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20년대 ≪신소년≫ 소년시少年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21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아동문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소년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920년대 소년시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실증적인 자료 분석이 요구되는 바, 당시 발간된 ≪신소년≫을 중심으로 한 아동잡지와 신문, 그리고 각종 인쇄 매체에 실린 소년 담론 및 소년 문예 운동과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20년부터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소년 운동은 소년 문예 운동으로 이어져 소년들을 문학의 장으로 호출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 이후 학교 교육에 편입한 소년들은 청년과 유년 사이의 근대적 소년이라는 지위와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소년들은 각 지역에서 문예 단체를 조직해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하며, 잡지나 신문에 작품을 투고하게 된다. 소년시는 1920년대 중반부터 각 지방의 소년문예사들에 의해 자유시라는 명칭으로 창작되고 있었다. 이후 1926년 6월 ≪신소년≫에 본격적으로 게재되면서 소년시가 탄생하게 되었다. 소년문예사들은 ≪신소년≫ 독자 투고란에 동요와 소년시 두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을 투고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작가로서의 꿈을 키워갔다.
      소년시 창작 초기, 일부 작품에서 동요처럼 7ㆍ5조나 4ㆍ4조의 정형률 형태를 보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이 자유율 형태의 형식적 특징을 고수한다. 소년시의 주제는 자연에 대한 감흥 및 묘사, 계절에 따라 느끼는 애수, 가족과 친구에 대한 그리움, 대상에 대한 연민, 근면한 삶과 면학, 소년들의 진취적 기상 등 다양하다.
      비록 정제되지 않은 표현과 평범한 수사 그리고 직설적인 토로가 한계로 지적될 수 있지만, 소년 문예 운동을 통해 문학의 장에 편입한 그들이 문학 시장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것을 우리는 결코 부인할 수 없다. 소년시의 등장은 동요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 한계를 뛰어넘어 소년들의 사상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기제가 되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 아동문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소년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920년대 소년시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실증적인 자료 분석이 요구되는 바, 당시 발간...

      본고는 한국 아동문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소년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920년대 소년시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실증적인 자료 분석이 요구되는 바, 당시 발간된 ≪신소년≫을 중심으로 한 아동잡지와 신문, 그리고 각종 인쇄 매체에 실린 소년 담론 및 소년 문예 운동과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20년부터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소년 운동은 소년 문예 운동으로 이어져 소년들을 문학의 장으로 호출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 이후 학교 교육에 편입한 소년들은 청년과 유년 사이의 근대적 소년이라는 지위와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소년들은 각 지역에서 문예 단체를 조직해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하며, 잡지나 신문에 작품을 투고하게 된다. 소년시는 1920년대 중반부터 각 지방의 소년문예사들에 의해 자유시라는 명칭으로 창작되고 있었다. 이후 1926년 6월 ≪신소년≫에 본격적으로 게재되면서 소년시가 탄생하게 되었다. 소년문예사들은 ≪신소년≫ 독자 투고란에 동요와 소년시 두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을 투고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작가로서의 꿈을 키워갔다.
      소년시 창작 초기, 일부 작품에서 동요처럼 7ㆍ5조나 4ㆍ4조의 정형률 형태를 보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이 자유율 형태의 형식적 특징을 고수한다. 소년시의 주제는 자연에 대한 감흥 및 묘사, 계절에 따라 느끼는 애수, 가족과 친구에 대한 그리움, 대상에 대한 연민, 근면한 삶과 면학, 소년들의 진취적 기상 등 다양하다.
      비록 정제되지 않은 표현과 평범한 수사 그리고 직설적인 토로가 한계로 지적될 수 있지만, 소년 문예 운동을 통해 문학의 장에 편입한 그들이 문학 시장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것을 우리는 결코 부인할 수 없다. 소년시의 등장은 동요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 한계를 뛰어넘어 소년들의 사상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기제가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아동 연령대 분화와 소년문예사 활동
      • Ⅲ. 소년시의 형식 및 내용
      • Ⅳ. 나오며
      •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아동 연령대 분화와 소년문예사 활동
      • Ⅲ. 소년시의 형식 및 내용
      • Ⅳ. 나오며
      • 참고 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표, "홍효민의 소년문예론 연구" 영주어문학회 25 : 233-255, 2013

      2 오오타케 키요미,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3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4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은숙,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소명출판 2009

      6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소년」(1908)에서 「어린이」(1923)까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3-97, 2008

      7 최미선, "한국 소년소설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8 신현득, "한국 동시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9 서유리, "한국 근대의 잡지 표지 이미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 김지은, "한국 근대 현실주의 동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1 최명표, "홍효민의 소년문예론 연구" 영주어문학회 25 : 233-255, 2013

      2 오오타케 키요미,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3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4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은숙,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소명출판 2009

