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 :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SNS Procrastination Mo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7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NS procrastination motives on these association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0 college students(196 female and 54 male)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SNS Procrastination Motives Scale. First, SNS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econ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ir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complete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NS addiction treatment aimed at individuals high i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s' SNS procrastination motives.

      Key words: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SNS addiction, SNS procrastination motives
      번역하기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NS procrastination motives on these association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0 ...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NS procrastination motives on these association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0 college students(196 female and 54 male)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SNS Procrastination Motives Scale. First, SNS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econ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ir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complete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NS addiction treatment aimed at individuals high i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s' SNS procrastination motives.

      Key words: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SNS addiction, SNS procrastination mo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여성 196명, 남성 54명)에게 Barratt 충동성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은 SNS 과의존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적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부분 매개한다. 셋째,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과의 관계를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과의존의 치료 개입 전략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담기관이나 심리치료 기관에서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수준이 높은 내담자의 SNS 과의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지닌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요어: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SNS 과의존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

      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여성 196명, 남성 54명)에게 Barratt 충동성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은 SNS 과의존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적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부분 매개한다. 셋째,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과의 관계를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과의존의 치료 개입 전략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담기관이나 심리치료 기관에서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수준이 높은 내담자의 SNS 과의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지닌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요어: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SNS 과의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 4
      • 1) 충동성의 정의와 종류 4
      • 2)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의 차별적 특성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 4
      • 1) 충동성의 정의와 종류 4
      • 2)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의 차별적 특성 7
      • 3. SNS 과의존 9
      • 1) SNS 과의존의 원인 변인 10
      • 2) SNS 과의존의 결과 13
      • 4.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 15
      • 1)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물질중독 15
      • 2)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행위중독 16
      • 5.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18
      • 6. 인지적 충동성과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21
      • 7. 계획부족 충동성과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24
      • 8. 연구문제 및 가설 27
      • II. 연구 방법 30
      • 1. 연구대상 30
      • 2. 측정도구 30
      • 1) Barratt 충동성 척도 30
      • 2) SNS 중독경향성 척도 31
      • 3)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 31
      • 3. 연구절차 32
      • 4. 자료 분석 32
      • III. 연구 결과 33
      • 1. 조사대상자의 특성 33
      • 2.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 및 상관계수 33
      • 3.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34
      • Ⅳ. 논의 및 결론 37
      • 참고문헌 39
      • 영문초록 48
      • 부 록 49
      • 부록 1. Barratt 충동성 척도 50
      • 부록 2. SNS 중독경향성 척도 52
      • 부록 3.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