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
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여성 196명, 남성 54명)에게 Barratt 충동성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은 SNS 과의존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적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부분 매개한다. 셋째,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과의 관계를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과의존의 치료 개입 전략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담기관이나 심리치료 기관에서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수준이 높은 내담자의 SNS 과의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지닌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요어: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SNS 과의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