      6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소년」(1908)에서 「어린이」(1923)까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3-97, 2008

      7 최미선, "한국 소년소설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8 신현득, "한국 동시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9 서유리, "한국 근대의 잡지 표지 이미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 김지은, "한국 근대 현실주의 동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11 최배은,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과 이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2 김윤희, "한국 근대 유년 동요ㆍ동시 연구-1920년대∼해방기까지 ‘유년상’ 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2012

      13 원종찬, "한국 근대 소년 문예 운동사" 경진 2012

      14 "중외일보"

      15 "조선일보"

      16 홍문종, "조선에서의 일본 식민지 교육정책" 학지사 2003

      17 이기훈, "일제하 농촌보통학교의 ‘졸업생 지도’" 역사문제연구소 (4) : 2000

      18 박용규, "일제시대 한글운동에서의 신명균의 위상" 민족문학사학회 (38) : 365-394, 2008

      19 원종찬,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 -한국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69-100, 2011

      20 최혜경,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의 설립과 교육활동 - 경기도 군포시 지역을 중심으로 -" 경주사학회 (31) : 151-183, 2010

      21 김상욱, "일제강점기 동시문학의 지형도" 한국아동문학학회 (25) : 5-36, 2013

      22 박영기, "일제강점기 동시 및 동요 장르명의 통시적 고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4) : 2009

      23 정진헌, "일제 강점기 한국 창작동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24 박태일, "이주홍의 초기 아동문학과 ?신소년?" 현대문학이론학회 (18) : 6-173, 2002

      25 김용란, "이주홍 아동문학 연구 : 창작동화·소년소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6 윤석중, "어린이와 한평생" 범양사 1985

      27 가와하라 카즈에, "어린이관의 근대" 소명출판 2007

      28 "어린이"

      29 "아이생활"

      30 "신소년"

      31 원종찬, "식민지 학교 공간의 형성과 변화-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7) : 2007

      32 한정호, "서덕출전집" 경진 2010

      33 "별나라"

      34 장만호, "민족주의 아동잡지 「신소년」 연구 - 동심주의와 계급주의의 경계를 넘어서 -" 한국학연구소 (43) : 209-228, 2012

      35 "동아일보"

      36 김봉희, "나라 잃은 시기, 계급주의 아동극 운동-≪신소년≫과 ≪별나라≫를 중심으로" 아동문학평론사 36 (36): 2011

      37 우용제, "근대한국초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1998

      38 천정환, "근대의 책 읽기-독자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 푸른역사 2010

      39 김영순, "근대 한일아동문학 유입사 연구 -일본 동요 장르의 한국으로의 수용-"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0) : 195-234, 2012

      40 오오타케 키요미, "근대 한ㆍ일 아동문화와 문학 관계사 1895~1945" 청운 2005

      41 최배은, "근대 청소년 담론" 한국어문화연구소 10 : 2011

      42 최윤정,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과정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25) : 275-299, 2013

      43 장석흥, "근대 소년운동의 독립운동사적 위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5) : 253-276, 2013

      44 "개벽"

      45 崔起榮, "白水 鄭烈模의 생애와 어문민족주의"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462-494, 2003

      46 진선희, "『어린이』지 수록 동시 연구(1)-장르 용어 및 작가와 독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65) : 281-318, 2013

      47 류덕제, "『별나라』와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의미"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6) : 305-334, 2010

      48 이근화, "『별나라』 소재 문예물 연구 -1930년대 아동문예물의 이면과 문학적 전략 -" 한국학연구소 (43) : 229-256, 2012

      49 전도현, "『배재』를 통해 본 高普 학생들의 현실인식과 문예의 특성 고찰" 한국학연구소 (31) : 55-78, 2009

      50 신현득, "≪신소년≫ㆍ≪별나라≫ 회고" 아동문학평론사 31 (31): 2006

      51 임삼조, "1920년대 조선인의 공립보통학교 설립운동" 계명사학회 17 : 2006

      52 이동순, "1920년대 동요운동의 전개양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73-94, 2011

      53 정진헌, "1920년대 『신소년』 동요 연구—기성작가와 소년문예사들의 활동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5) : 141-174, 2014

      54 원종찬, "1920년대 『별나라』의 위상 - 남북한 주류의 아동문학사 인식 비판 -"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65-104, 2012

      55 최미선, "1920년대 『新少年』의 아동 서사문학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105-138, 2012

      56 원종찬, "1920년대 ‘어린이’의 형성과 동화" 역사문제연구소 (8) : 2002

      57 문소정, "1920~30년대 소작농가 자녀들의 생활과 교육" 한국사회사학회 20 : 1990

      58 최명표, "'오월회'의 소년운동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19) : 135-15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Ri, Jae Cheal -> KOREA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8 1.00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