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재, "기독교 교리사",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09
2 이남규, "개혁교회 신조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20
3 민찬홍, "논리적 악의 문제", 철학 탐구 33 : 87-111, 2013
4 Dekker, Edf, "Was Arminius a Molinist.", vol. 27/2 (1996): 336-52, 1996
5 Arminius, James, Trans. James Nichols, William Nichols, "The Works of James Arminius", vol. 3, 1986
6 김병훈, "삼위의 실체적 단일성", 신학정론23/1 : 148-70, 2005
7 피영민, "아르미니우스의 신지식론", 복음과 실천 29 : 133-53, 2002
8 한병수,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 서론",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4
9 안상혁,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개정증보판. 수원: 영음사, 2016
10 장종원, "엮음. 유스 디비눔. 장종원 옮김", 서울: 고백과 문답, 2018
1 김영재, "기독교 교리사",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09
2 이남규, "개혁교회 신조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20
3 민찬홍, "논리적 악의 문제", 철학 탐구 33 : 87-111, 2013
4 Dekker, Edf, "Was Arminius a Molinist.", vol. 27/2 (1996): 336-52, 1996
5 Arminius, James, Trans. James Nichols, William Nichols, "The Works of James Arminius", vol. 3, 1986
6 김병훈, "삼위의 실체적 단일성", 신학정론23/1 : 148-70, 2005
7 피영민, "아르미니우스의 신지식론", 복음과 실천 29 : 133-53, 2002
8 한병수,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 서론",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4
9 안상혁,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개정증보판. 수원: 영음사, 2016
10 장종원, "엮음. 유스 디비눔. 장종원 옮김", 서울: 고백과 문답, 2018
11 Flinn, R., "Samuel Rutherford and Puritan Political Theory.", : 49-74, 1978
12 김병훈, "도르트 신경의 예정론에 관련한 이해", 장로교회와 신학 4 : 205-77, 2007
13 임일환, "악의 문제와 플란팅가의 자유의지 변신론", 철학논집 46 : 237-63, 2016
14 이남규, "엮음. 도르트신경 은혜의 신학 그리고 목회",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9
15 Muller, Richard A, "Toward the Pactum Salutis: Locating the Origins of a Concept.", 18 (2007): 11-65, 2007
16 김남국, "몰리나의 중간지식설에 대한 아퀴나스의 비판", 역사신학 논총 21 : 113-37, 2011
17 김명수, "윌리엄 퍼킨스의 황금사슬에 나타난 사상 연구", 국제신학 22 : 183-221, 2020
18 한병수, "구속의 언약: 사무엘 러더포드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 60 : 83-107, 2018
19 정승태, "Alvin Plantinga의 사상에서 자유의지 방어론의 문제", 복음과 실천 54 : 243-70, 2014
20 Bangs, Carl, edited by John H. Bratt, "Arminius as a Reformed Theologian. in The Heritage of John Calvin", 1960-70, 1973
21 김지훈, "고마루스(Franciscus Gomarus, 1563-1641)는 예정론주의자인가?", 교회와 문화 33 : 147-186, 2014
22 김병훈, "엮음. 노르마 노르마타: 16, 17세기 개혁교회의 신학과 신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5
23 Muller, Richard A.,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Reformed Orthodoxy", ca. 1520 to ca. 1725 Vol. 2 Scripture, 2003
24 De Jong, Peter Y. Ed, "Crisis in the Reformed Churches: Essays in commemoration of the great Synod of Dort,", 1618-1619, 1968
25 김지훈, "예정론과 언약론: 고마루스(Franciscus Gomarus, 1563-1641) 신학의 두 기둥", 월례포럼 72 : 15-40, 2018
26 김지훈, "프란치스쿠스 고마루스 (Franciscus Gomarus)의 언약과 복음에 대한 이해", 갱신과 부흥 15 : 1-20, 2015
27 안상혁, "사무엘 러더포드와 토마스 후커의 언약 신학: 교회론적 함의를 중심으 로", 장로교회와 신학 10 : 221-47, 2013
28 이남규, "예정인가 후정인가? 항론파 제1항에 대한 도르트 회의 총대들의 논의 와 결정", 장로교회와 신학 11 : 164-87, 2014
29 김병훈, "호모우시오스 니케아 공의회(325)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의 신학 적 상관성", 신학정론 22/2 : 557-95, 2004
30 Cameron, J. K., "The Piety of Samuel Rutherford (c. 1621-1661): A Neglected Feature of Seventeenth Century Scottish Calvinism.", 65 (: 153-59, 1985
31 이성호, "죄의 허용(permission)과 하나님의 의지(will)에 대한 윌리엄 퍼킨스의 개혁신학적 변증", 갱신과 부흥 25 : 241-68, 2020
32 Richard, Guy M., "Samuel Rutherford’s Supralapsarianism Revealed: A Key to the Lapsarian Position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59/1 27-44, 2006
33 안상혁, "정교분리의 관점에서 조명한 사무엘 루더포드와 토마스 후커의 17세기 교회론 (교회정부) 논쟁", 한국개혁신학 47 : 184-217, 2015
34 Muller, Richard A.,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Reformed Orthodoxy ca. 1520 to ca. 1725 The Divine Essence and Attributes", Vol. 3, 2003
35 유정모, "17세기 화란의 자유의지론 논쟁에 대한 연구: 히스베르투스 푸치우스 (1589-1676)의 De Termino Vitae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 49 : 202-39, 2015
36 김지훈, "프란치스쿠스 고마루스와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의 예정론 논쟁: 1604 년 레이든 대학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44 , 47-65, 2018
37 유정모, "예수회 중간지식론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논박: 프란시스코 수아레즈(Francisco Suarez, 1548-1617), 윌리엄 트위스(William Twiss, 1578-1646),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 1623-1687)을 중심으로", 개혁논총 32 : 177-21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