(status)는 계층을 설명하는 핵심 변수이며 조직의 인간 상호작용 과정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Blader & Chen, 2012; Fiske, 2010). 또한 촉진적 제언(promotive voice) 및 억제적 제언(prohibitive voice)과 같은 다른 유형의 제언은 내용, 특성 및 기능에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이 두 제언행동에 대해 다른 사람이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Liang, Farh & Farh, 2012).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제언행동을 촉진적 제언과 억제적 제언(Liang, Farh & Farh, 2012)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설득 이론과 지위 이론을 결합하여 상사와 구성원의 두 가지 요소 및 기타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유형의 제언이 어떤 상황에서 인정될 가능성이 더 높은지 연구하였다. 제언행동의 유형(촉진적, 억제적)과 제언인정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 관계에서 성별 및 지위의 상호 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한 미디어 제작회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촉진적 제언행동과 억제적 제언행동의 차별적 제언 과정을 더욱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실증근거를 제시하고 추가로, 본 연구의 이론적인 것과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